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지"(으)로 총 12,16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미래 산업의 열쇠, 암호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맡고 있다. 오랫동안 공개키 암호를 연구해 왔으며 최근에는 양자내성암호(PQC)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 중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암호기술 혁명, 동형암호Part 1. 현존 가장 안전한 보안기술[INFOGRAPHIC] 암호기술 변천사Part 2. 산업계 지켜줄 첨단 파수꾼Part 3. 개인정보보호법 갈등 ... ...
- [Issue] 청년실업 문제, 어쩌다 여기까지 왔을까?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인구 감소 흐름 때문에 점차 해결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그러나 이 주장에는 두 가지 문제점이 있다. 무엇보다 미스매치 문제를 간과하고 있다.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전공의 졸업자는 부족하고, 기업이 선호하지 않는 전공의 졸업자가 넘쳐나는데 학령인구가 줄어든다고 청년실업 문제가 해결될까 ... ...
- 자본주의의 역사적 전개와 특징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자본주의는 경기 조절 정책이나 복지 정책 등으로 정부가 시장에 일정 부분 개입해 여러 가지 경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이론이다. 미국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은 뉴딜 정책을 통해 정부의 재정 지출을 확대하고 일자리를 대폭 늘려 유효 수요를 확대하며 대공황 극복을 위해 힘썼다. ... ...
- 최초의 미적분학 입문서, 이탈리아 청년을 위한 미적분학수학동아 l2018년 05호
- ‘해석 기하학의 역사’를 쓴 칼 보이어는 아녜시의 책에 대해 “새로운 내용이 없고, 몇 가지 실수가 있다”고 평가하며, ‘이탈리아 청년을 위한 미적분학’에 담긴 수학 이론이 독창적이거나 새롭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나 ‘이탈리아 청년을 위한 미적분학’은 애초에 기존 이론을 ... ...
- 도넛 위에서 게임을? 틱택토의 무한변신수학동아 l2018년 05호
- 2곳에 ×가 있는 경우는 ❸번 그림처럼 두 가지가 있어요. 빨간색 N은 앞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를 표시하면 안 되는 칸입니다. 이제 남은 빈칸에 × 3개를 추가하면 반드시 삼목이 만들어져 역시 ×가 이기게 되지요. ❹번 그림은 1곳에 ×가 있고, ×가 들어가면 안 되는 곳을 N으로 표시한 그림이에요. ... ...
- [과학뉴스] 암 진행 단계 확인 ‘지수’ 나왔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작성하고, 암세포의 기원과 암 발생 과정, 암을 일으키는 체내 신호전달 등 크게 세 가지 주제를 조사했다. 이 가운데 주목할 만한 연구결과는 브라질 상파울루 의대와 미국 하버드대, 폴란드 포즈난대 공동연구팀이 개발한 ‘유사줄기세포능(stemness-like) 지수’다. 연구팀은 종양세포의 탄생과 ... ...
- ASMR 효과, 직접 실험해 보니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영상으로 ‘송은이, 김숙의 비밀보장’ 같은 흥미 유발 영상 10개가 준비됐다. 다른 한 가지는 일반적인 ASMR 영상으로 ‘사각사각’ 종이에 글씨 쓰는 소리, ‘똑똑’ 처마에서 물 떨어지는 소리 등 10개 영상이 쓰였다. 마지막은 ASMR을 ‘의도한’ 광고 영상이었다. ‘후루룩’ 먹는 소리를 강조한 ... ...
- Part 2. 자율주행자동차 안전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대해 차가 미리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연구자들이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적외선 카메라다. 김 교수는 “열 감지 적외선 카메라는 큰 물체가 사람을 가리고 있더라도 물체 뒤에 있는 사람을 인지할 수 있다”며 “미리 서행을 하는 등 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다”고 ... ...
- [과학동아 X KRISS] 130년 만에 플랑크 상수로 다시 태어나는 킬로그램(kg)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상수를 측정해왔다. 플랑크 상수를 정확하게 구하는 방법은 XRCD와 키블 저울, 크게 두 가지다. XRCD는 실리콘 개수를 세어 아보가드로 수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아보가드로 수와 플랑크 상수의 곱은 알려져 있기 때문에 플랑크 상수를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키블 저울은 저울 한쪽에 인공물을 달고 ... ...
- [Origin] 내 안의 또 다른 나, 장내미생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대한 연구를 시작했습니다. 고든 교수는 비만에 관련된 장내미생물에 관심을 가지게 됐습니다. 2005년 그는 굶주림을 억제하는 호르몬인 렙틴이 사라져, 정상 쥐에 비해 체중이 4배 가량 많이 나가는 유전자 변형 쥐와 정상 쥐의 장내미생물을 비교했습니다. 그 결과 유전자 변형 쥐에서 ... ...
이전2102112122132142152162172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