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d라이브러리
"
알
"(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동아클리닉] 한 눈에
알
아보는 비율그래프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비율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또한 막대그래프에 비해 전체에 대한 각 부분의 비율을
알
아보기 편합니다. 전체에 대한 각 부분의 비율을 원 모양으로 나타낸 원그래프는 중심각의 크기를 이용해 전체에 대한 부분의 양을 비율로 나타냅니다. 즉 부채꼴의 넓이로 크기를 나타냅니다. 이것은 도형의 ... ...
[과학뉴스] 대형 물고기 오줌이 산호초 지킨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양만큼 질소를 내보냈다. 몸집이 큰 육식성 물고기일수록 인을 더 많이 배출했다.
알
제이어 교수는 “큰 물고기를 잡는 지금의 어업활동은 바다 생태계에 꼭 필요한 영양소를 없애는 셈”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 8월 16일자에 발표됐다 ... ...
PART 2. 로봇의 도전, 가장 사람다운 표정 만들기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시각을 느끼는 부분과 감정을 느끼는 부분이 극적으로 활성화됐다. 연구팀은 사람인 줄
알
았는데 사실은 로봇이라는 것을 깨닫고 뇌가 혼란을 일으킨 것이라며, 휴머노이드가 거부감을 주는 이유라고 설명했다.세이진 교수와 함께 불쾌한 골짜기를 실험으로 증명한 이시구로 히로시 교수팀은 200 ... ...
[가상인터뷰] “부르르~!” 암컷을 유혹하는 진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있는 것을 발견했어요. 갈퀴들이 서로 붙들고 있는 덕분에 주변 깃털이 흔들려도 눈
알
모양 깃털은 가만히 있을 수 있답니다.일리 : 나와 함께 공작을 닮은 옷을 만들지 않을래?공작 : 아직도 공작은 관심의 대상이에요. 화려한 외모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천적들에 의해 멸종되지 않고 ... ...
[News & Issue] 전 우주에 고한다 외계문명 응답하라!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결국 우리가 외계인을 직접 발견하기 전까지는 실제 외계문명의 분포는 구체적으로
알
수 없다.몇 가지 사고실험을 할 수는 있다. 모든 골디락스 행성에서 지구에서와 똑같은 과정을 통해 문명이 나타났다고 가정하면, 우리은하에는 총 14억 개 정도의 외계문명이 있다는 뜻이 된다(위 오른쪽 ... ...
[Knowledge] 치아와 쇄골은 ‘뼈의 신분증’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형태를 비교하면 다른 검사 없이도 곧바로 신원 확인 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아냈다. 당시 이 뼈들은 1950년대에 약품 처리를 해서 DNA가 파괴돼 있었다. 신원확인에 어려움을 겪고 있던 상황에서 쇄골의 가치는 더욱 빛났다.필자가 아는 한 흉부 엑스선 검사와 DNA 검사를 모두 한 경우, 두 ... ...
[Career] 마음 흔드는 가시화기술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개발하기 더 까다롭다.가시화기술의 수요는 점점 늘어날 예정이다. 최근 VR 열풍에서
알
수 있듯, 보고 체험하길 원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다. 복잡하고 큰 데이터가 자꾸 만들어지는 공학, 과학 분야도 마찬가지다. 슈퍼컴퓨터와 결합한 고급 가시화기술이 활약할 분야는 무궁무진하다. 그러자면 ... ...
[Career] 일상의 난제를 해결하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안 되는 규칙들이 너무 많기 때문이에요. 개발자가 규칙들을 다 인지할 수가 없으니까
알
수 없는 버그가 생기는 겁니다. 이건 프로그램의 정확성과도 연결될 수 있는 문제죠.이선민 구체적으로 어떤 규칙들을 말씀하시는 건가요?허충길 법률과 비슷한데요. 음주 운전을 예로 들어볼게요. 만약 ... ...
[숲 이야기] 봄이 오면 사방이
알
록달록 진달래 가족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여러개가 모여나는 특징이 있지요. 이 종은 지금껏 일본에서만 자라는 일본 고유종으로
알
려져 있었어요. 그런데 지난해 봄에 국립수목원의 박사님들이 전남 여수시의 섬 지역에서 자라는 섬진달래를 발견하고, 우리나라에서도 자생하는 식물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답니다.섬진달래와 비슷한 시기에 ... ...
[News & Issue] “GMO 안전성 논쟁 종지부 찍자”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수상자들의 행동에는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내는 데 있어, 먼저 정확한 과학적 근거를
알
릴 필요가 있다”는 과학자들의 깊은 고민이 담겨 있다. 렌 교수는 e메일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우리의 이런 행동이 상황을 크게 바꿀 것이라고 확신하지는 못한다. GMO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바꾸기 ... ...
이전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