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량
계측
계량
관측
생각
추측
module
d라이브러리
"
측정
"(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모래 사이를 헤엄치는 도마뱀의 비밀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끌 때 드는 힘과, 접시와 유리구슬이 닿는 표면적을 달리해 접시를 끌 때 드는 힘을
측정
했다.실험 결과 앞이 좁은 막대만 구슬 더미 안으로 파고들고, 접시는 구슬 표면과 닿았을 때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알아냈다. 샌드피시 도마뱀처럼 머리가 뾰족하고 배가 평평해야 모래 속을 더 쉽게 ... ...
가장 자세한 달 지형 대공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달정찰궤도 우주선(작은 동그라미)에 달린 레이저 고도계측기로 달 표면의 높이를
측정
한 결과를 이용했지요.레이저 고도계측기는 레이저를 쏘아 달 표면이 얼마나 높고 낮은지를 측량하는 기구예요. 이를 이용해 사진에서는 달의 높은 부분은 붉은색으로, 낮은 부분은 푸른색으로 나타냈지요. 이 ... ...
Part2. 다강체_물질계의 엄친아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강유전성과 강자성의 상호 작용이 아주 클 경우에는 자기장의 미세한 변화도 정밀하게
측정
할 수 있다. 즉 자기장의 미세한 변화가 전기 분극 변화를 일으켜 전압 형태의 신호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의 읽기 쓰기에 이용되는 ‘리드 헤드(read head)’를 다강체로 바꾸면 전력 ... ...
한반도의 수질오염을 감시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때문에 오염 정도를 판단하는 데 적합하다. 농약과 같은 특정 물질에 관한 수질을
측정
할 때는 조류(藻類)나 물고기의 새끼를 이용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물벼룩을 기준으로 독성을 판단한다. 김 교수는 “우리나라도 내년부터 물벼룩을 이용한 수질관리 기준을 적용한다”고 밝혔다.물속에 ... ...
Part1. 초고체_원자 따로 노는 '구름' 결정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때문에 1초에 한 바퀴 정도인 비교적 느린 회전조차도 정교하게 조절되지 않으면
측정
을 교란시킨다. “김 교수에게서 공동연구를 제안받고 초고체의 연구현황을 살펴보니 무척 흥미롭더군요. 그래서 같이 해보기로 했죠.”김 교수는 박사후연구원으로 있는 최형순 박사를 리켄에 파견했고 코노 ... ...
개가 고양이보다 똑똑한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옥스퍼드대 인지·진화 인류학부 연구팀이 동물의 뇌 크기의 변화를
측정
한 결과 뇌가 가장 커진 동물은 원숭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번 연구는 11월 22일 미국 국립과학원회보 (PNAS)에 실렸다.연구팀은 현생 포유류의 뇌 크기와 과거 동물들의 화석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포유류 500 종의 뇌 크기 ... ...
‘2010 노벨사이언스 국가안보체험전'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열상 검출기가 장착돼 체온에서 나오는 열을 파악해 표적을 찾아내고 레이저로 거리를
측정
해 정확히 쏠 수 있다. 이 소총의 가장 큰 특징은 5.56mm의 일반 소총과 20mm구경의 공중폭발탄 발사기를 버튼 하나로 제어해 발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만일 소총탄을 이용한 정밀 사격이 힘들면 공중폭발탄을 ... ...
아라온 호 '남극 200일'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장비가 관측에 이용되고 있다. 바다와 땅속, 대기를 종합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다목적
측정
실인 셈이다. keyword 3. 생물극한의 생물에게서 배운다남극은 기온이 영하 55℃까지 내려간다. 여기에 최고 초속 50m까지 부는 바람이 더해지면 체감 온도는 더욱 낮아진다. 극한 환경이다. 하지만 모든 ... ...
NASA, 3D 달지도 완성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광선을 발사했다. 달궤도탐사선은 레이저 광선이 반사돼 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
해 거리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지형의 높이를 알아냈다. 고다드 우주항공센터의 그레고리 뉴먼 박사는 “1년 동안 수집해 30억 개 지점에 대한 데이터를 확보했다”고 밝혔다.새 지도는 기존 지도보다 담고 있는 ... ...
김필립 교수는 정말 억울하게 노벨상을 놓쳤나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뿐 아니라 2005년 중요한 성질까지
측정
해 보고했다. 김필립 교수도 성질을 거의 동시에
측정
해 발표했으나 가임 교수팀의 그래핀 제조법을 따랐다는 한계가 있었다.]노벨 물리학상 심사위원 현지 단독 인터뷰1“지도교수가 안 된다는 연구도 하라” 지난해 12월 7일 스웨덴 스톡홀름 시내 ... ...
이전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