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라
국민
민족
겨레
세상
정치적 통일체
공화국
d라이브러리
"
국가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빛의 혼돈이 만든 초소형 레이저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교수는 “마이크로디스크 레이저를 연구하고 양자 혼돈을 이용한 암호화 기술을 개발해
국가
간 정보전에 대비해야 한다”며 “광학과 전자공학를 결합한 ‘포토닉스’(Photonics)분야에 정부가 적극 지원해야 하는 이유”라고 강조했다 ... ...
지구속은 어떤 모습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0호
늘었다. 지진 관측 장비가 발달하면서 작고 미세한 지진까지 잡아 낼 수있기 때문이다.
국가
지진정보시스템의 자료실에서는 1978년부터 최근에이르기까지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지진의 규모와 피해 사례 등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
태권V 생각만으로 조종하려면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방법은 이미 오래 전부터 연구돼 왔다. 게다가
국가
과학기술위원회에서 선정한 ‘미래
국가
유망기술 21’에 지정돼 있을 정도다.BMI는 말 그대로 뇌파를 이용해 기계장치를 움직이는 기술이다. 하지만 뇌파는 매우 많은 신경세포의 활동전압이 합쳐져 나오는 복합신호다. 게다가 아직까지는 평균화된 ... ...
연구도 인생도 흐르는 강물처럼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하류에서 물의 흐름을 어떻게 조정해야 홍수가 나지 않을지 대비하면서, 장기적으로
국가
물 자원 시스템을 마련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학문이 수문학이다.토목공학의 한 분야인 수문학을 전공한 선우 교수는 자신을 확률적으로 접근하는 엔지니어로 소개한다.“공학자는 정확해야하는데 수문학은 ... ...
4. 총성 없는 우주전쟁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우연의 일치였겠지만 당시 미 공군 우주사령관이던 로드 대장은 부시 대통령이 ‘
국가
안보에 관한 대통령 명령 제 17호’에 서명하기를 기다리고 있었다. 이 새로운 명령이 발효됨으로써 미국은 우주의 평화적 이용을 강조하던 클린턴 정부의 옛 우주정책을 폐기하고 우주무기의 배치를 허용하는 ... ...
미래의 공학 한국, 우리에게 맡기세요!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성장의 원동력이 될 것”이라며 “공학자를 꿈꾸는 여러분들이 나중에 사회 곳곳에서
국가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공대생으로 다시 만나요~캠프를 마친 학생들은 3박 4일 동안 정들었던 친구들과 도우미와 헤어지는 것을 못내 아쉬워했다.그러면서도 2년 뒤 공대생으로 다시 ... ...
바다에 이산화탄소 저장하기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먼 거리에서 혜성의 존재를 코마로 확인한다타인의 통화를 무작위로 엿듣는 것
국가
안보, 범죄 수사 등 법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엿듣는 것선곡한 음악에 샘플링, 스크래치, 믹싱을 가미해 기존 곡을 새로운 느낌으로 가공하는 행위다른 종의 난자를 이용한 복제천체가 시선 방향으로 멀어지거나 ... ...
1. 세계로 가는 철도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끝나 한국철도는 세계로 뻗어 가는데 필요한 기반을 갖췄다.러시아, 중국, 몽골 등 대륙
국가
들과 협력하면 고립된 철도에서 벗어나 동북아시아 물류 허브로 발전할 수 있는 기회가 열린다. 운송비용을 절약하는 한편 내륙 아시아의 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데도 큰 도움이 된다.그러나 궤도 ... ...
목숨 살리는 '생명 빨대'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걸어 발신음만 들은 뒤 끊었다가 그 회사로부터 걸려오는 전화를 거꾸로 받아 원하는
국가
의 상대방과 통화를 연결한다 이용자는 전화를 받은 상태에서 미국 등지의 상대방 전화번호를 눌러 국제전화를 한다 국제전화요금이 상대적으로 비싼 우리나라에서 이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기존 요금보다 3 ... ...
3. 우리 농작물로 만든 위대한 밥상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무엇을 했을까?녹색혁명을 선도한 ‘F1’ 모종우리나라는 녹색혁명에 성공한 대표적인
국가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우리가 하루도 거르지 않고 먹는 김치의 재료인 배추와 무, 고추 등의 작물에서 품질과 생산성을 크게 높이는데 성공했기 때문이다. 지금은 김치를 계절을 가리지 않고 만들 수 ... ...
이전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