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운반
전송
수송
정보전달
정보
정보전달매체
매체
d라이브러리
"
전달
"(으)로 총 4,277건 검색되었습니다.
끝나지 않은 물리학 이야기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지음 | 글항아리 | 272쪽 | 1만 3500원어떻게 하면 좀 더 쉽게 과학의 원리를 대중에게
전달
할 수 있을까. 과학이 실험실을 벗어나면 어떤 의미를 가질까. 과학은 세상을 보는 통로이자 세상을 뒤집어보는 도구다. 저자는 과학을 험한 정치판과 복잡한 경제, 신명나는 문화판에 가져와 마구 굴린다. ... ...
생활 속 압력과 전기의 소통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충전되는 옷이 등장할 날도 머지않았다. 또 몸속을 떠돌며 암세포를 탐지해 약물을
전달
하는 나노로봇에 꾸준히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0순위 후보가 바로 압전형 나노발전기다. 압전효과가 펼치는 마법의 세계에 빠져보자. “형, 이 돌에 압력을 가하니까 전기가 발생해!”1880년 프랑스의 피에르 ... ...
연필심에서 발견한 꿈의 나노 소재 그래핀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단위면적당 구리보다 약 100배 많은 전류(최대 108A/cm2)를 실리콘보다 100배 이상 빠르게
전달
할 수 있다. 그뿐 아니라 그래핀은 열전도성이 가장 좋은 물질로 평가받는 다이아몬드보다 열전도성이 2배 이상 높다. 또한 그래핀은 강철보다 약 200배 이상 기계적 강도가 강하며 신축성도 좋아 10% 이상 ... ...
DNA와 탄소나노튜브로 인공근육에 한걸음 다가간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명령을 해석하는 일이 중요하다.대뇌의 명령을 해석해 근육을 움직인다는 말은 대뇌에서
전달
된 전기 신호를 움직일 수 있는 에너지로 바꾼다는 말이다. 연구단은 소리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인공 달팽이관의 원리를 뒤집어 전기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바꾸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이 두 ... ...
광자(光子)로 기술문명 새 장 연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연구에 매진했다. 수백km 이어진 광섬유를 지나며 약해진 광신호가 잡음 없이 데이터를
전달
할 수 있도록 신호와 동일한 성질을 갖는 많은 광자를 만들어내는 게 핵심 과제였다. 연구실 출신 연구원들이 설립한 벤처기업은 지금까지 국내는 물론 일본 등 해외에서 수천 대의 광증폭기를 판매했다. 그 ... ...
[생물]좌뇌와 우뇌를 잇는 다리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한 일을 언어로 표현하지 못한다. 이것은 우뇌에서 처리된 정보가 뇌량을 통해 좌뇌로
전달
되지 못해 나타나는 현상일 것이다. 즉 언어중추는 좌뇌에 있고 시각정보 처리과정에서 왼쪽 뇌에게 주는 정보에 따라 환자의 행동이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Q2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가) ... ...
몸도 마음도 튼튼해지는~건강짱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신경의 발달아동기는 뇌를 비롯한 신경조직의 기초가 완성되는 시기예요. 뇌의 정보
전달
속도는 유아기를 지나 10세까지 급격히 빨라져요. 그래서 그만큼 정교한 운동기능과 사고력, 판단력을 갖게 되지요. 대뇌의 무게는 6세에 성인의 92%(남), 88%(여)였다가 10세가 되면 98%(남), 94%(여)가 된답니다 ... ...
C4벼로 ‘제2의 녹색혁명’ 꿈꾼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엽육세포에 있는 C4회로의 역할은 캘빈회로가 있는 유관속초세포에 농축된 이산화탄소를
전달
하는 ‘전처리 기관’인 셈이다. PEPcase는 엽육세포의 C4회로에서 이산화탄소를 말산이나 아스파르트산 같은 유기산으로 고정한 뒤 유관속초세포의 캘빈회로 보낸다. 그 결과 C4식물의 유관속초세포 내 ... ...
만져라, 느껴라! 신나는 터치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누르는 듯한 느낌이 나지요.최근에는 햅틱 기술을 이용해 사람의 피부가 느끼는 촉각을
전달
하려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어요. 매끄럽거나 거친 질감, 온도 등의자극을 적절히 피부에 가해 주면 마치 실제로 어떤 물체를 만지고 있는 듯한 느낌이 나는 거지요. 사람의 촉각은 아주 정교하기 때문에 ... ...
광합성 하는 동물 있다? 없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하는 동물이라고 부르기는 어렵다. 엘리지아 개체에 포획된 엽록체는 다음 세대로
전달
되지 않기 때문이다. 새로 태어난 투명한 엘리지아는 바우체리아를 먹어야 엽록체를 획득해 녹색이 된다. 또 엘리지아 세포 속의 엽록체는 분열을 하지도 못한다. 결국 엘리지아는 식물이나 조류와는 달리 ... ...
이전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