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장"(으)로 총 17,302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갑자기 찾아온 추위가 무서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때 한파 경보가 내려져요. 특히 8일은 서울 아침 최저 기온이 영하 18.6℃로 20년 만에 가장 낮았어요. 심지어 갑작스런 폭설이 내려 온 세상이 꽁꽁 얼어 버렸지요.대체 왜 이렇게 추웠던 걸까요? 첫 번째 원인은 ‘음의 북극진동’ 때문이에요. 북극은 1년 내내 춥지만, 북극 대기 상층에서 ‘제트기류 ...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6400km로 이때 달은 무척 크게 보여요. 이때 뜨는 보름달을 ‘슈퍼문’이라 하죠. 반대로 가장 멀 때 거리는 약 40만 6700km로, 이때 뜨는 보름달은 ‘마이크로문’이라고 한답니다. 슈퍼문은 마이크로문에 비해 달 지름은 14% 더 크게 보이고, 30% 더 밝답니다. 별빛미션왕으로 선정되면 어린이과학동아 ... ...
- [특집] 뇌를 흉내 낸 학습법, 딥러닝의 세 가지 비결수학동아 l2021년 03호
-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딥러닝이 이렇게 오랜 역사를 지닌 기술인 줄 몰랐지? 이번에는 만화에서 소개한 딥러닝의 발전에 나왔던 개념 중 중요한 개념 3가지를 설명해줄게! 딥러닝 키워드1 퍼셉트론인간은 막 태어났을 때는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지만, 학습을 통해 점차 많은 것을 알아갑니다. ... ...
- 이루다의 이루다 만 꿈, 대화형 AI의 미래는?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사건으로 본 인공지능 거버넌스: AI의 일탈을 어떻게 막을 것인가?’ 좌담회에서 가장 먼저 ‘설명 가능한 AI’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이루다는 수많은 대화 데이터를 이용해 단어와 문장을 학습했습니다. 그 결과 ‘넌 밥 먹었어?’ 같은 일상적인 질문에 대해서는 잘 대답할 수 있었지만, ... ...
- [기획] π의 혁신을 불러온 무한급수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 덕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736년 오일러가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식’으로 평가 받는 오일러 항등식(eiπ+1=0)을 발표하면서 π를 넣었고, 이를 통해 π가 학계에서 널리 쓰이게 됐습니다.원주율을 소수점 아래 수십~수백 번째 자릿수까지 구한 다양한 연구 결과가 ... ...
- 20년 만에 실마리 찾았다! 4차원 궁극의 모양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것을 알아낸 거죠.수학자들은 리치 흐름을 사용해 다양한 차원에 존재할 수 있는 가장 단순화된 형태인 ‘궁극의 모양’을 알아보려 했습니다. 각 차원에 존재하는 다양체 중에 끊어지거나 뾰족한 부분이 없는 매끄러운 다양체가 있는지, 있다면 어떤 모양인지 확인하고 싶었던 거죠. 그런데 0~ ... ...
- [이달의 우주 날씨] 수성 관측? 각도부터 알아야 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최대이각이라고 부릅니다. 최대이각을 이룰 때는 각 내행성이 지구를 기준으로 태양과 가장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비교적 긴 시간 동안 관측할 수 있습니다. 동방최대이각일 때는 서쪽 하늘에서 초저녁에, 서방최대이각일 때는 동쪽 하늘에서 새벽에 볼 수 있다는 것도 기억해 주세요. 3월 6일은 ... ...
- [매스포터] 국제표준도서 마지막 숫자의 비밀수학동아 l2021년 03호
- 한 장씩 올립니다. 2, 3, 4번 더미도 같은 방식으로 차례로 진행합니다. 이제 네 개의 더미 가장 위에 있는 카드는 모두 에이스일 겁니다. 한번 확인해 볼까요? 정말 모두 에이스군요! 어떻게 한 걸까요? 이 마술을 하려면 처음에 더미를 나눌 때 4번 더미 위에 네 개의 에이스가 오게 한 뒤 순서대로 ... ...
- 명화 속 빛의 비밀, 데이터는 알고있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것이 나누어진 두 영역의 색상 불확실성을 가장 낮출 수 있다. 이처럼 두 영역의 색상이 가장 잘 구분되는 분할의 위치가 바로 구성 정보량을 최대로 하는 지점인 것이다. 연구팀은 이를 바탕으로 미술사 속 풍경화 데이터에서 최적의 분할 점과 선을 찾았다. 그리고 이렇게 찾은 지배적인 수평선의 ... ...
- 살고 싶은 행성 ‘눈’으로 확인하자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기대해 봅니다. ※필자소개이연주. 한국에서 지구대기과학을 공부하던 중 지구와 가장 닮은 행성이자 매우 다른 대기를 가진 금성에 관심을 갖게 됐다. 유럽우주국(ESA)의 금성탐사선 비너스 익스프레스팀,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의 아카쓰키 팀에서 금성 연구를 했다. 현재 독일 ... ...
이전2102112122132142152162172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