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절
"(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에이즈 예방 치료약 개발중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마우스의 수정란(受精卵) 핵 속에 래트의 성장 호르몬을 분비하는 구조유전자와 그
조절
유전자를 주입하여 염색체에 조합해 넣는 실험이 이루어졌다 연산처리 속도가 매초 10억 회 이상의 과학 기술 계산 전용의 컴퓨터 연산 속도를 높이기 위해 독자적으로 실행 가능한 연산기를 여러 개 사용하여 ... ...
한눈에 보이는 생명의 신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사람의 모습을 갖춥니다. 폐 기능도 거의 완성되어 외부 생활도 가능할 정도지만 체온
조절
능력은 아직 부족합니다. 태어나서 외부 자극에 대비하기 위해 엄마로부터 항체를 받아 병에 대한 면역 능력을 키웁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등을 구부리고 손발을 앞으로 모은 자세로 머리가 아래쪽을 ... ...
스위치 하나로 초점 맞추는 안경렌즈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럽게 생기는 노안 때문에 이중초점 안경을 끼는 사람들에게 반가운 소식이다.미국 애리조나대 궈창 리 박사팀이 안경에 내장된 스위 ... 시장에서 만날 수 있다며 궁극적으로는 안경렌즈의 초점을 카메라렌즈처럼 자동으로
조절
하는 기술을 개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
내 몸에 딱 맞는 입체음향 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된다. 연구팀은 마네킹의 양쪽 귀에 마이크를 붙이고 음원의 거리와 위치를 다르게
조절
하면서 소리를 냈다.음원과 귀까지의 거리, 소리의 진동수를 측정하고 마네킹의 마이크에서 들리는 소리의 세기를 측정한 뒤 ‘머리전달함수’를 계산했다. 같은 진동수의 소리라도 주파수마다 진폭과 ... ...
삔 발목에 발목 잡히지 않는 법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통증을 없앨 수 있다는 주장도 알려져 있었다.현재 침의 진통작용에 대해서는 관문
조절
설 이외에도 β-엔돌핀과 엔케팔린 등 신경내분비물질에 대한 여러 연구들이 발표돼 침술 마취가 단지 최면술이나 암시의 일종이라고 주장하는 학자는 없다.침술 마취의 과정을 살펴보자. 우선 수술할 때 ... ...
화성 궤도탐사선(MRO) 화성 궤도 진입 성공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acceptor) 등의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어 공급되는 전자나 양공(陽孔)에 따라 전기전도를
조절
할 수 있는 반도체이다 원자(중성 또는 이온)의 주기적 배열에 격자결함이 있는 결정 실존하는 결정은 모두 불완전하나 특히 불완전성이 큰 것을 가리켜 불완전결정이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곤충의 변태 ... ...
무엇이든 만드는 만능인쇄시대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양만큼 DNA를 뿌릴 수 있다. 전류의 세기를 변화시키면서 시료의 양을 매우 정확하게
조절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세계적인 프린터 제조업체 휴렛패커드(HP)의 자회사 애질런트테크놀로지는 2002년 모기업인 HP의 대형 잉크젯 프린터를 이용해 DNA칩을 대량 생산하는데 성공했다.지난해 캐논 역시 자사의 ... ...
허리를 웃게 하자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즉 침으로 인한 자극이 통증신호가 뇌에 이르는 것을 차단한다는 말이다.물론 관문
조절
설은 침의 효과를 설명하는 한 가지 이론일 뿐, 통증에 대한 침 치료의 지속적인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는 미흡하다.근육 깊숙이 자극하는 것이 비결만성 허리 통증이 생기는 원인이 있다면 이를 제일 먼저 ... ...
우리의 적 비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4호
들어 있는 축소판과 같아서 특별히 약하거나 혹은 강한 부위에 침을 놓아 기운을
조절
할 수있지요. 담배를 끊기 위한 금연침이나 임산부가 입덧을 막기 위해 맞는 침도 같은 원리랍니다.➜ 손가락의 성장점을 자극해 주는 레이저침도 있어요. 레이저를 이용해서 짧은 시간 동안 자극을 주는데 원래의 ... ...
태권V 로켓주먹 발사하려면?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비슷하다. 다만 무중력의 우주공간에서는 입으로 세게 부는 정도의 힘만으로도 방향
조절
이 가능하다는 게 다른 점이다. 실제 우주왕복선은 소형 로켓인 ‘추진시스템’(Reaction Control System) 44개가 앞뒤 옆에 붙어 있어 방향을 바꿔 원하는 자세로 도킹할 수 있다. 중력을 감안해 로켓주먹을 몸통에 ... ...
이전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