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성
특질
특색
성격
개성
성질
기질
d라이브러리
"
특징
"(으)로 총 4,511건 검색되었습니다.
탄생 170주년 카메라의 무한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별 사진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갖고 있는 이단아형 카메라에 비해 모범생형 카메라의
특징
은 재빠른 촬영 속도에 집중돼 있다. 깨끗하고 정확한 ‘찍기’에 능력을 집중했기 때문이다.모범생형 카메라가 가장 크게 환영받는 곳은 천문학계다. 유럽남반구천문대(ESO)에서는 지난 7월 사진을 1초당 1500장 ... ...
작은 RNA 조각으로 불치병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청소부인 셈이다.세포분열 방해해 암 억제한다마이크로RNA가 특정 RNA를 없앨 수 있다는
특징
을 이용하는 방법은 없을까. 생명과학계에서는 마이크로RNA가 불치병을 치료하는 열쇠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미 시작된 질환의 증상을 완화하거나 몸속에 있는 질병인자를 없애는 치료가 아니라 ... ...
패턴의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인간의 모델을추론했다. 그에 따르면 평균인이란‘그 시대의평균에 해당하는 사람의
특징
을 모두 갖춘 사람’으로 ‘모든 위대함, 아름다움, 선함을 갖춘’정규분포의 집단을 일컫는다.케틀레가 시도한 수학적 추론에 다소 무리가 없는 것은 아니었지만 이후의 사회연구에 큰 영향을 줬다. ... ...
돼지 없이는 못 살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돼지라고 말하는 걸까요?안녕하세요? 사람에게 꼭 필요한 돼지라고 하셨는데, 어떤
특징
을 갖고 계신 건가요? 보기엔 평범한 돼지처럼 보이는데….그런 섭섭한 말씀을…. 제 이름부터 좀 특별하지 않나요? 저는 무려 세계에서 두 번째로 태어난 장기이식용 미니 돼지랍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 ...
Part 2. 하나를 알면 열을 아는 즐거움!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얼굴을 보고 나서 이야기하시라~!수학은 하나를 알면 열을 안다 수학을 즐겁게 해 주는
특징
중 하나는 바로 수학은 하나를 알면 열을 아는 학문이라는 것이다. 하나를 알면 열을 안다는 말은 천재에게나 해당할 것 같지만 수학에 있어서는 그렇지 않다. 흔히 사람들은 수학이라고 하면 수에 관해 ... ...
Part 1. 수학 기피증을 극복하라!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있을 때의 일화로 전해지고 있어. 병문안을 온 하디가 자신이 타고 온 택시 번호가 아무
특징
이 없는 1729라고 말하자, 라마누잔은 1729는 두 개의 세제곱 수의 합으로 나타내는 방법이 두 가지인 수 중 가장 작은 수라고 말한 거지.더 놀라운건, 3.141592…로 알려져 있는 원주율의 값을 찾는 식을 만들어 ... ...
맛있는 세계 면류 총집합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시작됐는데, 이곳의 지하수는 수소이온농도(pH)가 7이 넘는 알칼리성을 띠는 것이
특징
이다. 알칼리는 글루텐에 특이한 변성을 일으키면서 반죽의 점성과 신축성을 높인다.중국 면이 하얀 국수(소면) 면발과 달리 노랗게 보이는 이유도 알칼리 때문이다. 밀가루에 들어 있는 플라보노이드 색소가 ... ...
면발의 힘 글루텐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때문이다.글루텐에서 글리아딘과 글루테닌을 따로 분리해 반죽을 만들어 보면 이런
특징
의 차이를 명확히 알 수 있다. 글리아딘 반죽은 풀처럼 찍찍 늘어난다. 글리아딘 단백질끼리는 화학결합을 하지 않고 물리적으로만 상호작용해 쉽게 변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글루테닌 반죽은 탱탱하고 ... ...
사춘기 여드름보다 독한 성인 여드름 퇴치법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염증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여드름 균은 모든 사람의 모낭에 살며 산소를 싫어하는
특징
이 있다. 평소에는 여드름을 일으키지 않다가 피부에 피지나 각질이 많이 쌓여 피부 안으로 유입되는 산소량이 적어지면 급격하게 늘어나면서 여드름을 일으킨다.초콜릿 먹으면 여드름 생길까여드름에 ... ...
21세기 녹색성장 이끄는 생태공학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보기 좋은 경관을 꾸미는 게 주목적이다. 그러나 생태공학은 인류와 공존하는 생물들의
특징
을 잘 파악해 이들이 건강하게 살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내는 데 관심이 있다.“도시를 설계할 때도 생태계의 네트워크가 끊어지지 않게 배려하는 게 중요합니다. 미군 용산기지를 공원으로 재창조하는 ... ...
이전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