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다
대양
대해
해운
해사
해
뉴스
"
해양
"(으)로 총 2,225건 검색되었습니다.
남극 빙하 녹는 속도, 최근 느려져
동아사이언스
l
2014.01.03
해수면이 상승해 저지대 일부는 사라질 것이라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 그런데 한국
해양
과학기술원 부설 극지연구소 이상훈 책임연구원팀이 주축이 된 국제공동연구팀이 최근 2년간 남극 빙하가 녹는 속도가 느려졌다는 연구 결과를 세계적 과학학술지 ‘사이언스’ 3일자에 발표해 주목받고 ... ...
우리 바다, 이어도
해양
과학기지가 지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03
심재설
해양
과학기술원 특성화연구본부장 - 김민수 기자 제공 “
해양
과학에 대한 열정이 한국이 방공식별구역을 공세적으로 선포할 수 있었던 숨은 조 ... 우리 세대가 후대에 남기는 자산”이라며 “우리나라 국토 안보뿐만 아니라 전 세계
해양
연구의 첨병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
“올해 출연硏 화두도 창조경제가 1순위”
동아사이언스
l
2014.01.01
상황이어서 구체적인 신년 계획은 제시하지 않았다. 지난 해 새롭게 출범한 부설 ‘선박
해양
플랜트연구소’ 운영에 필요한 예산과 인원 등에 관심을 가져달라고 당부한 것이 눈에 띌 뿐이다. 한편 건설기술연구원도 우수연구성과 창출과 연적역량 확보, 구성원간 소통문화 정착하고, 비정규직 ... ...
우리의 밥상은 과연 안전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2.17
말부터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오기도 했다. 중국 제1
해양
연구소와 한국
해양
과학기술원이 공동으로 연구한 후쿠시마 유출수 예측 모델에 따른 것인데, 유럽에서 예측한 것과 비슷하게 6년 내에 오염수가 태평양 전체로 퍼지게 된다는 것. 물론 우리나라에 도달하는 양은 단위 면적 ... ...
원전 문제 3년 연속 과학기술 최고의 관심뉴스 불명예
동아사이언스
l
2013.12.16
원전 유출수 인정’이 꼽혔다. 이로 인해 한동안 우리 국민들이 수산물 섭취를 피하는 등
해양
및 수산물 안전 문제와 직결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바른과학기술사회실현을위한국민연합(과실련)은 동아사이언스, 한국경제신문, YTN사이언스와 공동으로 ‘올해의 과학기술 10대 뉴스’를 선정해 16일 ... ...
세계 최고의 학술지는 어떻게 탄생했나 ④ PNAS
동아사이언스
l
2013.12.13
신청했을 때 지나치게 세부적이어서 대중성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PNAS에서는
해양
학이란 특수성을 인정해 게재를 승인했다”라며 “PNAS는 과학 전 분야에서 최고 학술지로서 인지도를 갖는다”고 말했다. PNAS는 논문 게재와 공개 방식이 독특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논문 게재는 ... ...
미세먼지 농도 하루 2차례 예보
동아일보
l
2013.12.11
위해 현재 3명뿐인 예보인력을 12명으로 늘렸다. 환경과학원이 예보에 활용해온 미국
해양
대기청 자료에 기상청 예보 시스템도 접목할 계획이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가 9일 미세먼지 관련 예산을 17억 원에서 119억 원으로 대폭 늘려 이 같은 인프라 투자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중국발 ... ...
사람이 돼지나 멸치하고 같은 수준?
동아사이언스
l
2013.12.10
인간의 영양단계가 2.21로 초식동물에 가깝다는 사실을 밝혀 주목받고 있다. 프랑스
해양
개발연구소 실뱅 보노무 박사팀은 국제연합(UN) 식량농업기구(FAO)의 자료를 이용해 세계 176개국을 대상으로 1961~2009년까지 102가지의 식재료 섭취량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2일자에 ... ...
바다 속 '이것' 미래 인류의 젖줄 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2.09
주목하고 있다. 대륙붕(Continental Shelf)은 얕은 바다의 평평한 밑바닥을 가리킨다.
해양
생물과 천연가스·석유 등이 풍부해 '자원의 보고'로 불린다. - 위키미디어 제공 빈센트 포스트 호주 국립지하수연구&훈련센터 박사는 “점토와 같은 침전물 아래에 저염도의 대륙붕 지하수가 약 50만㎦ ... ...
침몰한 배에 보물이? "걱정마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3.12.01
27일 보도했다. ‘유-캣’은 에스토니아 탈린 공과대 바이오로봇공학센터에서
해양
유적 연구자들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는 ‘애로우즈(ARROWS)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바다거북이 헤엄치는 원리를 응용해 만든 생체모방 로봇이다. 연구팀은 바다거북이 4개의 다리를 이용해 ... ...
이전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