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d라이브러리
"
유전
"(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비글호 2008 진화섬으로 떠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1호
화석으로 발견되는 진화의 증거로 전체 진화 과정을 밝히고 있지. 최근엔 생물의
유전
정보를 비교해 생물들이 서로 얼마나 가깝고 먼지 알아 내고 있어.이제 우리의 진화 여행을 마무리 해야겠다. 좀 아쉽긴 하지만 너희들이 다음 항해의 선장이 되길 바라면서 난 이만 떠날게! 안녕~ ... ...
으악! 내가 주워온 아이라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8호
발견된 희귀 혈액형으로는‘봄베이O형’이라는 게 있어요. 실제로는 A형이나 B형
유전
자를 지녔지만 검사에서는 O형으로 나오죠. 하지만 봄베이 O형은 아직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사례가 없어요.” “그렇군요. 전 혈액형은 단순히네종류만 있는줄 알았어요.”“혈액형은 ABO식 외에도 종류가 ... ...
있다? 없다? 별난 신종 생물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7호
채집한 표본을 모양이 비슷한 생물끼리 나누어 모은다. 미생물은 형태가 단순해
유전
정보를 이용해 분류해야 한다.기존의 생물과 다르게 생긴 생물이 있다면 신종일 가능성이 있다. 단, 단순한 변이이거나 암수의 차이, 어른과 새끼의 차이 등으로 인해 달라 보일 수 있으니 표본은 최소한 2개 ... ...
멋진 과학 통행증을 나눠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7호
어렵고 힘들었어요. 하지만 지금은 오히려 과학적 사고가 중요하다는 걸 느껴서‘이기적
유전
자’같은 과학책을 읽어요. 논리적으로 생각하고 사물을 이해하는 과학적 사고력은 세상을 잘 이해할 수 있게 해 주거든요.”이윤석 아저씨는 어릴 때‘어린이과학동아’처럼 과학을 쉽고 재미있게 풀어 ... ...
[생명과학]흰개미 생존의 비밀은 이중 공생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월 14일자에 보고했다. 이들의 게놈은 크기가 111만 염기쌍으로 질소를 고정하는데 필요한
유전
자들이 분포해 있었다.연구자들은 “질소 고정과 셀룰로오스 분해는 원생생물 안에서 이뤄진다”며 “흰개미의 생존 배경에는 이렇게 고도로 발달한 공생시스템이 있다”고 설명했다 ... ...
지구 멸망 시나리오 3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지구 어딘가에 살아있을 지도 모른다. 외계생명체의 존재를 확인해 이들이 지구생명체의
유전
적 조상이며 인간이 우주에 남겨진 외로운 지적 존재가 아니라 우주 어느 곳에 우리의 혈연이 살고 있다는 상상이 전혀 불가능하진 않다는 뜻이다. 좌우대칭이 생존에 유리해만약 외계생명체를 ... ...
번쩍! 메가번개를 맨눈으로 보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우리나라가 IT강국이라는 사실이다.그에 걸맞게 ISS에서 했던 실험 가운데 하나가 FRAM(강
유전
체 메모리 반도체 소자)을 테스트하는 일이었다. FRAM은 빠른 속도를 자랑하는 기존 DRAM의 장점과 전기가 끊겨도 데이터를 계속 저장할 수 있는 플래시메모리의 장점을 모두 갖춘 차세대 반도체 가운데 하나다 ... ...
[생물]혈액형
유전
자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결합한다. 혈액형을 나타내는
유전
자와 바이러스나 세균이 침투할 때 결합하는 수용체의
유전
자가 같은 염색체 상에 존재하고 이들이 연관돼 있다면 특정 혈액형에서 바이러스나 세균이 일으키는 질병 종류가 달라진다. Q 2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가) 혈액은 조직을 순환하며 산소와 ... ...
‘다이아몬드 손’ 가진 과학자 최희욱 교수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시작했다. 1984년 박사과정에 들어가서는 RNA의 특정 부분을 자르는 RNase T1이라는 효소의
유전
자를 화학적으로 합성해 대장균에서 발현시키는 연구에 뛰어들었다.“한 2년 열심히 실험하고 있는데 일본 연구진이 같은 주제의 연구결과를 실은 논문을 냈습니다. 결국 석사 때 결정을 만들어놨던 ... ...
해파리가 안겨준 형광빛 메달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받았다. 스탠퍼드대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하면서 유비퀴틴이라는 단백질의 양이 감소된
유전
자 결핍 생쥐를 만들어 이들의 시상하부에서 뇌세포가 손상됨을 보여줬다. 최근에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를 위해 뇌세포의 기능과 생존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지난 9월 서울시립대 ... ...
이전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