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뉴스
"
위
"(으)로 총 9,198건 검색되었습니다.
청해부대 코로나19 음식물 통해 퍼졌다?…가능성 매우 낮아
동아사이언스
l
2021.07.21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들러붙을 수 있는 수용체는 사람의 호흡기 세포에만 있고
위
와 장 등 소화기관에는 존재하지 않아, 음식물을 통해 코로나19에 감염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본다. 싱가포르국립대와 싱가포르듀크앤유에스의대 연구팀은 지난해 8월 논문 사전공개 사이트 ‘바이오아카이브 ... ...
장마 17일 만에 끝 38도 폭염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0
티베트 고기압, 빨간색이 북태평양고기압이다. 2018년은 한반도
위
에 두 고기압이
위
치한 반면 2021년 7월 말에는 두 고기압이 한반도 바깥으로 물러날 것으로 예상된다는 분석이다. 기상청 제공 역대급 폭염이 이어졌던 2018년과 비슷하게 장마가 빨리 끝나면서 당시와 비슷한 폭염이 오는 것 아니냐는 ... ...
제31대 대한치과의사협회장에 박태근 씨
동아사이언스
l
2021.07.20
회장은 1962월 7월 18일 생으로 부산대 치대를 졸업했다. 대한치과의사협회 직선제 준비
위
원장, 울산광역시 치과의사회 대의원 의장 등을 역임했다. 박 신임 회장은 협회 회부 정상화와 진료환경 개선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사람은 더
위
를 어디까지 견딜까
2021.07.20
있다. 폭염이 지속되는 동안 에어컨 가동에 필요한 전력을 확보해야 하는 이유다.
위
키피디아 제공 ※필자소개 강석기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활동했다. 2012년 9월부터는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직접 쓴 책으로 ... ...
19일 장마 끝 이번주 35도 폭염 이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19
움직임은 아직 없어 열돔 현상이 나타날지는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다. 한반도 남쪽에
위
치한 정체전선의 영향으로 제주도는 19일 밤까지 장맛비가 가끔 내릴 전망이다. 전라도와 경상도는 19일 오전까지 일부 지역에서 장맛비가 내렸다. 정체전선에 따른 강수량은 제주도가 10~60mm로 예상된다. ... ...
아파트 헬스장·독서실, 기지국 전자파 영향 측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19
측정하도록 통신사와 측정전문기관 협력을 강화한다. 가이드라인 운영 효율을 높이기
위
해 공동주택 내 다양한 공간 측정 가이드라인을 적용하면 단지 내 무선국 전파법상 전자파 강도 측정 의무를 이행한 것으로 인정하기로 했다. 과기정통부는 “공동주택내 이동통신 기지국 설치와 철거를 ... ...
매년 큐비트 수 2배 ‘2차 양자혁명’ 시작됐다…한국 수준은 어디까지 왔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7.19
‘유럽양자기업컨소시엄(QuIC)’을 출범시켰다. 영국 글래스고대가 개발한 양자센서 ‘
위
-g’. 중력(g)을 이용해 드러나지 않는 지하를 시각화할 수 있다. 글래스고대 제공 ○ 후발주자 韓, 양자암호통신 양자물질 전략적 개발 한국은 2차 양자혁명에서는 상대적으로 후발주자에 속한다. ... ...
[프리미엄 리포트] 17년 만의 굉음...매미판 베이비부머 브루드 텐
과학동아
l
2021.07.17
증명할 연구가 이뤄진 적이 없어 아직은 가설일 뿐”이라고 설명했다. ○ 생존을
위
해 땅속을 선택한 매미 미국에 서식하는 주기매미가 온도와 유충의 발달 수준에 관계없이 13년, 또는 17년이라는 고정된 시간 동안 땅속에 머물다 한꺼번에 다량으로 등장하는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측정하는 순간 상태 바뀌는 까다로운 양자, 빛으로 붙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17
수 있다. 양자역학적 상태의 측정과 제어를 동시에 이뤄낸 것이다. 루카스 노보트니 스
위
스 취리히연방공대(ETH) 광학연구소 연구원 팀도 이번 주 네이처에 양자 역학적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나노입자를 극저온과 초고진공 상태에 둬 나노입자의 양자역학적 상태를 바닥상태로 ... ...
스마트폰으로 ‘알파고’ 돌릴 AI 반도체 칩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7.16
있지만, 그간 전력 소모가 크고 효율이 낮은 중앙처리장치(CPU)나 그래픽처리장치(GPU)
위
에서 소프트웨어 기술로만 구현돼 속도가 떨어지고 전력 소모가 크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진은 옴니DRL에 ‘집단-희소와 학습코어’ 및 ‘지수의 평균-변화량 부호화’를 도입해 심층 강화학습 과정에서 ... ...
이전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