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뉴스
"
100
"(으)로 총 10,161건 검색되었습니다.
[랩큐멘터리] 인공신경망으로 미지의 유체흐름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1.19
태풍의 경로와 세기를 예측하는 연구를 진행하기도 했다. 연구실은 컴퓨터 팬
100
개를 활용해 원하는 형태의 바람을 자유자재로 만드는 프로그래머블 풍동 뿐만 아니라 최근 인공신경망 기술을 전산해석과 실험에 결합하는 연구도 진행중이다. 유 교수는 유체역학을 좋아하는 이유로 유체역학이 ... ...
[이덕환의 과학세상]폴리페놀 발색 샴푸 논란의 관전 포인트
2022.01.19
물질은 지나치게 많이 사용하면 독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폴리페놀도 예외가 아니다.
100
mL의 염색제를 30분 이상 사용해야 하는 영구 염모제와 달리 발색 샴푸에 들어있는 THB의 양이 매우 적고, 사용시간도 충분히 짧기 때문에 걱정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제도가 신기술을 따라가지 못한다’는 ... ...
코로나 백신 4차 접종해도 오미크론 변이 예방효과 '불충분'…새 백신 필요성 커져
동아사이언스
l
2022.01.18
측정되지 않을 정도로 낮았지만, 3차접종을 한 사람은 나이와 상관없이 모두 중화항체가
100
배 가량 증가했다. 최근에는 3차접종 역시 오미크론 변이를 막아내는 효과가 떨어진다는 임상 데이터가 나오며 4차접종의 필요성까지 제기됐다. 문제는 화이자나 모더나처럼 mRNA 기반이 아닌, 다른 ... ...
[과학게시판] 원자력연, 실제 원자로 흉내 낸 실증 장비 구축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1.18
원격 조종이 가능하다. 이로써 머리카락 굵기의
100
분의 1 수준인 수 μm(마이크로미터·
100
만분의 1m)의 부식 균열까지 정확하게 측정해낸다. ■ 한국전기연구원(KERI)은 전고체전지 연구개발팀(하윤철·김병곤·최홍준 연구원)이 개발한 안정적인 황화물계 전고체전지용 음극 제조 기술이 국제학술지 ... ...
[의학게시판] 한림대의료원, 한림명조체 공개·무료 배포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1.17
고딕)에 이은 일송학원의 전용서체다. 한림체는 설립자인 일송 윤덕선 박사의 탄생
100
주년을 기념하고 ‘덕’과 ‘선’의 이타적인 삶을 살아간 일송의 철학을 계승하고자 개발했다. 일송의 철학은 주춧돌·희생·봉사이며 함께 녹아든 핵심가치는 일송학원의 문화인 도전·응전·따뜻한 울림이다. ... ...
中 베이징올림픽 경기장
100
% 재생에너지로 전력 공급…첫 탄소중립 동계올림픽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2.01.17
교수는 IEEE를 통해 “올림픽 경기장들이 다양한 지역에서 전력을 공급받기 때문에
100
% 친환경 전력을 사용하는지 파악하는 건 복잡한 문제”라며 “친환경 전환을 광범위하게 도울 수 있는 일부 시설을 더 배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
면역 항암제 부작용 줄이고 효능 높인 신기술 '속속'
동아사이언스
l
2022.01.17
알루미늄은 백신의 면역반응을 높이는 보조제로 종종 활용되는데 마이크로미터(㎛,
100
만분의 1미터) 수준으로 제어가 가능한 게 장점이다. 이 방법을 이용한 면역 항암제를 암에 걸린 실험쥐에 투여한 결과 종양이 50~90%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바인 부소장은 “사이토카인인 IL-12를 종양에 ... ...
코로나19 위중증 사흘연속 600명대...해외유입 확진 5일 연속 300명 넘어
동아사이언스
l
2022.01.16
필리핀 25명 순이다. 미국은 지난 3일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인해 일일 신규 확진자가
100
만 명을 넘기며 정점을 찍은 뒤 지난 2일 연속 80만 명대가 발생하며 확산세가 주춤하고 있다. 국내 위중증 환자 수는 612명으로 전날 626명에서 14명 줄었다. 지난 14일 45일 만에 700명 밑으로 내려온 뒤 사흘 ... ...
[인터뷰]"혁신 교육과 세계적 연구, 창업이 공존하는 공대를 꿈꿉니다”
과학동아
l
2022.01.15
디스플레이의 경우 애플 등 주요 기업이 제조 공정에 탄소가 발생하지 않는 기술을
100
% 도입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는데, 현재로서는 달성하기가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이 학장은 “다양한 전공이 제조공정 신기술을 연구해 실질적으로 제조법을 바꾸는 데 공헌해야 한다”며 “수출과 부품 납품이 ... ...
한 번 충전하면 800km 달리는 전기차용 전고체 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1.13
기존에 대표적인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기반의 고분자 전해질에 비해 이온전도도가
100
배 정도 향상됐다. 개발된 고분자 전해질은 얇은 리튬금속 음극과 니켈 리치 양극(NCM-Ni83)으로 구성된 전고체 전지에서 4.5V 이상의 고전압에서도 안정적으로 구동했고 410Wh/kg 이상의 세계 최고의 ... ...
이전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