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방
전시
계방
개봉
상연
전람
공시
d라이브러리
"
공개
"(으)로 총 2,733건 검색되었습니다.
1. 과학적 안목 가진 지도자가 세계 이끈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정책 결정에 유럽과학기술계의 목소리가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과학기술자들을 위한
공개
포럼을 개최한다. 이와 함께 유럽 과학자들 간의 의사소통과 공동연구가 원활히 이뤄지도록 하는데 설립 목적이 있다. 또한 유럽 각국의 과학기술정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연구개발의 결정권자들과 ... ...
'코끼리 인간' 베일 벗겨진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피부가 코끼리 살갗 같이 울퉁불퉁하고 기형적 외모의 ‘코끼리 인간’이 죽은지 1백12년 만에 그 비밀이 밝혀진다.지난 11월 20일 영국의 BBC 방송은 10월 28일 코끼리 인간의 자손 ... 보인다고 BBC 방송은 보도했다. 뉴질랜드 연구팀의 연구 과정은 디스커버리 채널을 통해
공개
될 예정이다 ... ...
2. 복잡한 생명현상 파헤친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통합을 통해 만들어질 UniProt은 고급 단백질 정보원으로 전세계 과학자들에게 무료로
공개
될 예정이다.데이터가 모아진 후 이를 보관·관리하는 일 역시 컴퓨터가 담당해야 한다. 게놈정보를 모아놓은 미국의 GenBank와 같은 주요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수집된 데이터를 보관·관리하는데 자체적인 ... ...
5백년만에 드러난 숨겨진 화가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시스티나성당 천장에 그린 ‘천지창조’가 복원작업을 마치고 1994년 일반에
공개
됐을 때도 사람들은 뭔가 새로운 것이 발견되지 않았을까 기대했습니다.폴란드 출신의 반덴베르크는 바로 이러한 사람들의 기대감을 충족시켜주기라도 하듯 미켈란젤로가 교황을 저주한 글자가 복원 과정에서 ... ...
1. '노벨상 후보감' 쇤 박사의 논문 날조 충격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규범은 크게 네가지다. 첫째 공유주의로서, 과학자들은 데이터와 연구결과를 서로
공개
하고 권유한다. 둘째 보편주의로, 정치적·사회적 요인이 과학적 아이디어 또는 개인과학자를 평가하는데 아무런 역할을 하지 못하며 과학적 성취는 오직 ‘과학’ 그 자체에 의해서만 이뤄진다. 셋째 ... ...
지구 생물체 80% 존재하는 바다 개척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줄어들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선진국에서 밝혀낸 해양생물에 대한 정보가 이미
공개
돼 있다. 해양이 워낙 방대해 공동연구하는 분위기가 조성돼 있기 때문이다.그렇다면 해양생명공학은 어디에서 연구되고 있을까.포항공대의 경우 해양생명공학자들이 주로 화학공학과에 소속돼 있다. 물론 ... ...
연구형 국제 경시대회 참가자와의 만남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참가해 토론을 벌이는 대회다. 대회가 개최되기 수개월 전에 문제를 인터넷에
공개
한다.
공개
되는 문제는 17문제. 이문제를 중∙고등학교 학생 5명이 팀을 짜서 문제와 관련된 이론적인 공부와 함께 실질적인 실험활동을 해보고 나서야 대회에 참여할 수 있다. 대회에서는 자신의 팀이 수행한 ... ...
보잉사 새로운 스텔스기
공개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어브 프레이의 독특한 점은 뛰어난 기동성과 스텔스 기능이다. 비행기 자체가 일반에
공개
됐을지라도 이 제트기의 스텔스 시스템은 이전의 어떤 비행기가 따라오지 못할 정도다. 소리, 적외선, 레이더는 물론 눈으로도 이 제트기를 포착하기가 어렵다.이 제트기는 색깔이나 발광 정도를 변화시키는 ... ...
살아 꿈틀거리는 우주의 집게발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NASA)의 허블우주망원경과 찬드라 X선망원경이 함께 관측한 게성운의 모습이
공개
됐다. 게성운은 잘 보면 게의 집게발처럼 생겼다. 그래서 1844년 영국의 로스 경이 붙였듯이 이름도 게성운이다. 그런데 왜 집게발만 남았을까.그 이유는 게자리에 내려오는 전설을 살펴보면 이해가 될 듯 싶다. 게자리의 ... ...
한국인 SNP집합 지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이 시료로 통해 밝혀지는 일배체형은 공공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누구나 이용 가능하게
공개
된다. 국제일배체형지도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질환유발 원인유전자에서 약물반응 연관유전자, 치료내성 원인유전자 등의 발굴이 손쉬워져 질병의 진단과 치료·예방법을 개발하는데 획기적인 ... ...
이전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