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PICK] 백악기 한반도에 ‘참새 공룡’ 살았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척추동물 발자국 화석들은 세계에서 가장 다양성이 높다. 전남 신안군 사옥도에서 발견된 다양한 백악기 척추동물 발자국 화석들도 마찬가지다. 지금까지 알려진 주요 화석산지들 대부분은 개발 공사를 통해 알려졌다. 백악기 공룡들이 잠들어 있는 퇴적층이 분포한 곳을 개발할 경우에는, 반드시 ... ...
- [검시관의 사건 노트] #01 유병언은 언제 사망했나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과학적인 방법으로 검증한 증거는 차고 넘쳤다. 하지만 불신으로 가득했던 여론은 정해진 결론을 원하는 듯했다. 적어도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 현재 수사팀은 이를 계산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앱)을 개발해, 부패한 시체가 발견된 현장에서 사망 시점을 바로 확인하는 데 쓰고 있다 ... ...
- [시사기획] 2019 미세먼지 전망 어디까지 알아냈나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미세먼지의 약 1%가 간에서 발견됐고, 4시간이 지났을 때 신장에서도 미세먼지의 0.25%가 발견됐다. 미세먼지가 호흡기관을 거쳐 간과 소장, 대장, 신장, 방광을 거쳐 소변으로 배출되기까지 걸린 시간은 7일 이상이었다. doi:10.1039/c8cc08304e 전 선임연구원은 “미세먼지가 체내에서 어디에 분포하고 ... ...
- ‘메이드 인 코리아’ 75t급 액체로켓엔진 대한민국을 들어 올렸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불안정이 있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는 대전 본원에서 저압 연소시험을 했을 때는 발견하지 못했던 현상이었다. 원래 작동 환경에서 시험해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시험평가의 목적이긴 하지만, 처음부터 액체로켓엔진 개발의 최대 난적을 만난 것이다. 그렇게 연소 불안정이라는 커다란 ... ...
- Part 4. 태양계 밖 - 외계행성의 비밀을 풀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지구만큼 작을 뿐, 해왕성(지구 크기 4배)처럼 중간 크기가 없다는 거예요. 지금까지 발견된 중간 크기의 뜨거운 외계행성은 ‘GJ 3470b’와 ‘GJ 436b’가 거의 유일하지요. 천문학자들은 ‘중간 크기의 행성들은 증발되어 크기가 줄어들기 때문’이라고 추측했답니다. 그런데 최근 스위스 ... ...
- [지구사랑탐사대] 나는야 우리 동네 생태연구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몰아 제비를 쫓아갔지요. 오랜 사투 끝에 어느 집 문 앞에 있는 전등 위에 제비집을 발견했어요. 집 주인에게 양해를 구하고 성체 두 마리와 새끼 한 마리가 있다는 기록을 얻었지요. 유연우 대원은 “지사탐 활동으로 아무 생각 없이 다니던 길을 자세히 보게 됐다”며, “여러 식물과 곤충의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의 아름다움을 아이들과 나눈 니콜 스탓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친구에게 “내가 요즘 이것저것 시도해보고 있으니까 기다려봐. 해보고 괜찮은 걸 발견하면 같이 하자!” 얼마 전에 니콜이 이런 말을 했다. 설사 그렇게 되지 않더라도 마음이 얼마나 감사하던지. 니콜과 크리스는 큰 의지가 되는 친구들이다. 서로 하고 있는 고민도 비슷하다. 과거 일하던 직장을 ... ...
- 인문학을 사랑한 수학자 게오르디 윌리엄슨 호주 시드니대 교수수학동아 l2019년 01호
- 년 동안 매달린 끝에 특정 소수보다 큰 소수 중에서도 추측이 틀린 경우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고, 이런 소수를 찾는 방법도 알아냈다. “2009년 중국 상하이에 볼일이 있어 머물렀는데, 문득 샤워하다가 루스즈티그 추측이 성립하지 않는 소수를 찾을 아이디어가 떠올랐어요. 곧장 컴퓨터를 켜고 ... ...
- Part 1. 몸풀기 게임 진실 혹은 거짓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한편 미국의 비영리 천문연구소인 세티(SETI)는 오무아무아에서 어떤 인공 신호도 발견되지 않았다며 하버드대학교 연구팀의 주장을 반박했어요. 오무아무아를 둘러싼 논쟁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답니다. 진실 혹은 거짓 2 - 우주에서 장례식이 치러진다? 2018년 12월, 미국의 우주탐사기업 ... ...
- [헷갈린 과학] 흰개미가 개미가 아니라니! 흰개미 vs 개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개미와 달리 흰개미는 바퀴벌레와 사촌이랍니다. 남극을 제외한 대부분의 토지에서 발견되는 흰개미는 크기가 보통 4~15mm이고 흰색을 띠어요. 더듬이는 두 개가 곧게 뻗어 있지요. 주로 땅 밑에 살며 죽은 나무를 갉아먹어 자연의 중요한 분해자 역할을 하는데, 때로는 오래된 문화재의 기둥을 ... ...
이전2082092102112122132142152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