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상
추측
가상
몽상
구상
팬시
허구
d라이브러리
"
상상
"(으)로 총 3,427건 검색되었습니다.
4. 한반도 지키는 태권 거인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수십년이 지난 우리에게도 새로운 의미로 다가오고 있다. 그리고 되묻고 있다. 희망과
상상
의 꿈을 잊어버리지 않았느냐고 말이다. 미래는 꿈을 품는 데에서 나온다. 태권V는 다시 부활하고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태극전사 로보트 태권V1. 반갑다, 태권로보트야!! 로봇을 통해 휴머니즘 ... ...
천재 미디어 아티스트 백남준을 추모하며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1959년 살아있는 수탉과 오토바이, TV 수상기를 연결한 작품을 선보인다. 이어 그는 1960년
상상
을 초월하는 충격적인 사건과 행동으로 ‘피아노 포르테를 위한 습작’을 발표한다.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부수고, 피아노 연주를 관람 중인 존 케이지의 넥타이를 가위로 자르는 퍼포먼스를 선보이던 그는 ... ...
모차르트 효과 정말 있나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과장되는 것은 우려할 만 하다. 특히 모차르트 효과가 제한적인 연구 결과에 사람들의
상상
력이 덧붙여진 후 음반 회사들의 상업적 이해로 과장돼 미디어를 통해 확산됐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미궁 속 모짜르트의 사망 원인영화 ‘아마데우스’에서는 모차르트의 재능을 시기한 ... ...
언어는'웨' 바뀌는가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못하는 사이에 발음이나 문법도 바뀌고 있다.서울대 언어학과 권재일 교수는 “‘
상상
플러스’가 세대 간에 서로 쓰지 않는 단어를 중심으로 소개하는 이유는 단어가 문법이나 음운보다 빨리 변화해 쉽게 느낄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젊은 세대와 나이든 세대 간에는 이미 발음도 ... ...
기계를 꿈꾸는 인간, 인간을 꿈꾸는 로봇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사람과 기계의 결합이 머지않았음을 말하고 있다.물론 이번 전시는 과학이 예술가의
상상
력을 표현하는 도구에 머물러 있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마치 화성인과 금성인처럼 이들은 서로 세상을 보는 다른 언어와 가치관을 갖고 있어 의견을 나누고 조율하는데 무리가 따를 수밖에 없다. 하지만 ... ...
모리 박사와 함께한 7인의 우주인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지구는 푸른 별’이라고 했습니다. 하지만 제가 처음으로 우주에서 바라본 지구는
상상
했던 그 이상이었죠. 아마 영원히 잊지 못할 것입니다.”현재 일본의 우주개발 수준은 아시아에서 최고라 할 수 있다. 우주인 양성 프로젝트 역시 우주개발의 정도에 따라 반드시 필요한 단계다. 일본은 이미 ... ...
진화하는 월드와이드웹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열리고 있는 10년 후 로봇 전시장에는 유독 이목을 끄는 곳이 있다. 흔히 우리가
상상
하던 로봇 작품 대신 모니터와 자판만으로 이뤄진 독특한 이 로봇의 정체는 일명 ‘채팅로봇’. 한마디로 말하는 로봇이다. 자판을 두드려 말을 걸면 모니터 속의 캐릭터가 이에 상응하는 답변을 한다. 누군가 ... ...
생명의 기원을 명강의로 푸는 어린왕자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어린왕자의 호기심을 부추겼다. 갈수록 커가는 생명과 우주의 기원에 대한 궁금증은
상상
의 날개를 펼치던 학창시절에 어린왕자의 어깨에서 돋아나기 시작했다. 그러나 남 앞에서 말을 잘하지 못할 정도로 숫기가 없는 탓에 그의 날개는 밖으로 나오지 못했다. 인간은 만몰의 원자‘인간 = 만몰의 ... ...
2007년 4월 꿈은 이루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더욱 깊다.전문가들은 우주인 선발과정을 통해 얻게 될 노하우와 산업적 기대 효과는
상상
이상일 것이라고 평가한다. 우주인이 어떻게 선발되기에 이런 평가가 나오는 것일까.벌써부터 최초 우주인이 누가될 것인가가 초미의 관심이 되고 있다. 항우연 우주인배출사무국에는 우주인 후보에 대한 ... ...
과학자와 예술가의 유쾌한 음모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1937년에 있었던 힌덴부르크 비행선의 참사사건과 미국의 9·11테러에 연결시키는 작가적
상상
력을 드러냈다. 양 작가는 비행선에 감시카메라를 장착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주제의식을 담았다. 때마침 비행로봇의 활용방안을 고민하던 강성철 박사는 새로운 연구 아이디어를 얻었고 두 사람은 ... ...
이전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