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패스
합격
허가
투과
가결
통행
성취
d라이브러리
"
통과
"(으)로 총 2,930건 검색되었습니다.
Ⅰ. 행성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태양계 탐사선이 행성과 위성표면에 착륙하거나 그 주위를 선회하고 또 가까이 근접
통과
하면서 조사한 탐사자료가 많이 축적되고 있다. 이들 자료는 지상관측에서 얻을 수 없는 상세하고 정밀한 것으로 태양계 기원을 설명하는데 매우 귀중하게 쓰인다. 앞서 살펴본 태양계의 특성들도 이러한 현지 ... ...
깨끗한 물은 어떻게 만들까?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분자들은 서로 섞여있어서 엔트로피가 큰 상태를 좋아한다. 따라서 물 분자만이
통과
할 수 있는 반투과성막의 양편에 깨끗한 물과 오염된 물을 넣어두면 깨끗한 물이 오염된 물쪽으로 옮겨가는 현상이 나타난다. 바로 배추를 소금에 절일 때 사용되는 삼투현상이다.삼투현상을 거꾸로 이용하면 ... ...
광기록 매체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작은 구멍을 내는 것과 유사하다. 햇빛 대신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나오는 빛을 렌즈에
통과
시켜 매우 작은 크기로 만들어 매체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매체에 물리적인 변화를 일으켜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다.가장 먼저 실생활에 사용된 광기록 매체는 레이저디스크(LD, 1972년, 필립스사, MCA사)이다. ... ...
영혼, 육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세이건의 아이디어는 설득력이 떨어진다. 태아가 세상에 나오기 위해 고통스럽게 산도를
통과
하는 것이 임사체험에서 묘사된 터널을 지나가는 것처럼 결코 평화로운 일이 아닐 뿐만 아니라 임사체험자 중에 상당수가 제왕절개로 태어났음이 밝혀졌기 때문이다.터널에 대한 또다른 설명은 ... ...
20세기 의복혁명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빵이 눌지 않는 테플론 코팅 프라이팬이 나왔고, 1970년대 중반에는 공기는 통하는데 물은
통과
할 수 없는 숨쉬는 옷감이 개발됐다. 이것은 스키복과 방한캠핑복에 널리 활용됐다. 미국 최초의 우주비행사였던 존 글렌이 입었던 우주복에도 테플론이 코팅됐다. 미국의 자유의 여신상이 부식되지 않고 ... ...
① 시험관아기의 등장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만든다. 만일 점액이 잘 분비되지 않거나 끈끈한 정도가 지나치면 정자가 이곳을
통과
하기 어렵다. 제아무리 정자와 난자가 건강해도 이들이 만날 기회가 사라지는 셈이다.이때 사용되는 방법이 인공수정이다. 남성에게서 성숙한 정자를 얻은 후 가느다란 관을 통해 이를 여성의 자궁 안으로 직접 ... ...
진실을 재는 하늘의 저울 천칭자리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있다. 하지만 지구의 세차운동으로 지금은 태양이 10월 31일-11월 23일 사이에 천칭자리를
통과
한다. 알파별은 황도에서 20분 위에 있어 태양은 매년 11월 8일에 여기를 스쳐 지난다. 알파별은 황도상에 위치하므로 달에 가려지는 성식도 종종 일어난다. 베타별은 시력이 좋은 사람들에게는 녹색으로 ... ...
무지개는 왜 원형일까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있는 백색광이지만, 물방울로 들어가면 색깔별로 꺾이는 정도가 달라 퍼진다. 프리즘을
통과
한 빛에서도 무지개를 볼 수 있는 이유다. 그러고 보면 물방울은 작은 프리즘인 셈이다.색깔별로 퍼진 채로 물방울 안에서 진행하던 빛은 물방울과 공기의 경계면에서는 반사한다. 물론 그 중 일부는 공기 ... ...
봄의 대곡선 목동과 처녀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봄철을 대표하는 별자리로 태양이 매년 8월 7일부터 9월 14일까지 이곳을
통과
하는 황도 제 5궁이다. 21개의 1등성 가운데 밝기가 꼴찌인 레굴루스는 황도에서 가까워(약 0.5도) 달이나 금성에 가려지는 성식이 종종 일어난다. 사자의 꼬리에 있는 2등성 데네볼라는 아크투루스, 스피카와 함께 ‘봄의 ... ...
모세의 기적과 진도의 바닷길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있다. 모세가 이집트인 감독관을 죽이고 미디안(아라비아 북서부지역)으로 도망치면서
통과
한 곳이 나일강 유역의 수에즈만 부근이었다. 그리고 망명 기간에 이곳의 자연현상에 대해 많은 지식을 쌓았을 가능성이 있다. 그는 언제 해할이 일어날지 미리 알고서 히브리인들을 이곳으로 데리고 왔을 ... ...
이전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