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제어
구속
억압
규제
콘트롤
자제
뉴스
"
억제
"(으)로 총 2,950건 검색되었습니다.
신개념 나노촉매로 이산화탄소 70% 이상 에틸렌으로 변환
동아사이언스
l
2019.04.28
이산화탄소로부터 70% 이상의 에틸렌을 얻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또 부산물 발생을
억제
하기 위해 구리산화물이 전기에너지에 의해 환원될 때 그 구조가 작은 결정 크기를 갖도록 유도했다. 이를 통해 형성된 4~5나노미터(10억분의 1미터) 크기의 구리산화물 구조는 표면 반응성이 크게 향상되는 ... ...
스트레스 받을 때 폭식하는 건 인슐린 탓
동아사이언스
l
2019.04.26
높아지면 신경세포가 인슐린을 인식하는 게 오히려 무뎌진다"며 "결국 식욕을
억제
하는 데 실패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 연구를 통해 인슐린이 편도체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면서 "이외에도 인슐린이 뇌의 어느 다른 영역에 작용해 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지 연구할 계획 ... ...
1990년대 후반~2013년 북서태평양 태풍 20% 줄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9
지역 기후가 장기적으로 변해 태풍 발생을 증가시키는 엘니뇨가 감소하고 태풍 발생을
억제
하는 라니냐가 증가한다는 의미다. 연구팀은 2014년 이후에는 태평양 10년주기진동이 다시 음의 값에서 양의 값으로 변했다고 밝혔다. 엘니뇨 발생이 증가하고 라니냐 발생이 감소하고 있다는 의미다. ... ...
‘적이냐 먹이냐’ 순간적 판단, 뇌 속 ‘스트레스 세포’가 담당
동아사이언스
l
2019.04.18
아래). 사진제공 KAIST 반대로 맛있는 음식이나 이성 쥐 등이 주어지면 CRF 활성이 빠르게
억제
됐다. CRF 세포가 부정적 또는 긍정적 자극에 대해 양쪽으로 반응한다는 사실이 증명된 것이다. 김진은 연구원은 “CRF 호르몬의 구조가 밝혀진지 40년이 지났지만 느린 내분비 조절물질로만 알려져 ... ...
면역질환 유발 단백질 알고보니 DNA 복구도 조절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6
시스템이 작동된다. 손상된 유전자를 복구하는 것은 암을 비롯해 각종 질병을
억제
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이창우 성균관대 의학과 교수와 조혜성 아주대 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생체 내 유전자 손상을 인식하고 복구하는 조절시스템을 발견했다고 16일 밝혔다. 연구팀이 규명한 것은 DNA ... ...
암세포 '신분증' 바꿔치기 해 암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성공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설피속사졸이 엑소좀 분비를
억제
하는 원리. 설피속사졸이 엔도테린 수용체 A와 결합하면, ①엑소좀 생성 관련 인자가 감소하면서 ②다소포 엔도좀과(MVE)와 라이소좀의 융합이 증가한다. 또 ③엑소좀 생성량이 줄어든다. ④ 결국 세포 밖으로 ... ...
소화·면역 돕는 장내 미생물 '암세포' 증식도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09
UPR 반응이 거의 없더라도 장내미생물 11개 종이 그대신 면역반응을 활성화시켜 종양을
억제
하는 셈이다. 연구를 이끈 제브 로나이 샌포드번햄의학연구소 암센터 교수는 "이 장내미생물 11종을 이용한 면역요법을 적용하면 항암치료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장내미생물들이 생산하는 대사산물이 ... ...
인플루엔자가 사라지지 않는 이유는 '냉동식품'
동아사이언스
l
2019.04.09
“T세포는 면역과정과 크게 관련이 있는데 삼차뷰틸하이드로퀴논이 T세포의 활동을
억제
한다”며 “삼차뷰틸하이드로퀴논을 덜 섭취하기 위해 저지방식을 먹거나 간식을 줄여야한다”고 말했다 ... ...
한-이스라엘, 이끼식량·양자암호·천문관측 공동연구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08
환경과학 분야에서는 영남대와 이스라엘 벤구리온대의 해수담수화 분야 생물막 형성
억제
제 개발 연구를, 나노 분야에서는 고려대와 벤구리온대가 진행 중인 금속 나노재료 상변화 이론 및 합금 연구를 지속할 방법을 논의했다. 공동위 한국측 수석대표인 송경희 과기정통부 국제협력관은 “이번 ... ...
유전자 변이로 생기는 '혼합형 백혈병' 발병 메커니즘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08
의해 DOT1L이라는 단백질이 과다하게 활성화된 것이 요인으로 꼽힌다. 이에 따라 DOT1L을
억제
표적으로 하는 치료법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연구팀은 DOT1L의 혼합형 백혈병 발병 메커니즘을 알아보기 위해 DOT1L이 후성유전적으로 DNA 구조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했다. 초저온 전자 ... ...
이전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