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FRUIT, BEER, MAKGEOLLI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수제 맥주를 가정에서 제작할 수 있도록 만든 ‘키트(kit)’보다 훨씬 수월하다는 점만은 인정해야 할 것 같다. 이를 위해 기계에는 발효에 필요한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온도조절장치와 탄산 수준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들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직 국내에는 출시되지 않았지만 그 ... ...
- [프리미엄 리포트] ‘디자이너 베이비’의 탄생? 유전자 편집 기술의 명암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바꾸는 방식이어서 훨씬 간편하고, 비교적 정확하게 표적 유전자를 자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최초로 유전자를 원하는 대로 자르거나 넣어 ‘편집’을 할 수 있게 된 것은 1970년대다. 이탈리아 미생물학자인 살바도르 루리아와 주세프 베르타니는 세균을 감염시키는 바이러스인 박테리오파지의 ... ...
- [나의 영국 유학 일기] 땅값이 비싼 런던에서 대학교에 다닌다는 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있어서 건강도 챙길 수 있다. 나처럼 생활비를 직접 버는 대학생에게는 매우 큰 장점이다. 기숙사에는 1학년 학생들을 위한 이벤트도 많다. 기숙사 차원에서 하는 커다란 보트 파티부터, 플랫메이트들끼리 모여 소소하게 즐기는 파티까지 추억을 쌓을 기회도 많다. 작년 크리스마스에는 ... ...
- [서울대 공대|컴퓨터공학부] 4차 산업혁명의 주축 컴퓨터공학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운영하는데, 학생 수가 100여 명에 불과해 1등급을 받을 수 있는 학생이 2명이었다. 과학중점반에 속해 있던 박 씨는 수시에서 승부를 보기 어렵겠다는 판단이 섰다. 그래서 박 씨는 고등학생 때부터 정시에 올인하기로 마음먹었다. 그는 사설 모의고사 문제는 풀지 않고, 평가원 모의고사와 EBS 문제 ... ...
- Part 4. 좁은 공간도 문제 없다! 가구 옮기기수학동아 l2019년 02호
- 먼저 지도를 좌표 평면에 나타낸다. 그런 뒤 좌표 평면에서 장애물을 움직일 수 없는 지점으로 설정하고 지나갈 수 있는 곳을 연결한 선을 따라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최단 경로를 계산한다 ... ...
- [수학체험실] 블록으로 만드는 프랙털 세상수학동아 l2019년 02호
- 모눈 그림에서 자를 이용해 사각형의 각 변을 3등분하는 점을 확인하고 서로 마주보는 점을 이어 사각형 내부에 전체와 닮은 작은 사각형을 그리고 색칠한다. 작은 사각형에서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2단계, 3단계의 시어핀스키 카펫을 그리고 색칠한다. 4 직접 만든 시어핀스키 카펫을 관찰해 ... ...
- [전지적 수학 시점] 마인크래프트, 논리로 만드는 전기 회로수학동아 l2019년 02호
- 마인크래프트 유튜버로 활동하는 DIA TV 소속 크리에이터 ‘바위골렘’에게 궁금한 점을 물어봤다! Q 수학동아 독자에게 자기소개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마인크래프트 탈출맵 제작 및 유튜브 크리에이터로 활동하는 바위골렘입니다. Q 마인크래프트 방송을 하게 된 계기가 무엇인가요? 201 ... ...
- [알고리듬 시그널] 완벽한 답을 찾기 어려울 땐 근사 알고리듬수학동아 l2019년 02호
- 되는 점을 선택하는 문제죠. 다만 점을 선택할 때 가장 큰 집합의 지름이 최소가 되도록 점을 골라야 해요. 클러스터링 개념을 충분히 이해했다면 다음 시간에는 클러스터링 알고리듬이 어떻게 최소 지름을 찾는지 알려드릴게요. 그럼 전 견우를 도와주러 이만 ... ...
- [SW 진로 체험] 수학, 금융을 꽃 피우다수학동아 l2019년 02호
- 계산을 정확하고 빠르게 하는 데 강점이 있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다른 부분에서 장점이 있는 것 같아요. 수학을 전공하면 논리적으로 순서에 맞게 생각하는 습관이 생겨서 그런지 머릿속에 알고리듬을 만들어서 일을 하는 것 같아요. 그래서 일의 각 단계마다 무엇이 필요한지 헷갈리지 않고 잘 ... ...
- Part 2. 특징 - 뇌가 크면 인간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포함한 초기 고인류의 골격을 관찰하면, 두뇌가 커지기 전에 직립보행이 시작되었다는 점을 알 수 있어요. 두개골의 크기는 그대로이지만, 발의 모양이 나뭇가지를 잡기 편한 구조에서 평평한 땅을 걷기에 적합한 모습으로 바뀌었거든요. 그렇다면 고인류는 왜 두 발로 걷기 시작했을까요? ... ...
이전2102112122132142152162172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