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찬성
저항
이의
상반
역
항쟁
항거
d라이브러리
"
반대
"(으)로 총 4,967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영재캠프] 낭만 올림피아드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4번원호 AC와 꺾은선 ABC로 둘러싸인 볼록한 영역이 있다. 원호와 꺾은선은 AC에 대해 서로
반대
쪽에 있다.원호 AC의 중점을 지나 이 영역의 넓이를 이등분하는 직선을 작도하여라.곧은 직선들로 이루어진 다각형도 아니고 곡선이 일부 포함된 도형인데 넓이를 이등분하라고 하는군요.첫눈에는 조금 ... ...
수학으로 풍덩, 수영의 매력 속으로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할 때는 손으로 물을 끌어당기거나 발로 물을 찬다. 이 동작은 선수들의 진행 방향과
반대
로 이뤄지기 때문에 반작용으로 물의 저항은 더욱 거세진다. 따라서 선수들이 거센 물의 저항을 그나마 적게 받으려면 몸이 물 밖에 많이 나오는 연습을 해야 한다. 즉 선천적으로 몸이 물에 뜨는 힘(부력)이 ... ...
PART 1 수학자는 왜 비눗방울을 좋아할까?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있는데, 비눗물에 공기가 들어가 거품이 생기면 물을 싫어하는 부분이 공기를 둘러싼다.
반대
쪽에는 물이 모인다.이것이 바로 비눗방울이다. 이렇게 비누 분자가 물과 공기와 적절하게 결합해 안정적인 형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물거품에 비해 비눗방울이 오래 유지된다.비누와 물을 어떤 비율로 ... ...
어디서나 쓸 수 있는 암호 찾는다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들어 어떤 사람에게 ‘11 곱하기 13은?’이라고 물으면 곧 143이라는 답을 냅니다. 그러나
반대
로 ‘143은 어떤 소수의 곱으로 이뤄졌나?’라고 물으면 답을 낼 때까지 시간이 오래 걸려요. 이런 현상은 사람이든 컴퓨터든 똑같죠. 이때 곱한 두 수가 매우 크면 두 수를 다시 찾는 것이 현실적으로 ... ...
사자는 무엇을 보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어떻게 다를까? 회색과 녹색은 서로 보색은 아니지만, 두 빛깔이 각각 이루어낸 세계는 정
반대
라는 느낌을 준다. 하지만 회색 기계가 초록빛 생태계의 적일 필요는 없다. 한 가지 색으로 이뤄진 그림보다 여러 색이 어울린 그림이 말 그대로 더 다채롭기 때문이다. 회색빛의 사물들에게 다른 색깔의 ... ...
대소변 가리기도 경쟁하는 세상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몰두하는 증상이 나타난다. 노래 제목처럼 ‘무지개 너머’를 좇는 사람들이라고나 할까.
반대
로 숲은 못 보고 나무만 보는 사람들도 있다. 완벽주의자들이 여기에 속한다. 이들의 장점은 어떤 일이든 무서울 정도로 집중하고 그 일을 철저히 해낸다는 점이다. 하지만 이들은 작은 그림을 모으면 어떤 ... ...
PART 2 거품 함수와 방정식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갖고 있다. 그만큼 맥주에서 생기는 공기방울은 샴페인보다 더 느리게 올라간다. 이는
반대
로 샴페인이 맥주나 다른 음료에 비해 공기방울이 폭발적으로 상승한다는 뜻이다. 프랑스 모와샨돈 연구소의 베르트란드 로빌라드와 라임대 제라드 라저-벨라이어는 2000년에 공동으로 이런 비밀을 알아내 ... ...
Intro. 신의 입자 vs. 어둠의 입자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관측자료가 발표됐다. 불과 20일 전인 지난 4월 13일, 다른 연구팀이 암흑물질은 없다는 정
반대
결과를 낸 다음이라 흥분은 더욱 컸다. 인류는 우주의 비밀을 풀 수 있게 된 걸까. 아직 섣불리 단정하거나 흥분할 상황은 아니다.대부분의 학자들은 두 입자의 발견까지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본다. ... ...
네안데르탈인, 정말 현생인류 만났나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현생인류와 아예 만날 수조차 없게 된다. 한편 이틀 뒤인 5월 13일 ‘사이언스’에는
반대
로 네안데르탈인이 기존보다 더 넓은 지역에 살았으며, 현생인류와도 더 오래 공존했다는 사실을 보여 주는 논문이 발표됐다. 러시아과학원 고고학과 파벨 파블로프 박사팀은 “기존보다 훨씬 북쪽인 북위 약 6 ... ...
시화호 조력발전소 건설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성공적으로 운영된다면, 세계 에너지 역사에도 남을 사건이 될 것이다. 물론
반대
일 수도 있다. 무분별한 조력발전소 건립 붐을 일으켜 바다 생태계에 돌이킬 수 없는 상처를 줄지도 모른다. 건설 현장을 빠져나와 방조제 길을 따라 다시 내륙으로 들어서며, 기자는 시화 조력발전소가 에너지계의 ... ...
이전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