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크기"(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대형 물고기 오줌이 산호초 지킨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큰 물고기가 인이나 질소를 더 많이 배출하기 때문인지 실험으로 확인했다. 물고기를 크기에 따라 수조에 30분 동안 넣었다가 뺀 뒤 물속의 인과 질소의 양을 쟀다. 그 결과 물고기들은 몸집에 비례하는 양만큼 질소를 내보냈다. 몸집이 큰 육식성 물고기일수록 인을 더 많이 배출했다.알제이어 ... ...
- [Knowledge] 치아와 쇄골은 ‘뼈의 신분증’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전에 찍은 엑스선 사진을 오늘 찍은 사진과 비교해봐도 별 차이가 없다. 게다가 치아의 크기와 모양은 사람마다 다르다. 우리는 총 32개의 영구치를 갖고 있는데, 모든 치아가 똑같이 생긴 사람이 존재할 확률은 0에 가깝다. 특히 최근엔 보철 등 치과 치료를 많이 받는데, 이런 치료 흔적의 위치와 ... ...
- [Career] "머리카락보다 작은 소재의 활약을 기대하세요!"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화학작용으로 걸러낸다. 비결은 바로 미세한 구멍. 나노미터(nm, 1nm는 100만분의 1mm) 크기의 구멍을 지닌 기능성 나노셀룰로오스에 마이크로미터(μm, 1μm는 1000분의 1mm) 단위의 구멍을 가진 다공성 고분자 섬유를 붙여 만들었다.나노소재팀에서는 전자현미경으로나 겨우 볼 수 있는 미세한 나노입자를 ... ...
- [과학뉴스] 제임스 웹, 우주의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가볍고 적외선을 잘 반사시켜요. 또한 벌집모양으로 되어 있어 우주로 가기 전엔 접어서 크기를 줄였다가 우주에서 원에 가까운 모양으로 펼칠 수 있답니다.거울의 전체 지름은 6.5m로, 허블 우주망원경의 거울보다 2.5배 정도 커서 허블 우주망원경에 비해 성능이 100배 더 우수해요. 그래서 무려 135억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귀여운 애완동물, 햄스터 기르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대해 자세하게 알아볼까요?햄스터의 수명은 약 3년으로, 번식을 매우 잘 합니다. 몸의 크기는 3~15cm로 다양하지요. 또 야행성으로 밤에 많이 활동하며, 추위와 더위, 습기에 약합니다. 주의할 점은 햄스터는 설치류라 이가 계속 자라기 때문에 단단한 걸 갉도록 해 줘야 한다는 거예요.햄스터는 각종 ... ...
- [Editor’s note] 수학동아 폴리매스 프로젝트!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다들 무사하기를 바랍니다.지진은 예측이 거의 불가능하고 한 번 일어나면 피해가 크기 때문에 대비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특히 건물이 무너지지 않도록 튼튼하게 지어야 합니다. 그렇다고 무작정 벽을 두껍게 만드는 게 능사는 아니지요.건물이 어디에 어떻게 힘을 받는지를 다 계산해서 지진에 잘 ... ...
- [수학동아클리닉] 한 눈에 알아보는 비율그래프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양을 비율로 나타냅니다. 즉 부채꼴의 넓이로 크기를 나타냅니다. 이것은 도형의 넓이로 크기를 나타내는 면적그래프의 일종으로, 각 부분의 비율은 파이 조각 모양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파이도표라고도 합니다.원그래프는 부분의 비율을 이해하기 쉽기 때문에 어떤 대상을 질적 혹은 양적으로 ... ...
- [News & Issue] 뇌 주름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설명했다.재미있게도 뇌 모형에 생긴 주름은 실제와 거의 흡사했다. 모양이나 크기뿐만 아니라 주름이 향한 방향까지도 비슷했다. 지금까지 뇌 주름이 생기는 데 GPR56, 라미닌감마3 같은 유전자가 관여한다는 사실이 밝혀져 있었다. 하지만 뇌가 물리적인 힘을 받아 직접적으로 주름이 생긴다는 ... ...
- [News & Issue] 홍채 고유한 내 안의 우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기술이 그만큼 역사가 깊다는 뜻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널리 적용되지 못한 데는 크기와 비용 문제가 있었다. 홍채인식 기술은 모두 홍채의 주름 패턴을 읽어내는 방식이다. 복잡 미묘하게 얽혀 있는 주름을 정확하게 읽어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특히 동양인처럼 홍채가 검으면 일반 ... ...
- [Tech & Fun] 이색 악기 패밀리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볼 수 있다. 사람 머리카락 두께(약 200μm)보다도 훨씬 작고, 적혈구와 비슷한 크기다(옆의 사진은 크게 확대한 것).이 악기는 전기회로를 어느 수준까지 작게 만들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만들었다. 현에 레이저빔을 쏘면 떨리면서 소리를 낸다. 이 소리는 주파수가 약 40MHz로 실제 기타의 13만 배, 즉 ... ...
이전2062072082092102112122132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