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시
지명
지력
지성
지능
지식
지목
d라이브러리
"
지적
"(으)로 총 2,286건 검색되었습니다.
PC교실⑨ 응용프로그램에서의 문자열처리
과학동아
l
198704
보라.(설명)1) 문장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INPUT명령어를 쓴다2) 현재처리할 단어의 첫자를
지적
하기 위해 변수 B로 표시한다.(B의 초기값은 I)3) 단어의 글자를 한 개씩 조사하기 위해서 FOR loop문과 MID$을 사용한다.4) 단어중에 공란(blank)을 만나면 현재처리한 단어를 인쇄한다.5) B의 값을 공란 다음 ... ...
뇌세포의 조율사 꿈은 머리를 좋게 한다
과학동아
l
198704
지식은 터무니 없는 순서로 등장한다. 그러나 그 엉뚱함을 이용하는 것은 그 사람의
지적
능력에 달려 있다. 케쿨레가 본 2마리 뱀꿈도 보통사람에게는 단지 악몽이었을지 모른다.또한 꿈이란 어느정도 병을 알려줄 수 있다고 해도 잘못은 아니다. 신체감각이 꿈에 반영되기 때문이다. 뇌졸중인 ... ...
수석 합격자의 말 공식의 암기보다 과정의 이해를
과학동아
l
198704
전문적인 쪽으로 흘러 과학적 사고를 가르치는 기본적인 면이 소홀한 것 같다고
지적
하는 김군은 고등학교 때 부터 철학서적을 자주 접해 학문자체에 대한 애착을 가지게 되었다고 한다."물리학을 열심히 공부해 학자로서의 길을 걷겠읍니다. 아울러 폭넓은 독서를 통해 편협하지 않고 사회적, ... ...
제 1회 한국 소프트웨어 전시회 미래산업으로 성장가능성 보여
과학동아
l
198704
대규모 독자적인 전시회가 개최되었음을 높이 평가하면서도 몇가지 미비한 점을
지적
했다. 전체 소프트웨어업체에 비해 참여업체의 비율이 매우 낮아 전체적으로 국내 소프트웨어 수준을 평가할 수 없었고 출품된 소프트웨어가 시스팀프로그램보다는 일반 업무관리용 등 일부 인기분야에 ... ...
20대 박사들
과학동아
l
198703
인력수급계획 세워야정부의 장기적 고급 연구인력양성 계획도 좀더 치밀해야 함을
지적
한다. '2000년까지 이공계박사 1만 5천명을 양성한다' 식의 막연한 계획이 아니라 정확한 수요를 예측, 각 분야별로 구체적 인력수급계획이 마련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일본이 몇년도에 박사가 몇명이었으니까, ... ...
한국인의 근무시간 세계최고, 능률은 몇째?
과학동아
l
198703
권한의 한계 불투명, 상·벌의 불명확, 업무의 과정보다 결과만을 중시하는 풍토 등등이
지적
됐다. 또 합리적인 평가제도가 안돼 있는 것도 커다란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효과 큰 주5일근무제도 이제 마지막으로 능률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다.먼저 장시간노동의 신화에서 깨어나야 ... ...
한국과학기술원 대덕 이전에 반대의견 많아
과학동아
l
198703
박종만씨는 "실험장치의 이전이 쉽지 않은 문제이며 연구의 공백이 클 것"이라고
지적
하면서 바로 이웃한 동부지역에서 서부지역으로 옮기는 데만도 2개월이 걸렸고 기계의 손상으로 실험에 지장이 컸음"을 상기시켰다. KAIST를 대덕으로 이전하는데는 1천5백 억원이 든다고 ... ...
단일 종 연구에서 인간 참여까지 생태학의 진화
과학동아
l
198703
물리학에서의 원자 세포학에서의 세포에 해당하는 기본 연구단위가 결여되어 있다고
지적
했다. 이 요구에 맞추어 1935년 생태계라는 용어가 '탠즐리'에 의해 제창되었다. 생태계에는 유기체 뿐 아니라 기후 토양 등의 자연조건과 유기체들 사이의 상호작용 나아가 유기체와 자연 조건들 사이의 ... ...
선진국들 교육의 질 문제로 고민심각
과학동아
l
198702
조건때문에 성공적일수 있었다고
지적
하고있다. 따라서 앞으로 자연자원보다는 고도의
지적
능력이 최대의 자원으로 평가되는 시대에는 적합치 않다는 것이다. 또한 미국과 프랑스에서는 중등교육보다 대학교육의 내용에 대해 논의가 많은데 주로 대학교육이 일반교양만을 중시해 기술사회의 ... ...
음주운전은 이중으로 위험
과학동아
l
198702
보면 음주운전은 충돌사고가 났을때 음주운전자의 생명을 보다 쉽게 앗아가는 것으로
지적
되었다. '윌러'박사는 '척수나 뇌를 강타 당했을때 술취한 개 고양이 쥐같은 동물이 멀쩡한 상태의 동물보다 혹이 크게 생기고 피를 많이 흘렸다'고 보고하고 사람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즉 ... ...
이전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