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최대량
최고
d라이브러리
"
최대
"(으)로 총 4,326건 검색되었습니다.
만성 바이러스 질환 치료하는 백신 개발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그는 인류의 건강과 미래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고 싶다는 생각에 박사후 과정에서 세계
최대
의 면역 연구소인 미국 샌디에이고에 있는 스크립스 연구소에서 면역학과 인연을 맺었다.안 교수는 “우리나라에서 면역학이 발달하지 못했던 이유는 연구 인프라의 부족과 면역학은 어렵다는 편견 ... ...
고해상도 웹 카메라 ‘스트로베리-티니’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화소의 스트로베리-티니는 스틸사진을 찍을 때도 디지털 카메라 못지않은 성능을 발휘해
최대
2560×1920 크기의 고화질 사진을 찍을 수 있다.사용자 편의를 위한 다양한 기능도 갖췄다. 카메라 옆에는 소형 마이크가 내장 돼 있어 화상과 동시에 음성도 전달할 수 있다. 동영상이나 사진을 찍을 때 ... ...
동물원의 열혈 엄마, 사육사 배경구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이 같은 원리에 착안한 여러 웹사이트들이 다양한 정보를 쏟아내고 있다.국내
최대
동물원인 서울대공원에서 운영하는 ‘서울동물원(grandpark.seoul.go.kr)’은 동물에 관한 방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해 놓은 것이 강점이다. 서울대공원 내 24개 동물사에 사는 동물의 특징을 ‘동물지식사전’ ... ...
찰나에 깜박이는 초강력 레이저로 세계에 도전!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가늠할 수 있다. 2012년까지 국가에서 총 649억 원을 지원받아 모든 시설을 갖추고 순간
최대
출력이 1000 테라와트(1페타와트)에 이르는 차세대 초강력 레이저를 발 생시킬 계획이다.고등광기술연구소 이인원 소장은 “극초단 고출력 레이저 개발이 연구소의 특성화 분야”라며 “이를 바탕으로 세계 6 ... ...
슬픔보다 더 슬픈 이야기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따르면 ‘BRCA1’, ‘BRCA2’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있는 사람은 평생 유방암에 걸릴 위험이
최대
80%에 이른다. 그러나 한국인의 유방암은 서양에 비해 빈도가 낮고 젊은 연령의 환자가 많기 때문에 서양의 결과를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유전질환은 염색체의 모양이나 수의 이상, 또는 ... ...
2014년 ‘수학계 올림픽’ 한국서 열린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캐나다와 브라질을 제치고 기초과학분야
최대
학술대회인 2014년 ‘국제수학자대회’(ICM) 유치에 성공했다 (3월호 124쪽 ‘인터뷰_고등과학원 박형주 교수’ 참조).대한수학회의 국제수학자대회 유치위원회(위원장 고등과학원 박형주 교수)는 ICM 개최지를 결정하는 국제수학연맹(IMU)이 중국 ... ...
석면탤크 얼마나 위험한가?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석면이 섞여 있는 탤크 (석면탤크)는 중국에서 수입됐다. 사실 일제시대까지만 해도 동양
최대
탤크광산이 우리나라에 있어 양질의 탤크를 생산했다. 충북 충주 인근의 동양광산이 그곳으로 현재도 소량 채광되고 있다. 2007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탤크 수요량은 약 14만 t인데 불과 1만 t 정도만 ... ...
연필심에서 발견한 꿈의 나노 소재 그래핀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전기전도성이 뛰어나다.그래핀은 상온에서 단위면적당 구리보다 약 100배 많은 전류(
최대
108A/cm2)를 실리콘보다 100배 이상 빠르게 전달할 수 있다. 그뿐 아니라 그래핀은 열전도성이 가장 좋은 물질로 평가받는 다이아몬드보다 열전도성이 2배 이상 높다. 또한 그래핀은 강철보다 약 200배 이상 기계적 ... ...
과학의 달인을 찾아서 - 미국과학진흥협회(AAAS) 연례총회에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그제서야 기자는 또 하나의 달인이 멀지 않은 곳에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바로 세계
최대
의 과학 행사의 주인공이 된‘어린이과학동아’!“편집장님~, 이만하면 달인 취재는 성공한 거죠 ... ...
[지구과학]바닷물의 특성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채로 가라앉은 물이므로, 표층만 얼게 된다. 반면 염분이 약 24.7‰ 이상인 해수에서는
최대
밀도에 도달하기 전에 어는점에 도달하므로 표층과 심층 간의 해수 교환 없이 그 온도에서 모든 바닷물이 동시에 얼게 된다.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가) 소리는 공기를 매질로 해 전파되는 ... ...
이전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