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전세계 네트워크, SNS로 통한다!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그래프 연구가 필요해졌다. 1950년대 헝가리의 수학자인 폴 에르되스와 알프레드 레니가
최초
로 네트워크 연구를 시작했다.③ 다양한 분야에서 쓰이고 있는 네트워크 이론현재 네트워크 이론은 사회 구조나 인간관계를 연구하는 사회학과 인터넷 네트워크를 연구하는 전산분야를 넘어, 면역체계나 ... ...
PART 2. 노벨상을 부르는 수학의 힘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남부 교수는 기본입자들이 상호작용으로 대칭성이 스스로 깨지는 구체적인 모형을
최초
로 찾아냈다. 그리고 이때 질량과 스핀이 0인 입자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수학적으로 입증했다. 그런데 대칭성이 자발적으로 깨진다는 게 어떤 뜻일까?예를 들어 돌고 있는 팽이는 쓰러지기 전까지 팽이 축을 ... ...
스티브 잡스는 어떻게 시대의 아이콘이 되었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잡스는 자신이 창업한 회사에서 쫓겨 난 실패자라는 낙인까지 찍혔었다. 하지만 세계
최초
의 컴퓨터 에니메이션 영화인 ‘토이 스토리’를 성공시켰고, 결국 애플에 돌아와서 회사의 르네상스를 이끌었다. 이때 잡스는 매우 소중한 교훈을 깨달았다고 말했다. 만약 애플에서 해고 되지 않았더라면 ... ...
“한·중·일은 하나의 인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한국에 왔다는 소식을 들었다. 미토콘드리아 이브는 20만 년 전 아프리카에 살았다는
최초
의 인류에 붙은 별명. 모계로 유전되는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를 분석해 ‘족보’를 밝혔기 때문에 이브라고 이름 붙였다. 이 연구는 ‘문과’로 인식되던 고고학과 인류학에 ‘과학 바람’을 일으킨 것으로도 ... ...
Part 1. 노벨 물리학상 - 우주는 점점 빨리 팽창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1990년경부터 브라이언 슈밋과 애덤 리스가 함께 주도한 ‘High Z SN Search Team’이다. 이들은
최초
로 우주의 가속팽창을 발견한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지금까지 우주론 연구로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경우는 두번이었다. 첫 번째는 1978년 우주배경복사의 등방성을 발견한 공로로 받은 ... ...
불굴의 탐사선 하야부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주위를 1년간 돌다가 착륙하기까지 했다.하야부사가 성취한 가장 뛰어난 업적은 사상
최초
로 소행성 표면 물질을 채취해서 지구로 가져 왔다는 것이다. 물론 하야부사 이전에도 지구 밖 천체의 물질을 지구로 가져 온 경우는 여러 번 있었다. 1970년대 미국과 옛소련의 탐사선이 달 표면에서 흙과 ... ...
암세포만 찔러 죽이는 바이러스 항암제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속도라면 JX-594는 2~3년 내에 의료 시장에 진출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서 개발을 주도한
최초
의 항암제인 만큼 아주 뜻 깊은 일이 될 것이다. [JX-594는 정맥주사로도 이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주로 간암과 대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했지만 다른 암에도 효과가 있는지 알아볼 예정이다 ... ...
과학으로 하이킥! 애니메이션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제작자가 될 거예요.한국애니메이션고등학교는?한국애니메이션고등학교는 우리나라
최초
로 영상 분야 교육을 특성화한 학교예요. 2000년 개교이 후 매년 약 100명의 애니메이션 전문 인력을 배출하고 있지요. 졸업한 학생들은 대학교의시각디자인과, 멀티미디어과, 컴퓨터공학과 등으로 진학하기도 ... ...
펜보다 키보드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1984년 IBM에서 개발한 ‘모델 M’ 키보드를 표준으로 삼고 있다. 그 이전인 1981년,
최초
의 개인용 컴퓨터와 함께 키를 5열로 배치한 키보드가 있었지만 반응이 좋지 않았다. 엔터 키나 시프트 키의 크기가 작고 키의 수도 83개에 불과해 불편한 점이 많았기 때문이다.모델 M은 키를 6열로 배치하고 ... ...
색종이로 만든 퍼즐 펜토미노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이름이 없었다. 1953년 미국의 솔로몬 골룸 박사가 하버드대 수학클럽에서 강의 도중
최초
로 ‘펜토미노’ 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오늘날까지 ‘펜토미노’ 라 불리게 됐다.펜토미노는 입체도형과 평면도형으로 나눠 생각해 볼 수 있다. 그 종류는 정육면체 5개를 이어 붙여 만든 펜토미노 블록 ... ...
이전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