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발"(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 [융·복합 파트너@DGIST] 로봇공학전공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오랫동안 견딜 수 있는 소재를 개발해 안정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경전극을 개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신경과 기계를 연결하는 접속 기술 연구자들은 신경전극으로 행동뿐만 아니라 감각도 되살릴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그리고 감각을 되살리면 특정 연상기억을 떠올리게 하거나 ... ...
- 이상엽|국제학술지, 경제, 중국...글로벌 파워를 뿜어내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혈액에서 산소를 운반하거나 세포 호흡에 사용되는 헴철(heme iron)을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했고, 올해 1월에는 미생물로부터 화학제품을 생산하는 경로를 총정리한 바이오 기반 화학물질 합성지도를 완성해 발표하며 연구를 선도하고 있다. 하지만 이것으로 그의 글로벌한 영향력을 모두 설명하긴 ... ...
- [스타쌤의 수학공부 꿀팁] 움직이는 수학으로 공부하기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수학을 책으로만 공부하다 보면 아쉬울 때가 있다. 뫼비우스의 띠나 클라인 병 같은 도형은 여러 방향으로 돌려가면서 살펴보면 이해하기 쉬운데, 한 방향에서만 ... 더 편리한 환경에서 주변을 수학적으로 탐구하며 관찰할 수 있길 바란다는 최 교사가 개발할 다음 수학 실험이 기대된다 ... ...
- [SW 진로체험] 답을 찾는 시간이 즐거운 SW 개발자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짜고 처음부터 끝까지 단계를 구상하고 필요한 명령어를 조립할 수 있어야 하죠. 개발자를 꿈꾸는 학생들에게 조언해 주세요.언젠가 소프트웨어 전시회에 참석한 적이 있어요. 그때 전세계의 훌륭한 프로그램들을 보면서 이런 생각을 했어요. ‘내 프로그램이 다른 것을 조금이라도 모방했다면 ... ...
- Part 5. 작은 축제에서 찾아보는 올림픽의 미래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거의 없거든요. 버네트 박사는 “니트로셀룰로오스는 반응성이 큰 물질이라 앞으로 개발한 불꽃의 안전장치를 개선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말했어요. 축제, 뼛속까지 친환경을 꿈꾸다! 2018년 5월 영국의 60여 개 음악축제는 플라스틱을 점점 줄여나가겠다고 약속했어요. 2021년에는 ... ...
- [3·1운동 100주년] 대한의 모든 존재에게 한글 이름을 허하라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석주명은 나비 연구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두각을 드러냈다. 특히 그는 세계 공용어로 개발돼 한창 연구 중이던 에스페란토에 큰 관심을 보였다. 에스페란토 교과서를 저술하며 국내에 보급하고자 노력했고, 학회를 통해 국제적으로도 활발히 교류했다. 또한 그는 자신의 논문에 에스페란토 ... ...
- 수압, 감수하시겠습니까... 해저 36m 수중 데이터센터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데이터센터를 제안했다.이를 바탕으로 MS는 프랑스의 잠수함 제작 및 해양 재생 에너지 개발 회사인 네이벌 그룹과 함께 2단계 실험에 사용할 데이터센터를 제작했다. MS는 “현대 과학기술로는 최대 7000m, 즉 700기압을 견딜 수 있는 장비들도 있다”며 “이런 기술을 활용한다면 우리는 앞으로 3 ... ...
- [수학체험실] 십이이십면체와 세팍타크로 공 품은, 지오데식 돔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지오데식 돔(Geodesic Dome)은 표면이 삼각형 격자로 이뤄진 구형의 다면체 구조입니다. 삼각형의 모서리와 면으로 힘을 분산시키기 때문에 얇은 표면으로도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 학생들이 수학을 아름답고 즐겁게 느낄 수 있도록 여러 활동을 하며 프로그램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 ...
- [3·1운동 100주년] 일제강점기 조선 과학자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화학 박사학위를 받고 듀폰연구소에서 프레온가스 개발에 참여해 공동개발자로 명성을 얻었다. 최초의 엔지니어로 부를만한 오하이오주립대 출신의 이병두(세라믹공학)는 인공 치아 연구로 여러 특허를 취득해 경제적으로도 상당한 성공을 거뒀다. 잊혀진 일제강점기 과학역사 발굴해야당시 ... ...
- 한국 인공태양 완공 10년, 1억 도로 타올랐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ducting Tokamak Advanced Research·케이스타)’는 1995년부터 2007년까지 12년 동안 국내 기술로 개발된 초전도 핵융합장치다. 국가핵융합연구소는 2007년 8월 KSTAR를 완공했다. 2008년 5월, KSTAR 연구진은 초전도 핵융합장치 운전을 위한 가장 큰 어려움이었던 극저온 냉각 시운전을 단 한번에 성공했다 ...
이전2102112122132142152162172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