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시
지명
지력
지성
지능
지식
지목
d라이브러리
"
지적
"(으)로 총 2,67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Ⅳ 국내연구현황 테라와트급 고출력레이저에 도전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첨단과학의 세계적 조류는 '전자'에서 '빛'으로 넘어가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레이저연구가 푸대접받고 있다.레이저를 전공한 학자들을 요즘 만나면 불평이 대단하다. 60년대 미국에서 개 ... 관한한 국내 수준은 선진국의 10% 수준에도 못미치고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
이다 ... ...
3. 미사일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15m 이내)를 유지하며 난다. 적국의 도시나 주요 전략기지파괴가 목적인 토마호크는 앞서
지적
한 대로 TELCOM방식으로 유도된다. 이번 공격에서 이라크의 주요 전략거점의 지형도를 만들어내는데는 중동상공의 미국 통신위성 인텔새트의 도움도 톡톡히 받았다. 토마호크에는 핵탄두도 장착할 수 ... ...
금년도 대학입시를 치르고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입시제도에 맞추다 보니 어쩔 수 없이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음이
지적
되었다.그러나 우리처럼 배우는 사람의 입장에서 생기는 가장 큰 불만은 뭐니뭐니해도 역시 수학이 너무 딱딱하다는 것과 실생활과 거리가 멀다는 것이다. 수학을 공부하면서 내가 왜 이런 것을 해야 하나 하고 ... ...
갈릴레이를 부끄럽게 한 기체 온도계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이 온도계는 여러가지 단점이 있어 곧 다른 온도계로 대체된다. 가장 큰 단점을
지적
한 사람은?① 아람:온도계를 들고 다니기가 불편하다.② 보람:기압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하지 않다.③ 한솔:꼭 물 속에 담가야 하는데 물이 가끔 증발되므로 불편하다.④ 예솔: 온도를 재는데 너무 오랜 ... ...
장애영재아의 세계 바보속의 천재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3살때까지 말을 제대로 못했다. 또한 학교에서 쓰기와 철자법에 문제가 있는 학생으로
지적
당했다.그는 학교가 자신의 생각이나 연구에 몰두하는 데 장애물이 된다고 여겼다. 학교에서는 기계적으로 외우는 것을 강요했고, 이유에 대해서 토론하거나 발표할 기회를 주지 않았기 때문이다. ... ...
중화(中華)적 세계관이 우르르 마테오 리치 충격파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8백50곳이 넘는 지명(地名)이 나타나 있고 또 각지의 민족과 물산(物産)에 대한 지
지적
(地誌的) 기술이 소개돼 있다. 또 타원형의 세계지도 바깥쪽에는 극투영(極投影)의 방위도법(方位圖法)에 의한 남북의 2반구도(半球圖)와 아리스토텔레스의 천체구조론에 의한 구중천설(九重川說), 일식과 월식의 ... ...
PARTⅢ 레이저의 응용 산업 전분야에서 종횡무진 활약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배치된다면 ICBM(대륙간 탄도미사일) 정도는 무용지물로 만들어버릴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지적
이다.■ 레이저거리측정기군사용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레이저병기. 레이저광이 광속으로 나아간다는 원리를 이용해 레이저광이 표적을 맞히고 돌아오는 시간을 재어 거리를 측정한다. 탱크 함정 전투기 ... ...
줄어드는 삼각주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사회와 문명의 발전에 기여해왔던 지구상의 가장 기름진 지역이 점차 줄어들고 있음을
지적
하고 있다.문제의 지역은 바로 나일강 어귀의 삼각주다.1만년전, 인류의 농경은 현 이라크와 이란사이의 고원에서 시작됐다. 초기의 농경은 불확실하기 짝이 없는 빗물에 의존했으나 점차 농부들은 수자원의 ... ...
새 과기처장관에게 바란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완숙기를 넘어 과학기술의 지식을 위주로 하는 정보화사회가 된다고 하나, 우리의
지적
수준은 매우 낮아 가히 원시상태나 다름없습니다. 곰재주가 '모방'이고 인간본연의 재주는 '창조'라고 한다면 우리의 처지는 안타깝습니다. 이런 실정을 시정해가는 일은 결코 겉보기에만 화려한 정책이나 ... ...
남북과학기술교류 물꼬트는 한국의 과학자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이런 대규모의 접근은 북측이 정치공세로 판단, 오히려 움츠러들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
한다.이외에도 북한이 역점을 두고 있는 기술인 자동화공업분야에서는 지난 8월 소련에서 열린 자동제어총회에 남한의 고명삼교수(서울대 제어계측공학과) 일행이 참가해 북한대표와 만난 바 있다. '서로의 ... ...
이전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