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연
만물
내추럴
자연계
네추럴
자연상태
상태
뉴스
"
자연
"(으)로 총 4,619건 검색되었습니다.
[IBS 코로나19 리포트] 코로나바이러스, 왜 수퍼 전파자가 많을까
2020.04.06
에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수용체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출혈과 분비물이 많은
자연
분만은 금기사항이며, 분만 직후 산모와 신생아를 바로 격리해 비말에 의한 감염이 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또 임신 중 산모의 치료가 제한적일 수 있다. 코로나-19 임상치료 관련 문헌을 분석해보면 ... ...
약물 전달부터 폐수 정화까지...'재료' 꽃가루의 변신
동아사이언스
l
2020.04.06
수브라 수레시 난양공대 총장도 참여했다. 조 교수는 e메일 인터뷰에서 “
자연
이 준 재료를 최소한의 공정과 최소한의 변화를 가해 인류가 쓸 수 있는 재료를 만들고자 연구를 시작했다”며 “꽃가루를 이용한다고 해도 생태계에 피해를 주는 방식이 아니라, 지나치게 많이 만들어진 꽃가루를 ... ...
교토대 수학자 'ABC추론' 증명 소식에 日 열도만 열광…서구 수학계 '냉담'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20.04.05
정리'를 더 간단하게 풀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로소(1 이외의 공약수가 없는
자연
수)인 A,B와 이 둘을 합한 C가 있을 때 세 수의 소수들을 곱한 값을 D라고 하면 대부분 D가 C보다 크고 반대로 C가 더 큰 경우는 드물다는 게 ABC 추론의 주요 내용이다. 예를 들어 A가 1이고 B가 8일 때 A와 B의 합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9000만 년 전 남극, 얼음 대신 숲으로 뒤덮여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5
자그마한 공룡이 물가에서 뛰노는 숲의 모습을 표지에 담았다. 과거 중위도나 적도 근처
자연
을 묘사한 것 같지만 그림이 표현한 곳은 놀랍게도 남극이다. 남극은 공룡이 지구를 지배하던 시절인 9000만 년 전에는 빙하 대신 온대우림 숲이 뒤덮여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남극을 따뜻하게 만들었던 ... ...
인체 단백질 공략하고 줄기세포 활용한다…코로나19 치료제 새 후보들 임상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0.04.04
것이다. 폴 크뇌플러 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 교수는 뉴욕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
자연
살해세포가 호흡기 세포를 대량으로 죽여 오히려 문제를 악화시킬 것”이라고 우려했다. 셀룰러리티 제공 ●여전히 뚜렷한 치료제 없는 가운데 기존 항바이러스제 임상시험 활발 현재는 코로나19 전용 ... ...
[잠깐과학] 금보다 비쌌다고? 알루미늄 제련법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20.04.04
제련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알루미늄은 상대적으로 반응성이 큰 금속이라
자연
상태에서는 주로 화합물로 존재한다. 19세기 중반만 하더라도 이를 순수한 금속으로 만들기 어려워 알루미늄은 귀금속으로 취급받았다. 프랑스의 나폴레옹 3세는 신분이 높은 손님은 알루미늄 식기로, 신분이 ... ...
300만년전 아기의 '늦게 자란 뇌'가 인류와 유인원 운명 갈랐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2
이번 연구에서는 이들 종의 특징이 집중적으로 밝혀졌다. 크리스 스트링거 영국 런던
자연
사박물관 교수팀은 잠비아 카브웨 지역의 동굴에서 1920년대에 발굴한 '호모 로데시엔시스' 화석의 연대를 재추정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화석은 당시 하나의 독립된 종으로 여겨져 호모 ... ...
가우디도 놀랄 까치집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20.03.30
단단히 묶어 둥지를 짓는다. 흔히 '헝클어진 머리'를 묘사할 때 쓰는 까치집에도
자연
이 전하는 위대한 건축술이 담겨있다. 까치는 보통 나뭇가지를 겹치게 하나씩 쌓아 둥그런 모양의 둥지를 짓는다. 그런데 나뭇가지가 계속 쌓일수록 서로 얽히면서 점점 움직이지 않는 ‘재밍’이라는 현상이 ... ...
인구 60% 면역력 가져야 코로나19 종식된다는데…집단면역이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0.03.24
집단면역을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은 결국 감염 뿐이다. 감염이 확산하도록 놔두면
자연
적으로 코로나19가 종식될 것이란 얘기다. 다만 이 과정에서 확산의 속도를 늦추는 것이 중요하다. 확산이 빨라져 의료시스템이 그에 대응하지 못하면 수많은 사망자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질병관리본부는 ... ...
코로나19 방역정책 딜레마…전파차단 '억제' vs 일상복귀 '완화'
연합뉴스
l
2020.03.24
하는데, 백신이 없는 상황에서는 억제 정책을 풀어야만 바이러스가 감염에 따른
자연
적인 면역을 획득할 수 있다. 유행을 끝내기 위해서 유행을 다시 불러야 하는 셈이다. 의료계에서는 아직 우리 사회가 이러한 상황을 감당할 수 없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개학으로 인한 코로나19 확산은 ... ...
이전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