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뜻밖
의외
예상밖
d라이브러리
"
생각밖
"(으)로 총 3,433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보에 날개를 단 무선단말기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짝사랑의 환희에 젖어있는 영문과 3학년 여대생 소은과 아마추어 무선통신의 매력에 흠뻑 빠져있는 광고창작과 2학년 남학생 지인. 개기월식이 일어나던 어느날 밤 전혀 불가능한 일이 마술처럼 일어나, 두사람은 21년이라는 긴 시간의 터널을 초월해 무전기를 통해 우연히 서로를 알게 된다. 이때 ... ...
Ⅳ. 우주의 시작과 끝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지난 세기 동안 인간은 거대 망원경을 이용해 우주의 비밀을 파헤쳐 왔다.그러나 인간이 알아낸 지식은 광활한 우주에 비해 매우 초보적인 지식에 불과하다.아직도 해결하지 못하는 수많은 문제들에 도전하는 차세대의 망원경이 어떤 성과를 가져다줄지 기대해보자.천문학자가 다루는 천체는 보통 ... ...
Ⅰ. 우주는 팽창하고 있다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1609년 갈릴레이가 망원경을 통해 천체를 관측한 이후 약 4백년 동안 광학망원경은 눈부시게 발전해왔고 그때마다 천문학적 발견이 뒤따랐다.거대망원경을 통해 우리은하의 구조가 밝혀졌고,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현재 건설되고 있는 초거대 광학망원경이 보여줄 우주의 모습을 ... ...
2. 가속기가 열어온 입자물리학 50년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1995년 3월 2일 미국 시카고 근교에 있는 페르미 국립가속기연구소는 톱 쿼크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멘델레예프가 원자들의 주기율표를 완성한지 1백28년만에 원자들을 이루는 기본 입자들의 주기율표가 완성된 순간이었다.우주의 물질을 이루는 가장 작은 기본입자는 각각 3세대로 이루어진 경입 ... ...
케플러와 그의 법칙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지금은 흔히 알고 있는 케플러의 법칙.당시로는 각고의 노력 끝에 얻어진 값진 결과였다.최초로 행성의 운동을 세가지 법칙으로 설명했던 케플러의 발자취를 따라가보자.원에 대해 내가 품고 있던 동경은 환상에 지나지 않았다. 행성은 타원궤도를 따라 태양 주위를 움직이는 것이다.” 케플러(1571- ... ...
Ⅲ. 지구 대기권 밖으로 나가자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우주의 비밀들은 모든 파장의 전자기파에 실려 있다.하지만 지구대기는 가시광선 영역과 전파영역 일부를 제외하고 우주로부터 오는 전자기파를 대부분 가로막는다.우주망원경이 대기권 밖으로 나간 이유다.우주망원경들의 새로운 눈이 보여주는 우주는 어떤 모습일까.우주망원경에 대한 착상은 ... ...
과학관 2백배 즐기기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과학관에서는 손과 발의 머리를 부지런히 움직여야 한다.다양한 방법으로 동작시켜 보고,어떻게 그런 현상이 일어나는지 곰곰히 따져봐야 한다.그렇게 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과학과 친구가 된다."내 소리 들려?” “ 와! 신기하다. 소리가 굉장히 잘 들려!”사람들은 3m나 떨어진 거리에 설치된 포물 ... ...
고등학생들이 만든 호버크래프트 '희망 2000'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고등학생 '맥가이버' 로 불리는 현대고등학교 자동차항공기연구반 학생들이 호버크래프트를 만들었다.그들의 희망을 담고 지면에서 떠오른 호버크래프트를 지상에 공개한다.나무를 자르고, 나사못을 박고, 용접을 한다? 어느 공사현장의 상황? 아니다. 현대고등학교 지하에 있는 기술실에서 벌어 ... ...
티코 브라헤와 초신성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티코 브라헤는 망원경을 사용하기 전,전시대를 통틀어 가장 정확한 관측을 했다.그는 신성을 발견하고 혜성이 지구대기권 밖에서 일어나는 현상임을 밝혔다.어떻게 이것이 가능했을까. 우주의 신비를 밝히는 최전선에는 천문대와 망원경이 있다. 인간이 지닌 시각을 훨씬 뛰어넘는 많은 빛을 모아 ... ...
2. 기능 없는 97% DNA의 비밀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게놈프로젝트를 통해 인간을 비롯한 여러 생물의 유전정보가 속속 밝혀지면서 과학자들은 새로운 딜레마에 빠졌다.별다른 쓸모가 없어 보이는 DNA가 게놈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고등생물일수록 더 큰 비중을 차지하는 '쓸모 없어 보이는'DNA.과연 이 DNA는 용도 폐기된 것일까.아니면 ... ...
이전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