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정
절차
순서
길
단계
노선
항로
뉴스
"
경로
"(으)로 총 2,185건 검색되었습니다.
암세포 몇 개 있어야 암 될까?
과학동아
l
2014.04.06
발표했다. 클리어리 교수팀은 세포 속 신호 전달
경로
중 하나인 ‘윈트(Wnt) 신호 전달
경로
’가 한 암 줄기세포로부터 나온 암 세포들을 유전자가 전혀 다른 두 종류의 암 복제세포(루미널, 기저)로 만든다는 사실을 먼저 확인했다. 그 다음, 두 종류의 암 복제세포를 채취해 실험용쥐에 ... ...
예상보다 작고 강한 '놈'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3.23
사이언스 제공 이번주 ‘사이언스’ 표지는 허블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남쪽바람개비 은하(M83)가 장식했다. 지구로부터 약 1500만 광년 떨어진 바 ... 더 깊은 곳으로 전달된다”라며 “방향성에 따라 시각정보는 명백히 구분되는 서로 다른
경로
를 거쳐 뇌에 전달되는 것”이라고 밝혔다 ... ...
느낌 아니까! 터치는 따뜻한 손으로 천천히…
동아사이언스
l
2014.03.18
속도에 큰 차이없이 전반적으로 쾌감도가 떨어졌다. 저온이나 고온에서는 CT가 아닌 다른
경로
로도 불쾌한 온도정보가 전달돼 쾌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연구자들은 따뜻한 온도에서 적당히 느린 속도로 쓰다듬을 때 강하게 반응하는 CT시스템이 진화한 이유를 부모와 자식의 ... ...
수면장애 해결방법 드디어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28
무기력증. 조울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생체리듬이 작동하는 새로운
경로
를 발견해 주목 받고 있다. 서울대 생명과학부 백성희 교수와 남혜진 박사가 주도한 국내 공동 연구진은 생체리듬을 조절하는 새로운 단백질을 찾았다고 27일 밝혔다. 연구진은 하루 동안 생쥐의 ... ...
줄기세포로 청각 장애 고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23
supporting cell)를 이식했다. 그 다음 이전 연구에서 찾아낸 특정 단백질(notch)의 전달
경로
를 찾아냈다. 이 단백질은 유모세포의 재생을 막는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새로운 유모 세포가 Lgr5라는 단백질을 생산하는 줄기세포에서 재생되는 것을 확인했다. 그 결과, 유모세포의 수는 정상수준까지 ... ...
화산 폭발시 가장 위험한 것은 용암? 아니 ‘잿빛 폭풍’
동아사이언스
l
2014.02.19
현재 정부는 윤 교수의 연구를 토대로 화산 분출량과 풍속 등의 정보를 알면 화산재의
경로
와 도달 시간을 3차원으로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내년에는 화산이 폭발했을 때를 대비한 국민 행동 요령도 배포할 계획이다. 지난 달 21일에는 ‘지진·화산의 관측·경보에 관한 법률’을 ... ...
[시론/김우주]‘AI, 사람감염’ 청정국 평가받는 한국
동아일보
l
2014.02.17
소비를 촉진해야 할 때이다. 우리는 매년 겨울 시베리아에서 남하하는 철새의 주요 이동
경로
에 위치하고 있다. 서남 지역에는 가금농장이 밀집해 있다. AI 풍토병 지역인 중국이 가까이 위치해 있다. AI 유행의 고위험 지역이란 얘기다. 정부 당국은 이번 H5N8 유행이 국내의 마지막 AI 유행이 되도록 ... ...
[채널A] 정부, 철새 이동
경로
실시간 감시…3월까진 비상
채널A
l
2014.02.12
물론 AI와 철새 이동과의 연관성을 밝히는 데 활용될 전망입니다. 정부는 철새 이동
경로
의 실시간 감시체계를 확대하기 위해 배터리 성능을 개선하고 통신비용을 낮추는 등 기술개발에도 힘 쓸 계획입니다. 채널A 뉴스 이영혜입니다. (모바일에서영상 보기 : http://news.ichannela.com/society/3/03/20140211/607 ... ...
연구 열정 앞에는 뱃멀미도 '저리가'
동아사이언스
l
2014.02.09
그 주인공. 이들은 출항 이후 하루 4시간 이상 잠든 적이 없다. 아라온 호가 지나가는
경로
에 있는 바닷물을 4시간 간격으로 퍼올려 해양 부유물과 플랑크톤에 대한 자료를 모으는 임무를 맡고 있기 때문이다. 아라온 호에 설치된 펌프를 이용해 4시간 간격으로 바닷물을 퍼 올리면, 미리 ... ...
알츠하이머 막으려면 딸기·오이 많이 먹어라
동아사이언스
l
2014.02.04
병의 진행이 멈춘 것이다. 연구진은 피세틴을 먹은 쥐에서 세포 내 염증을 일으키는
경로
가 둔화됐으며 염증을 억제하는 분자가 발견됐다는 점에 주목했다. 또 피세틴이 신경 세포의 생성과 사멸을 조절하는 스위치 단백질 ‘p35’가 다른 단백질(p25)로 분열되지 않게 한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 ...
이전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