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아이템을 모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대신 광활한 바다와 메마른 해안이 펼쳐져 있었어요. 수호가 말했어요.“여긴 와본 곳 같은데…, 아! ‘대기의 탄생’을 설명할 때 들렀던 원시 바다네. 여길 왜 또 온 거지?”“이미 와봤다니 잘됐구나. 이 게임을 정상으로 돌려놓으려면 시간, 공간, 그리고 크기를 조종할 수 있는 세 개의 아이템을 ... ...
- [과학뉴스] 카멜레온처럼 색 변하는 전고체 소재 개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사용할 수 있게 했다. 향후 이 소재는 구부릴 수 있는 전자종이, 군사용 위장막 등 다양한 곳에 활용될 수 있다. 박 교수는 “현재보다 낮은 전압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실용성을 높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doi:10.1002/adom.20180079 ... ...
- [화보] ‘울트라 테크놀로지스트’가 만든 똑똑한 환상과학동아 l2018년 12호
- of Water Particles 물 입자의 우주 절벽 아래로 폭포가 떨어진다. 관람객이 발을 디디는 곳마다 꽃이 핀다. 물줄기에 손을 내밀거나 바위 아래에 걸터앉아보자. 관람객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센서가 이를 감지해 컴퓨터로 전송하고, 컴퓨터는 곧 물 입자가 떨어지는 속력과 방향을 다시 계산해 새로운 ... ...
- 최초의 ‘행성 사냥꾼’ 케플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우주망원경이 외계행성을 찾는 일은 자동차가 전조등을 켜고 100마일(약 160km) 떨어진 곳에서 기어 다니는 벼룩을 찾는 것과 비슷하다”고 설명했다.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발사 직후 6주간 관측한 데이터를 지구에 전송했다. NASA 과학자들은 이 데이터를 분석해 외계행성 5개를 찾아 각각 ‘케플러- ... ...
- Part 3. 패딩은 왜 깃털을 사랑하나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깃털은 태생부터 보온력을 타고났다. 그 중에서도 으뜸은 솜털이다. 이은옥 국립생태원 생태연구본부 융합연구실 선임연구원은 “여러 솜털끼리 얽힐 때 그 사 ... 씻겨 나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기름 성분에서 냄새가 발생할 수 있어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보관하는 게 좋다 ... ...
- 지하 1100m 땅속 실험실 최초 공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완공한 ‘Y2L A5’ 실험시설이다. A6 실험시설은 총면적 100m2로 4개의 방으로 구성됐다. 이곳에서는 요오드화세슘 결정 검출기를 이용해 한국형 암흑물질 탐색 실험(KIMS)이 진행되고 있다. 검출기가 설치된 붉은 조명의 방에서 이현수 IBS 지하실험연구단 부연구단장은 “여기서 박사학위 논문을 ... ...
- [영재교육원 탐방 10] 미래형 교육과정으로 미래 인재 기른다!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영재교육원은 서울 관악구에 있는 본관과 남산 분관, 동부 본관, 남부 분관 등 네 곳으로 나눠 운영한다. 본관의 경우 중학교 2, 3학년을 대상으로 수학반과 과학반을 20명씩 14개 학급으로 운영한다. 수학반과 과학반의 수는 7개씩으로 똑같다. 비록 중점적으로 배우는 내용은 다르지만, 수학과 과학반 ... ...
- [수학공작실] 스피로그래프로 만든 무늬 드림캐쳐에 딱 걸렸네~!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대륙의 인디언들은 어린 아이를 보호하고 좋은 꿈을 꾸게 해 달라는 의미로 잠을 자는 곳에 ‘드림캐쳐’를 걸어 뒀다고 합니다. 드림캐쳐는 원 안에 다양한 패턴이 들어가 있는 형태입니다. 스피로그래프로 원의 자취를 그린 무늬로 새로운 디자인의 드림캐쳐를 만들어 봅시다. 빈지현 선생님은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2] 지구 에너지의 근원, 태양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발전 방식보다 설치 기간이 짧다는 점, 산간·해안·방조제 등 사람이 많이 살지 않는 곳에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바람을 이용하는 만큼 바람이 부는 조건에 따라 전기에너지의 생산량이 달라지며, 별도의 에너지 저장 장치가 필요하다. 소음이나 조류와의 충돌에 의한 피해 등도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창경궁에서 만난 원앙과 꿀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이런 새들과 만나는 시간이에요.” 조류 탐사는 연중 내내 낮과 밤을 가리지 않고, 어느 곳에서든 할 수 있어요.탐사할 장소를 정하고, 그 자리에서 5분 동안 머물며 눈에 보이는 조류의 이름과 마릿수를 세서 기록하면 되지요. 대원들이 올린 데이터는 우리나라에 계절별로 어떤 새가 어떤 환경에 ... ...
이전2092102112122132142152162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