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양
대양
해사
대해
해상
해운
함수호
d라이브러리
"
바다
"(으)로 총 3,719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린란드 빙하에 '나이아가라 폭포' 쏟아진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내려간 호숫물은 빙하와 지표 사이의 틈으로 흘러 빙하를 1.2m나 들어 올리면서 빙하가
바다
로 밀려가는 속도를 가속시킨다. 그린란드의 빙하는 매년 100m 정도씩 섬 바깥쪽으로 밀려가 떨어져 나가는데 여름에는 이동 속도가 빨라진다.다스 박사는 “호숫물이 배수되면서 빙하의 흐름을 가속시키는 ... ...
바다
의 '젖줄' 하구역 살려낸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하고, 직선 형태로 해안선을 만드는 사업을 규제하는 방안을 건의할 계획이다.
바다
의 ‘젖줄’인 하구역은 곧 우리들의 ‘생명줄’이기도 하다. 인류의 ‘생명줄’을 복원하기 위해 오늘도 열심히 연구하는 하구역기능회복연구단의 활약을 기대해본다 ... ...
감자의 인기가 급상승한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盲囊)증후군이라고도 한다 넓게는 흡수불량증 후군의 하나이다 남캘리포니아 앞
바다
에서 하와이 제도 북부에 걸쳐 거의 동서로 뻗은 길이 3,000km의 단열대 단열대의 서부에서는 가파른 면을 마주 향하고 있는 두 비대칭산맥으로 구성되어 있고 중앙부에서는 북쪽의 산맥이 소실되고 남쪽 산맥의 ... ...
봄날의 달빛을 좋아하세요?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바다
’에요. 아래쪽에 풍요의
바다
가 보이죠? 그 위 그림자에 반쯤 가린 부분이 ‘맑음의
바다
’에요. 닐 암스트롱과 버즈 올드린이 처음 발을 디딘 곳이죠.”기자가 달나라 여행 삼매경에 빠진 이곳은 경기도 양평에 있는 양평국제천문대다. 천문대의 ‘별지기’ 이효산 과장이 망원경 조작부터 ... ...
지름 2m의 눈으로 우주 본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이름과 함께 커다란 시계가 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천문대의 남쪽으로 펼쳐진
바다
에는 일본교량공학의 상징인 아카시대교가 본토와 아와지마섬을 연결하고 있다.보현산천문대가 있는 영천에 사는 사람들이 그렇듯이 효고현의 사요 지역 사람들은 자기 고장에 천문대가 있다는 사실을 매우 ... ...
추운 나라에서 온 손님, 겨울철새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날갯짓할 때 생기는 기류를 뒤에서 받으며 날면 힘이 덜 들지요. 겨울철새들은 강이나
바다
, 또는 추수가 끝난 논에서 물고기나 떨어진 알곡을 먹고 살아요. 혹시 호수나 논에서 쉬고 있는 겨울철새들을 보더라도 돌을 던지거나 큰 소리로 쫓지 마세요. 조금 있으면 다시 추운 나라로 돌아가기 위해 ... ...
다시 우뚝 선 우리 공룡 천년부경룡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속에 빛이 들어왔어. 부경대학교 환경지질과학과의 백인성 교수님이 경상남도 하동군 앞
바다
의 돌섬에서 내 뼈를 발굴해 내신 거야. 나의 목뼈와 등뼈, 갈비뼈, 꼬리뼈등이 세상 밖으로 나오게 됐단다.나는 백 교수님이 계시는 학교 이름인 ‘부경’과 나의 뼈가 학계에 발표된 2000년의 뜻을 더해 ... ...
감금증후군에 걸린 남자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수 없는 자신을 잠수복을 입은 채 깊은
바다
에 빠져있는 사람으로 비유한다. 하지만
바다
속의 엄청난 압력에 못 이겨 몸을 움직일 수 없을 뿐 결코 움직이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비록 몸은 침대에 묶여 있지만 그는 스스로 한 마리의 나비가 돼 아무도 가보지 못한 세상으로 상상의 나래를 편다. 마치 ... ...
지구온난화 가속시키는 바이오연료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앞
바다
나 일본 동북쪽 앞
바다
의 해저가 그 전형적인 예이다남캘리포니아 앞
바다
에는 많은 해분(海盆)과 섬 · 뱅크(bank)가 북서~남동방향으로 늘어서 있고 그 바깥쪽에 대륙사면이 있다 지구의 각 대륙이 오랜 지질시대에 대규모로 이동하여 상대적으로 위치가 달라지게 되었다는 설 1912 년에 A L ... ...
part 1 못 볼 곳 없는 천리안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말이다. 카메라 앞에 적절한 망원렌즈를 추가한다면 서울 상공에서 부산 해운대 앞
바다
(약 400km 거리)의 갈매기가 몇 마리인지 내다보는 ‘천리안’도 가능하지 않을까.밤만 되면 앞을 볼 수 없는 인간 시각의 한계는 군사용으로 사용되는 야간 투시경으로 극복할 수 있다. 인간의 눈은 가시광선 ... ...
이전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