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d라이브러리
"
공학
"(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강철이 연료가 되는 세상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연소 특성에 대한 기초 연구가 마무리 단계에 들어섰기 때문이다.캐나다 맥길대 기계
공학
과 새뮤얼 고로신 교수와 제프리 베르그토르손 교수 공동연구팀은 전세계 금속 연료 연구 그룹 중 선두 주자다. 연구팀은 최근 연구에서, 직접 개발한 금속 연료용 열엔진으로 기존의 화석연료용 엔진과 ... ...
[Editor’s Note] 고수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제공됩니다. 한 손에 쏙 들어오는미니 지식백과 시리즈로, 인포그래픽으로 과학 및
공학
분야의 핵심을 짚어줍니다. 취재해본 기자만 아는 알짜 진로, 진학 정보도 제공합니다. 정기구독을 서두르세요. 수집은 첫 호부터 해야 제맛입니다. : ... ...
PART 2. ‘기술장벽’은 더 이상 해결책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이런 인식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원자력
공학
과의 핵무기 연구자인 스캇 켐프 교수는 e메일 인터뷰에서 “핵무기에 필요한 기술들은 반세기 전에 이미 개발된 것”이라며 “이 기술들이 제자리걸음을 걷는 동안 다른 과학기술은 엄청난 발전을 ... ...
[News & Issue] 1986년 서울, 그들은 어디로 갔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빛내준 86학번들에게 인터뷰를 시도했다. 그 자리의 유일한 홍일점인 김미영 서울대 재료
공학
부 교수에게 ‘남자만 가득한 물리학과에서 힘든 점은 없었냐’고 묻자 “없었다”고 대답했다. 남학생들이 즐겨하던 ‘팩차기’ 이야기를 꺼내자 그는 “나도 같이 했다”고 말했다.단체사진도 그들이 8 ... ...
[Tech & Fun] Inspired by human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코에는 특정 냄새만을 매우 민감하게 구별하는 다양한 후각수용체가 있다.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 연구팀은 그래핀 위에 사람의 후각세포에 있는 후각수용체를 이식해 바이오 인공코를 개발했다. 개발된 인공코는 바닐라냄새와 바다 냄새를 70% 이상의 정확도로 구분할 수 있었다. 향후 유독가스와 ... ...
[Career] ‘융합’에 에너지의 미래를 묻다 원자핵
공학
과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하지만 무엇보다 꿈에 대한 확신이 우선입니다. 모든 학문이 그렇겠지만, 특히 원자핵
공학
과는 아주 장기간 꾸준히 연구해야 성과가 나오는 학문입니다. 강한 의지와 꿈에 대한 확신이 없으면 버텨내기 힘듭니다 ... ...
PART 1. 착시 설계자 따라잡기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제대로 보이는 지점을 중심으로 그림이 변형돼 있답니다.폴란드 크라쿠프공대 그래픽
공학
과의 앤드류 지라스키 교수는 그림을 그릴 좌표의 생김새에 따라 착시 효과를 결정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관람객은 누구나 자신이 서 있는 자리에서 보이는 대로 그림을 인식해요. 관람객의 ... ...
[지식] 인터뷰_이훈희 교수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집중할 수 있어요. 물론 수학은 세부적인 문제에 집중하기 때문에
공학
에 비해 발전 속도가 늦긴 합니다. 하지만 세심하게 연구하기 때문에 수학자들만이 발견할 수 있는 게 있죠. 어떤 결과가 왜 나오게 됐는지 자세히 설명하고 명확하게 입증하는 것이 수학만의 매력이라고 ... ...
[재미] 에피소드수학_키가 쑥쑥! 자라는 비법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운동으로 뼈를 튼튼하게 만들어 골다공증을 예방해야 해요.미국 스탠포드대 의생명
공학
과 데니스 카터 박사팀은 뼈가 자라는 모습을 예측하는 수학모형을 만들었어요. 이 수학모형을 이용하면 뼈가 시간에 따라 길어지는 비율이나 속도, 뼈가 자라는 모양등을 예측할 수 있지요. 연구팀은 뼈가 ... ...
[Knowledge] 마치 누군가 설계한 듯한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달걀을 손가락으로 잡기 전에 어느 정도의 강도로 잡을지 이미 결정을 해야 한다! 이처럼
공학
적으로는 어마어마하게 어려운 과제를 우리의 손은 별다른 노력 없이 척척 해낸다. 다시는 손을 무시하지 마시라.마치 누군가 의도적으로 설계한 것처럼 보이는 적응은 어떻게 생겨났을까? 1858년 찰스 ... ...
이전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