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찬성
저항
이의
상반
역
항쟁
항거
뉴스
"
반대
"(으)로 총 3,427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행복해야 덜 먹는다
2018.11.17
혈압을 높이는데 아주 효과적인 장치이다. 연구자들은 또 다른 그룹의 참가자들에게는
반대
로 다른 참가자들이 당신에게 호의를 가지고 있다는 긍정적인 이야기를 했다(낮은 스트레스 조건). 그리고 나서 참가자 모두에게 맛을 테스트 하기 위한 목적이라며 아이스크림을 마음껏 먹으라고 했다. ... ...
[과학 읽어주는 언니]단식 자주하면 음식 중독 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5
이것이 측좌핵을 거쳐 식욕조절센터인 뇌 시상하부에 도달해 음식을 먹게 된다.
반대
로 배가 부르면 내장지방에서 분비된 렙틴이 뇌로 가서 먹는 것을 멈춘다. 이것이 영양공급과 포만감을 조절하는 ‘항상성’ 기전이다. 일러스트 우아영 기자 wooyoo@donga.com 이런 과정을 무시한 채 불규칙하게 ... ...
면역세포 제기능 못하는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4
심해지고 도움 T세포로 변환되는 정도도 더 커졌다. 암의 경우에는 자가면역질환과는
반대
로 조절 T세포의 수가 줄고 기능이 줄어야 항암 효과가 발휘된다. 특히 조절 T세포는 암세포 주변에서 도움 T세포의 면역 기능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피부암에 걸린 생쥐를 대상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TV의 과잉스펙 시대
2018.11.13
우리 눈이 보는 범위인 시야각 140도의 절반이다. 화면 오른쪽이나 왼쪽 끝을 주목했을 때
반대
쪽 영상이 시야에 들어오려면 70도 이내여야 하기 때문이다. 결국 8K 영상과 4K 영상 차이를 느낄 수 있는 실질적인 범위는 1.03m에서 1.31m 사이인 18㎝라는 말이다. 시력이 아주 좋으면서 TV를 아주 ... ...
'오무아무아’에 대한 하버드대 과학자들의 분석
동아사이언스
l
2018.11.11
보통의 천체는 태양 주변을 지나면서 중력의 저항을 받아 속도가 줄어드는 데 정
반대
현상이 관측된 것이다. 이 물체는 태양계를 찾은 외계 성간 물체로 판명됐다. 인간이 먼우주에서 날아와 태양계를 지나친 성간 물체를 발견한 것은 처음이다. 그리고 먼 곳에서 온 전달자라는 하와이 원주민의 ... ...
여성 과학자로 사는 건 ‘산넘어 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1.11
Odontella litigious의 현미경 사진. - 전미사 제공 Q 남극에는 어떻게 가시게 되었나요?
반대
가 있지는 않았나요? 어렸을 때는 남극에 갈 생각이 없었고, 여자가 갈 수 있는 곳도 아니라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극지에 사는 미세조류가 너무나 아름다운 거예요. 그래서 꼭 남극에 가서 다양한 미세조류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민들레 씨앗의 유체역학
2018.11.07
경우 마치 먼지떨이처럼 생긴 구조를 만들어 중력에 대한 저항을 최대화했다. 씨앗
반대
쪽의 털뭉치(갓털이라고 부른다)가 공기저항을 일으킨다. 씨앗이 사람이라면 갓털은 낙하산인 셈이다. 민들레 씨앗 대다수는 꽃자루를 떠나 비행을 한 뒤 2m를 채 벗어나지 못하고 땅에 떨어진다. 하지만 운이 ... ...
“화성 흙 지구로 보내라”… 2년후 발사할 탐사로봇에 특명
동아사이언스
l
2018.11.05
발사됐다. 2004년 1월 스피릿은 화성 적도 남쪽에 있는 구세프 분화구에, 오퍼튜니티는 그
반대
편인 메리디아니 평원에 착륙해 탐사 활동을 시작했다. APXS와 함께 카메라와 현미경, 적외선 분석 장비 등을 갖추고 있었다. 스피릿은 물의 흔적을 다수 발견해 과거 화성이 지금보다 매우 습했음을 ... ...
우주팽창 설명한 '허블의 법칙'이름 바뀐다…새 이름 ‘허블-르메트레 법칙’
동아사이언스
l
2018.11.02
못했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을 바탕으로 우주가 정지해 있다는 관점과
반대
되는 결과들이 일부 나오긴 했지만 실제 우주가 움직인다고는 누구도 입증하지 못했다. 이때 허블은 안드로메다 은하의 별의 밝기를 추적해 우주가 역동적으로 성장하고 있다는 증거를 포착했다. 허블의 ... ...
우리은하, 100억년전 위성은하 먹고 자랐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2
1 수준의 작은 위성과 과거에 충돌했다는 시뮬레이션 연구가 있었는데, 헤일로에 태양과
반대
방향으로 빠르게 도는 별이 존재하는 등 비슷한 면이 많았다. 현재 밤하늘에 보이는 가이아 엔켈라두스 출신 별들도 거꾸로 회전하는 궤적을 보였다. 헬미 연구원은 “엔켈라두스는 그리스 신화의 ... ...
이전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