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작
산출
제조
출산
저작
연출
출생
d라이브러리
"
생산
"(으)로 총 4,42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동아가 선정한 2004년 하이테크 20選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높은 소재로 만들었을 뿐 아니라 열전달 거리가 짧고 단면적이 넓어 열을 쉽게 방출한다.
생산
방식도 방열구조가 좋은 소성가공방식을 채택해 열을 빼기 위해 팬의 회전속도를 높이지 않아도 되는 구조. 미국 컴덱스에서 우수 출품작에 수여하는 ‘COMDEX FINALIST’로 선정된 바 있다.3시간 충전으로 ... ...
도쿄국제판타스틱 영화제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일본 관객들의 SF영화에 대한 애정은 대단했다.다양한 SF애니메이션과 영화가
생산
되고 SF영화를 사랑하는 관객이 있는 한 일본에서의 SF영화제는 승산이 있어 보였다. 집행위원인 시오다 도키토시는 SF영화제의 가능성에 대해 “관객이 원하고, 장르의 특화가 잘 이뤄진다면 얼마든지 좋은 성과를 ... ...
'풍력' 세계 전력수요 충분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재생가능에너지인 ‘풍력’ 으로 세계에 필요한 전기를 모두 만들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네덜란드 유트레트대 윔 터켄버그 교수팀은 과학전문지 ‘에너지 ... 밀집도가 가장 높은 동남 아시아는 바람 자원이 부족해 풍력만으로는 충분한 전기를
생산
할 수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 ...
과학자 3천명 축제에 뛰어들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특히 독일 전역에 50여개가 넘는 프라운호퍼연구소들 중 슈투트가르트 연구소는
생산
기술과 자동화 분야 연구에 있어서는 세계 최고다. 슈투트가르트는 기술을 매개로 대학과 연구소, 기업이 자연스럽게 융화돼 있는 도시인 것이다.여 름과학축제는 도시의 이런 특징을 고스란히 반영했다. 축제의 ... ...
세계는 지금 곤충산업 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연구가 진행 중이다.이번 사례는 아이디어 착안 단계에서부터 연구개발과 기술이전, 제품
생산
, 마케팅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우리나라가 독자적으로 끝냈다는 데 의미가 있다. 상대적으로 좁은 국토면적과 빈약한 부존자원을 지닌 우리의 상황을 고려할 때 작고 번식력 강한 곤충은 그만큼 경쟁력 ... ...
장에 사는 인체의 수호천사 비피더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있는 엔도스타틴, 콜레스테롤을 분해하는 콜레스테롤 옥시다아제 같은 단백질을
생산
하는 비피더스균을 개발했다.국산 비피더스균 개발 시급하다 우리나라에는 많은 종류의 유산균 제품이 유통되고 있다. 제품마다 들어있는 유산균의 종류와 수는 천차만별이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와 ... ...
그의 뇌와 그녀의 뇌는 다르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생기는 난소와 정소는 각각 여성호르몬(에스트로겐) 또는 남성호르몬(테스토스테론)을
생산
하기 시작한다. 성호르몬이 뇌가 형성되는 결정적 시기에 뇌 조직에 영향을 미쳐 여성의 뇌와 남성의 뇌 사이에 차이가 생기는 것이다. 이 시기는 매우 짧은 기간이지만 뇌의 성적 차이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 ...
신에너지혁명이 시작된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유가가 40달러를 넘나드는 고유가 시대다. 더 심각한 상황은 10년 내 석유
생산
이 줄어드는 진짜 대란이 시작되고 41년 뒤에는 지구에 매장된 석유가 바닥난다는 현실이다. 화석연료의 한계를 극복할 대안으로 손꼽히는 것이 재생가능에너지와 수소. 이들은 과연 지구촌에 몰아 닥친 에너지 위기를 ... ...
01. 10년내 진짜 석유대란 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여전히 차이가 크다.한국은 7월부터 울산시 부근 ‘동해-1 가스전’ 에서 천연가스를
생산
하며 세계 95번째의 산유국이 됐다. 이곳에 묻혀 있는 천연가스는 약 5백만t 규모로 한국이 6개월 동안 쓸 수 있는 양이다.국내 해저 대륙붕에서 석유 탐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90년대 들어서다. 서해, ... ...
04. 핵융합 vs. 우주태양광 - 2050년 상용화 목표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지원한 최근의 연구조사에 따르면 2050년에 지상태양광의 최대 기대치는 전기
생산
량의 15%를 넘지 못할 것이라고 한다.반면 우주에서는 태양빛이 지상보다 훨씬 강하고 날씨와 밤낮에 구애받지 않기 때문에 한반도 1.5배 면적의 태양전지판만으로 2050년의 요구량을 얻을 수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 ...
이전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