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 눈이 뿔났다! 시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입에 물면 혀에 400개의 전기 자극을 줄 수 있는 작은 칩으로 이뤄져 있지요.브레인포트V100은 안경에 달린 카메라로 사물을 인식해 이를 전기신호로 바꿔요. 그럼 이 전기신호가 칩으로 전달돼 혀에 자극을 주지요. 혀에서 받은 자극은 뇌로 전달돼 시각 신호를 만들어요. 자극은 톡톡 튀는 사탕을 ... ...
- Part 3. 아슬아슬하고 위태위태한 논란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실험실에서 만드는 데 성공했다. H5N1 바이러스는 고병원성으로 가금류의 치사율이 100%에 가깝고 사람도 감염시킨다. 하지만, 사람의 경우 호흡을 통해 전염되지 않아 가금류나 야생 조류와 직접 접촉하거나 생고기를 만지는 사람들만 감염돼 환자 수는 수백 명에 머물렀다. 그런데 연구진이 공기를 ... ...
- [Career] “ 새로운 빅데이터 처리 시스템, 제가 만들죠”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새롭게 등장한 알파고는 다섯 달 전보다도 훨씬 놀라운 모습이었다. 매일 3만 판, 한 달에 100만 판에 이르는 ‘셀프대국’으로 단시간에 기량을 끌어올렸다. 딥러닝이 가장 화제였지만, 이런 학습속도를 달성하기 위해선 그전에 이뤄져야 할 것이 있다.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 ...
- 과학수사대 ‘능력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충분한 이유는 개가 사람보다 약 10만 배 더 냄새를 잘 맡기 때문이에요. 개는 사람보다 100배 더 많은 후각세포를 갖고 있거든요.우리나라에도 15마리의 체취증거견이 활동하고 있어요. 저먼 셰퍼드, 벨지안 마리노이즈, 래브라도 리트리버, 골든 리트리버 4종이 전국 9개 지방경찰청에 배치돼 있지요. ... ...
- [기자단 소식] 롯데월드 아쿠아리움을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가장 긴25m의 거대한 수조 ‘디오션’에는 상어와 가오리, 자이언트 그루퍼 등 100여종 1만 마리의 생물들이 살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궁금한 점! 디오션은 어떻게 어마어마한 수압을 버틸까요? 수조가 유리가 아닌 특수 재질의 아크릴로 되어 있고, 두께가 무려 46.7cm로 강도가 콘크리트의 ... ...
- [생존전략 2] 널리 퍼지는 꽃가루수학동아 l2016년 04호
- 공기 중에 떠 있는 입자는 물 분자 또는 질소 분자와 끊임없이 부딪히는데, 특히 μm(100만 분의 1m) 단위로 크기가 작은 꽃가루는 역학적으로 평형 상태를 이루지 못하고 불규칙적으로 움직인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리고 꽃가루가 브라운 운동을 할 때 움직이는 거리를 구하는 수학식을 단순화시켰다 ... ...
- [지식] 고양이의, 고양이에 의한, 고양이를 위한 나라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은 고양이만의 세상이 있다고 합니다. 그곳에는 덧셈도 할 줄 알고 퍼즐도 풀 수 있는 천재 고양이도 있다는군요. 지금껏 인간 세상에 알려진 적 없 ... 조르바는 과연 노력과 끈기로 마법 퍼즐을 풀 수 있을까요?참고 : 샘 스톨의 ...
- [재미] 도넛처럼 생긴 적혈구의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좁은 모세혈관을 지나갑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모세혈관의 지름은 적혈구의 지름인 7μm(100만 분의 1m)보다 작습니다. 적혈구는 도넛처럼 가운데가 오목한 덕분에 좁은 모세혈관을 지나갈 때는 빈대떡처럼 유연하게 찌그러집니다.프랑스 렌느1대 물리학과 이자벨 칸타 교수는 이 과정을 수학적으로 ... ...
- [수학레시피] 생활에서 쉽게 찾는 비와 비율수학동아 l2016년 04호
- 1로 볼 때의 비율입니다.비율은 기준량에 따라 여러 가지로 표현할 수 있으며 기준량을 100으로 했을 때의 비율을 백분율이라고 부릅니다.비와 비율은 우리 생활과 아주 밀접합니다. 이 때문에 학생들이 생활 속에서 접하는 비와 비율을 찾아보게 하면 학생들의 참여를 높일 수 있습니다.생활과 ... ...
- [과학뉴스] N극과 S극으로 정보를 저장하는 고효율 마그넷 컴퓨터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에너지의 최소 한계를 이론적으로 정의한 것이다. 대략 기존의 컴퓨터 칩이 쓰는 전력의 100만 분의 1 수준이다.이번 연구결과는 휴대전화나 슈퍼컴퓨터 같이 전력 소모 효율이 중요한 장비에 응용될 전망이다. 홍 연구원은 “기술을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 중이며, 제품으로 ... ...
이전2092102112122132142152162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