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직접"(으)로 총 2,286건 검색되었습니다.
- 최정문의 공대가 좋아 [제3편]동아사이언스 l2013.12.18
- 백문이 불여일견! 중고생들이 직접 찾아가는 본격 이공계 진로탐방 프로그램, 최정문의 공대가 좋아 제3편에서는 서울대 건축학과 강현구 교수를 만난다! 건축학과는 어떤 학문일까? 이에 관한 강 교수의 미니강연을 들어본 뒤, 건축학과의 두 가지 전공 트랙 건축학 전공과 건축공학 ... ...
- 최정문의 공대가 좋아 [제2편]동아사이언스 l2013.12.18
- 좋아 제2편에서는 베스트셀러 '몰입'의 저자 서울대 재료공학부 황농문 교수가 직접 학생들을 만난다. 황 교수의 실험실을 둘러보며 그가 제시한 새로운 이론 '하전된 나노입자 이론'을 간략히 살펴보고, 무슨 문제든지 풀 수 있는 실력 향상에 필요한 학습 태도, 입시면접에서 뽑고 ... ...
- 최정문의 공대가 좋아 [제1편]동아사이언스 l2013.12.18
- 백문이 불여일견! 중고생들이 직접 찾아가는 본격 이공계 진로탐방 프로그램, 최정문의 공대가 좋아 제1편에서는 서울대 공대 기계항공공학부의 서갑양 교수를 만나 그의 연구분야(멀티스케일 생체모사 시스템)를 살펴보고, 기계공학에 적합한 적성은 무엇인지, 어떻게 그 적성을 키울 수 ... ...
- [채널A]자고 일어나니 ‘찌뿌둥’…가전기기 저주파 소음 심각채널A l2013.12.17
-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실제 가정에서 이런 저주파 소음이 얼마나 나오는지 직접 측정해봤습니다.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보일러. 30~80Hz 사이의 저주파 소음이 기준 이상으로 나오고 있습니다. 냉장고는 60Hz 대역의 소음이 특히 높게 측정됩니다. 최근 인기 난방용품인 온수매트의 소음도 ... ...
- 혁신 연구 체제의 구축, DARPA로부터 배운다KOITA l2013.12.16
- 달리 혁신적이고 융복합적인 연구에 주력하기 때문이다. 또 명칭에서 드러나듯 DARPA는 직접 연구, 개발하는 조직이 아니다. 연구 과제를 선정하고, 필요한 자금과 정보・인력 교류 등을 지원해서 연구가 잘 진행되도록 독려하는 연구 지원 기관이다. 그래서 자체 연구 시설과 인력은 보유하지 않고 ... ...
- [이달의 역사]적군도 친구도 예외 없는 도청의 세계 ①KISTI l2013.12.13
- 애플, 구글,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 스카이프 등 대형 인터넷 기업의 시스템에도 직접 접속해 각국 사람들의 활동 내역을 수집했다. 뿐만 아니라 통화기록, 이메일, 메신저, 화상채팅, 사진, 전송파일, SNS 게시물 등 온갖 정보를 수집하는 ‘프리즘(PRISM)’ 프로젝트를 진행해왔다. 이 사실이 ... ...
- 전통에서 발견하고 현재가 완성한 난방기술KOITA l2013.12.10
- 많은 방을 난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비열이 큰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난방 효율도 공기를 직접 데우는 것보다 높았다. 라이트는 온돌에 라디에이터를 결합했다. 라디에이터로 공기를 데우지 말고 바닥을 데우는 것이 그의 생각의 출발점이었다.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온수 파이프를 골고루 바닥에 ... ...
- 연구자가 중심이 되는 이상적인 지원기관 만들겠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3.12.09
- 이끌어 왔다. 그동안 첨복단지 사업은 얼마나 진행됐으며 앞으로의 비전은 무엇인지 직접 들어봤다. Q.안녕하세요. 우선 첨복단지 운영의 목적은 정확하게 무엇인지 알려주십시오. 첨복단지는 첨단의료산업을 대한민국 미래 신성장동력으로 전략적으로 집중·육성하여 대구·경북 지역뿐만 ... ...
- 노벨 과학상, 패러다임을 바꿔야 받는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3.12.06
- ’을 개발한 주역들이다. 지금까지는 고분자의 움직임과 반응을 정확하게 알아내려면 직접 실험을 하거나 전자현미경, 회절촬영기 등으로 관찰해야만 했다. 그러나 이제는 ‘참’을 사용해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돌리는 것만으로도 실험을 대체할 수 있다. 분자의 반응을 예측하려면 각 원자가 ... ...
- 소행성 2008TC3을 아시나요?동아사이언스 l2013.12.02
- - P. Jenniskens 제공 다들 ‘누군가가 운석을 찾고 있겠지’라며 기다리고 있었지 아무도 직접 찾을 생각을 안 했던 것이다. 결국 궁금함을 참지 못한 미국 세티(SETI)연구소의 유성우 연구가 피터 제니스켄스 박사는 수단으로 날아갔다. 그는 현지 카르툼대의 천문학자 무아위아 샤다드 교수를 만나 ... ...
이전2092102112122132142152162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