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뉴스
"
빛
"(으)로 총 4,067건 검색되었습니다.
부산대 연구진, 성능 개선된 양자통신용 광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셀에서 이런 광자 특성을 제어해 효율이 높은 양자얽힘 광원을 개발했다. 원자 증기 셀은
빛
이 진행할 수 있도록 무반사 코팅 창이 달린 고진공 상태의 공간이다. 이곳에 원자를 넣고 밀봉하면 순수한 원자가 증기 상태로 머무른다. 또 이 양자 광원의 특성을 양자간섭과 양자상태 단층 측정을 통해 ... ...
KAIST
빛
낸 연구성과에 신개념 양자컴퓨터·투명 터치센서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이 우수 연구성과로 선정됐다. 공학 분야에서는 △시공간 경계를 이용한
빛
의 선형 주파수 변환 기술(민범기 교수·기계공학과) △투명 유연 포스 터치 센서(윤준보 교수·전기및전자공학부) △반도체 웨이퍼 내 결함 패턴 탐지(김희영 교수·산업및시스템공학과) △스핀 기반 로직 소자(박병국 ... ...
두 개의 태양 뜨고 지는 케플러-47에서 세 번째 행성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통과 방식'을 이용해 이 행성을 찾아냈다. 천체면 통과 방식는 행성이 별 앞을 지날 때 별
빛
이 줄어드는 현상을 통해 행성의 존재를 확인하는 것이다. 오로스 교수는 "두 행성을 발견했을 때에도 제3의 행성이 있을 수도 있다고 짐작했었다"며 "하지만 당시에는 천체면을 통과할 때의 신호가 약해 ... ...
더 밝고 전기 적게 쓰는 QLED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16
것을 확인했다. 정공의 움직임이 많아지며 양자점에서 더 많은 전자와 만나 더 밝은
빛
을 냈다. 연구팀은 “기존 소자와 비교해 밝기는 최대 4.5배, 전류효율은 1.7배, 전력 효율은 2.3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적록청(RGB) 양자점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어서 상용화에도 도움이 될 ... ...
블랙홀 사진 탄생 주역 20代 여성과학자, 업적 놓고 설왕설래
동아사이언스
l
2019.04.15
관측 영상이 처음 공개된 것은 과학사적으로 중요한 업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빛
조차 빠져나오지 못하는 블랙홀 관측 영상이 최초로 공개된 뒤 한 20대 여성 과학자의 공적이 세계 과학계와 언론의 집중 조명을 받고 있다. 올 가을학기부터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에서 조교수로 강단에 서게 될 2 ... ...
자연이 만든 플라스마 발생장치 '포도알'
과학동아
l
2019.04.13
이온 분리돼 플라스마 발생 포도알 플라스마 생성실험을 통해 플라스마가 만드는 불
빛
이 1-2초간 나타났다. 김진호 기자 국내에서도 포도알로 플라스마를 생성하는 실험이 진행된 적이 있다. 2015년 이 실험을 진행한 송미영 국가핵융합연구소 플라스마기술연구부장은 “안경에 사용하는 유리는 ... ...
"너무 흐릿해" 블랙홀 관측 이미지는 왜 뿌옇게 보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4.12
5500만 년 이동해야 도착할 수 있는 거리의 우주를 거치면서 한번 더 왜곡이 일어났다.
빛
이 은하계를 돌아다니며 은하계의 먼지와 가스를 통과하면서 왜곡된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구의 두꺼운 대기를 거치면서 왜곡이 또 일어났다. 연구팀은 관측된 이미지를 활용해 왜곡을 단계적으로 없애는 ... ...
장갑처럼 끼고 문어처럼 움직이고...‘소프트로봇’이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2
변형되는 소프트 로봇이다. 가오리 로봇은 쥐의 심장근육세포에 유전자조작을 가해
빛
의 양에 따라 수축과 이완운동을 하며 움직이는 게 특징이다. 미국 연구진은 전기에너지가 없어도 움직일 수 있는 소프트 로봇을 개발해 주목받았다. 하버드대 연구진이 개발한 ‘옥토봇’으로 과산화수소가 ... ...
인류 앞에 베일 벗은 블랙홀...“다음 목표는 동영상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19.04.12
거대한 블랙홀을 관측해 블랙홀 뒤편
빛
및 블랙홀 주변의 입자가 가속하며 발생시키는
빛
이 계산대로 휜다는 사실을 직접 확인했다. 연구팀은 블랙홀 연구가 이제 시작이라고 말한다. 감도를 올려 더 세밀하게 관측하고, 더 많은 정보를 모아 블랙홀의 특징을 밝힐 차례다. 이것은 우주의 역사를 ... ...
장갑처럼 끼고 문어처럼 움직이고… ‘소프트 로봇’이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2
변형되는 소프트 로봇이다. 가오리 로봇은 쥐의 심장근육세포에 유전자조작을 가해
빛
의 양에 따라 수축과 이완운동을 하며 움직이는 게 특징이다. 미국 연구진은 전기에너지가 없어도 움직일 수 있는 소프트 로봇을 개발해 주목받았다. 하버드대 연구진이 개발한 ‘옥토봇’으로, 과산화수소가 ... ...
이전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