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정
한정
특별
d라이브러리
"
특정
"(으)로 총 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입맛과 에너지 잡는 견인차 '분자육종'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시각도 있다. 그러나 분자표지는 그 작물이 갖고 있는 유전자의 일부분이다. 오 회장은 “
특정
형질을 갖춘 개체를 좀 더 쉽고 빠르게 선발하려는 게 분자표지를 이용하는 핵심 목적”이라며 “분자표지는 분자육종의 한 수단일 뿐”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한편에선 분자육종이 결국은 GM 작물을 ... ...
신생아도 숫자 안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신생아 16명에게 물체가 여러 개 놓여 있는 화면을 보여주면서, 동시에 물체의 수만큼
특정
소리를 들려줬다. 그 결과 15명의 아기가 물체의 수와 소리가 난 횟수가 일치하는 경우 그렇지 않은 때보다 스크린을 훨씬 더 오랫동안 쳐다봤다.이에 대해 이자드 교수는 “아기가 눈으로 본 수와 귀로 들은 ... ...
귀신 보는 사람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TMS) 장치의 작용과 매우 유사하다.TMS 장치는 머리 표면에 자기장을 유도해 두뇌 피질의
특정
부위를 자극하도록 개발됐다. 이때 자기장은 지구 자기장의 2만~4만 배에 해당하는 2T(테슬라) 정도이며, 자기장의 진동을 달리 해서 자극하는 부위의 뇌 활성도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TMS 장치는 지각, ... ...
“아라온 호, 극지 심해서 자원 확보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됐다는 것이다. “한반도에 다다르기 50여 분 전 남극을 지나는 위성에 명령을 전달해
특정
지역을 촬영하도록 하는 과정도 세종 기지가 관측소로 활용되기 때문에 원활히 이뤄지는 것”이라고 남 실장은 밝혔다.아라온 호 건조가 결정된 뒤에도 전개 과정은 녹록지 않았다. “설계팀이 배의 형태를 ... ...
빛과 전자가 만나 광정보통신 세계 연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빛이 표면을 따라 진행하면서 플라즈몬파를 만든다. 그런데 슬릿의모양을 조절하면
특정
부분에 플라즈몬파가 집중돼 전기장이 더 센 영역인‘핫스폿(hot spot)’을만들 수 있다.또한 슬릿의 모양에 따라 핫스폿이 여러 군데 나타나도록 만들 수도 있다. 이 교수는 “핫스폿을 이용하면 전기장 세기를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염색사)이 응축된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S기나 M기 세포의 세포질에 존재하는 어떤 물질(
특정
한 신호분자)이 S기나 M기로 진행을 조절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실험결과는 두 번 째 가설을 지지한다. 2) 실험 1에서 G1기 세포는 바로 S기에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세포분열상의 정상적인 시간을 지 ... ...
육종기술이 바꾼 풍성한 우리 식탁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전체 아미노산 함량도 일반 동안벼에 비해 76%나 높아졌다.방사선이나 화학물질을 처리해
특정
형질을 갖도록 하는 이른바 ‘돌연변이육종’ 방식이다.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신문식 연구관은 “우리 연구팀은 요즘 흰잎마름병에 잘 견디는 새로운 벼 품종을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벼 ... ...
멀티모델앙상블로 날씨 변덕 잡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분석이 필요하다.예를 들어 지난 수십 년간 모델이 예측한 결과와 실제 날씨를 비교해
특정
지역에서 A라는 모델의 정확도가 높다면 그 지역의 날씨를 예측할 때는 A모델에 가중치를 줘 계산하는 방식이다. 모델 자체가 경험을 쌓으면 스스로 발전하는 진화 알고리즘도 도입해 정확성을 높였다. MME는 ... ...
좀비PC앞세운 디도스 공격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대란’처럼 디도스 공격의 기본은 다량의 데이터를 일거에 쏟아내는 데 있다. 그러자면
특정
공격자가 다루는 한 대의 컴퓨터로는 부족하다. 공격자의 명령에 따라 움직이는 협력자 또는 하수인이 있어야 한다는 얘기다.그래서 필요한 것이 좀비 PC다. 일반 사용자의 PC에서 ‘영혼을 빼앗아’ 공격자 ... ...
여름밤 불청객 모기 뒤집어 보기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바이오테크놀로지’ 2004년 1월호에 실었다. 연구팀은 이 바이러스가 암세포 표면에 있는
특정
수용체에 쉽게 들러붙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첨단 태양전지 안에 모기 눈 있다?!모기의 생태뿐만 아니라 생김새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발명품이 탄생하는 경우도 있다. 미국 플로리다대 화학공학과 지흥 ... ...
이전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