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달
발전
성장
향상
전개
발육
화재진압
d라이브러리
"
진화
"(으)로 총 3,203건 검색되었습니다.
03. 빠른 비트에 몸을 맡겨라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등장할 수 있었다. 멀티+64비트=울트라마이크로프로세서는 어디까지
진화
할 수 있을까? 마이크로프로세서는 과거 30년 동안 매우 빠른 속도로 발전해왔고 앞으로도 성능이 계속 좋아져 조만간 10GHz로 동작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도 등장할 것이다. 하지만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동작 주파수가 무어의 ... ...
06. 디지털 우주의 빅뱅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시간’ ‘무어의 속도’ 같은 파생 용어들이 잇달아 등장했다.‘황의 속도’로
진화
하는 기술뉴욕타임스는 지난 98년 2월 무어의 법칙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선언했다. ‘무어의 법칙은 이제 더 이상 타당하지 않다. 이 법칙은 트랜지스터 하나에 숫자를 하나 이상 저장하는 플래시 공학 같은 ... ...
과학에 대한 호기심만 준비하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질문을 하고, 틀리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고 자기가 생각해 내는 것이 중요하다는 거예요.
진화
론이 처음에 나왔을 때는 이상한 이야기였지만 위대한 이론이 된 것처럼 자기 스스로 생각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지요.과학을 어렵게 느끼는 것에 대해 교수님은 우리 과학교육이 너무 어렵기 ... ...
닥터 두리틀이 되고 싶나요?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말할 수 있는 음성기관을 갖고 있는 것은 서로 더 정확하게 의사소통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진화
했기 때문일 것”이라고 추측했다. ‘성대모사’할 수 있는 최적의 음성기관을 가진 덕에 앵무새는 인간과 가장 많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 움라이카의 트럭송은키시만큼은 아니지만 원래 다른 소리를 ... ...
산불과의 전쟁에 나선 과학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복원하는 방식으로 조금씩 바꿔 나가고 있다. 인터넷으로 산불을 예방한다산불은
진화
나 복원보다 예방이 더 중요하다. 국립산림과학원은 2003년부터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응용해 웹기반 산불위험예보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전국 76개 관측소 기상청으로 보낸 온도, 습도, 풍속 등의 기상정보를 ... ...
뇌 속에 감춰진 모나리자 코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비슷하다고 말한다. 뇌에는 아름다운 얼굴에 주목하는 시스템이 있다. 아름다운 얼굴은
진화
적으로 번식과 양육에 유리한 특징을 갖는 얼굴이다. 이런 시스템을 자극하는 어떤 것, 예를 들어 대칭과 균형성 등을 미술작품이 갖고 있을 때 우리는 아름다움을 느낀다. 독특한 개성을 가진 이성을 ... ...
걸음걸이 돕는 힘줄 지킴이 무릎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것이다.사람의 조상도 네 발로 기어다녔을 때는 발꿈치를 들고 있었다고 한다. 그러다
진화
하면서 두 발로 일어선 후부터는 발꿈치를 들고 있기가 힘들었을 것이다. 까치발 자세로 오래 서있으면 힘든 것처럼 말이다. 따라서 발꿈치를 내려 지금처럼 발꿈치가 땅에 닿게 된 것이다. 즉 사람은 네 발이 ... ...
다이어트로 인체는 깍쟁이 된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많다. 서양인보다 체격이 작기 때문이란다. 또 동양인의 유전자가 에너지를 아껴 쓰도록
진화
했기 때문이라는 가설도 있다. 최근 수세기 동안 서양인에 비해 동양인이 굶주려 살아왔기에 가능한 에너지를 적게 쓰고 많이 저장하는 유전자를 가진 사람이 생존에 더 유리했다는 것이다. 자동차로 치면 ... ...
여자는 쓴맛 남자는 단맛에 민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린다 바르토셕 교수는 “여성은 임신 중에 태아를 보호하기 위해 쓴맛에 더 민감하도록
진화
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반면 남성은 단맛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한편 맛에 대한 민감도는 개인에 따라 다르다. 이런 현상은 특히 쓴맛에서 두드러지는데 여기에는 유전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 ...
쓰나미도 잠재운 산호초의 힘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자라는 산호들이 있다. 세계적으로 산호초를 만드는 산호는 약 500종이 알려져 있다.
진화
론의 창시자 찰스 다윈은 1842년 산호초를 거초, 보초, 환초로 분류했는데, 아직도 이 분류법이 쓰이고 있다. 거초( 礁)는 가장자리에 만들어진 암초라는 뜻으로, 섬이나 대륙 주변의 수심이 얕은 해안에 발달한 ... ...
이전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