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지
계속
존속
보전
지탱
보수
영속
d라이브러리
"
지속
"(으)로 총 2,636건 검색되었습니다.
1. 지구는 생물이 살기 알맞도록 환경을 조절해 왔다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것이 생물이 사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한 대기 중 산소가 일정한 양으로 오랫동안
지속
되어 왔다는 것과 대기 온도 역시 생물이 얼어 죽지 않고 지금까지 살 수 있도록 유지되어 왔다는 것, 그밖에 바닷물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왔다는 것 등이다.이렇게 일정한 환경이 유지된 것이 생물의 작용에 ... ...
알레르기성 비염의 원인과 치료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일어난다. 발작은 주기적·계절적으로 나타나지만 항상 알레르기 항원에 노출될 때는
지속
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알레르기성 비염은 왜 일어나는 것일까. 연세대 의대 이비인후과학 교실 이정권 교수는 알레르기성 비염은 여러 알레르기 반응 중 하나일 뿐이고 그 주범은 면역 글로불린 E(IgE)라는 ... ...
지구과학- 흑점수는 11.2년 주기로 증감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신성한 것이라는 생각이 지배하던 시기였기 때문이다.갈릴레이는 망원경에 의한
지속
적인 태양 관측으로 흑점이 동쪽에서 서쪽으로 태양 표면을 가로질러 움직이는 것을 발견했으며 뿐만 아니라 흑점이 서쪽 가장자리에 도달해서는 사라지고 다시 2주일쯤 후에는 동일한 흑점이 동쪽 가장자리에서 ... ...
화학- 독한 술의 짜릿한 느낌은 침속 수소와 결합때 열방출 때문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연료로 사용하고 있다. 알코올을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엔진의 부식문제, 연료의
지속
적이고 안정적인 공급문제 등이 고려해야 할 점이다.물은 어디서나 구하기 쉽고 비열이 커서 냉각효과가 좋으므로 자동차 엔진의 냉각제로 사용된다. 그러나 물은 어는점이 높아서 겨울에 부동액이 얼게 될 ... ...
기초과학 연구의 상징 SSC 건설계획 중지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중단이 야기할 수 있는 여러가지 위험성이 지적됐다. 아무튼 'SSC의 중단이냐, 아니면
지속
이냐'는 문제는 미국뿐 아니라 일본이나 유럽의 물리학을 비롯한 여타 기초과학연구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 ...
PART.1 CD-ROM, 이렇게 움직인다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위에 pit와 land를 기록해나가는 반사층이 있으며 그리고 제일 윗쪽에는 데이터의 안전과
지속
성을 높이기 위한 투명한 보호층이 자리잡고 있다. 여기에 중간에 위치한 반사층에 실제 데이터가 기록되며 제일 윗쪽의 보호층은 레이저빔을 그대로 하층까지 통과시키는 구조를 갖고 있다.CD ... ...
4. 사람에게만 서식하는 종류는 퇴치가능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유지된다. 그러나 사균백신은 접종한 항원량이 제한되기 때문에 면역반응을 오랫동안
지속
시킬 수 없다. 생백신은 접종동물 내에서 변형을 일으켜 독력을 나타내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생백신이든 사균백신이든 아직까지는 바이러스를 퇴치하는 최선의 방법이긴 하지만 ... ...
지동설을 탄생시킨 목성의 4대위성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장반경을 참고해 위성의 위치를 스케치 해나간다면 위성들의 확인이 가능하다. 물론
지속
적인 관측이 필수다. 이오는 공전 주기가 1.8일 정도 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몇시간 간격만 두고 관측을 해도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고, 가니메데의 경우 공전속도가 느리고 궤도 반경이 커서 목성으로부터 멀리 ... ...
3.3년 주기 엥케혜성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떨어진다. 즉 목동자리가 복사점이다. 유성들은 매우 짧은 간격으로 떨어지고, 하루 정도
지속
된다. 이 유성우의 복사점은 자정이 될 때까지 떠오르지 않지만 동틀녘이 될 때쯤이면 우리 머리위까지 오게 되므로 새벽녘에 많은 유성이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매년 출현하는 유성의 수는 시간당 ... ...
생물 - 수정란 1개의 무한한 잠재력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수정란에서 수십조의 세포를 가진 생명체가 탄생하기까지, 생명체 발생의 신비는
지속
적으로 작용한다.난자는 수정되면 발생을 시작하여 자궁에 착상하고 발육을 계속한다. 수정 후 3주째가 되면 내배엽 중배엽 외배엽의 3개 세포층이 생긴다. 이중 내배엽에서는 장이나 위 등 소화기와 소화샘, 허파 ... ...
이전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