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명
아호
익명
아크
해자
곡선
탄도
뉴스
"
호
"(으)로 총 3,201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소형위성 1
호
발사 연기
동아사이언스
l
2018.11.19
차세대소형위성 1
호
. KAIST 제공 별 탄생과 우주폭풍의 비밀을 밝히고 인공위성에 사용되는 국산 부품 성능시험을 담당하기 위해 개발된 차세대 소형위성의 발사 ... 우주로 올라간 ‘나로과학위성’도 과학기술위성의 일종이다. 같은 해 과학기술위성 3
호
기 역시 우주로 올라간 바 있다 ... ...
국민 10명中 7명은 원전 찬성…원자력계 조사 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18.11.19
△전기요금 미인상 실현 가능성과 대책 △에너지 전환정책 국민의사 확인 방법 △월성1
호
기 조기폐쇄 및 신규원전 부지 해제의 근거 △범정부적 원전수출 실현 지원 계획 △원자력 인력 양성 및 유지 장기 계획 △사용후핵연료 대책 수립 촉구 등 8개 문항에 대한 공개질의를 했다 ... ...
지구온난화 시대에 뜨는 직업 '농부'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1.17
사용할 수 있는 수준으로 만드는 게 목표랍니다. 관련기사 : 어린이과학동아 2018년 22
호
(2018. 11. 15 발행) 지구온난화 시대에 뜨는 미래 직업은? 대세는 농부다 ... ...
왜군 벌벌 떨게 한 조선의 시한폭탄 비격진천뢰 고창서 무더기 출토
동아사이언스
l
2018.11.15
담당했다. 조선시대 읍성 가운데 건립 연대가 정확하게 알려진 보기 드문 사례다.
호
남문화재연구원은 고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이 왜구의 방어를 위해 축성된 점으로 미뤄볼 때 이번 발굴이 무장읍성의 군사적 성격을 밝히는 중요한 자료로 쓰일 것이라고 밝혔다 ... ...
적외선 우주망원경으로 새로운 별 생성 단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11.14
13년 11월 발사한 과학기술위성 3
호
가 수집한 적외선 영상 자료를 분석했다. 과학기술위성3
호
에는 천문연이 개발한 넓은 영역의 탐사 관측에 특화된 MIRIS가 장착됐다. 연구진은 약 1년간 우리 은하면 전체에 대한 파셴알파 관측 자료를 세계 최초로 얻는데 성공했다. 분석 결과 북쪽 하늘에 위치한 ... ...
[지구사랑탐사대] 우리 민물고기의 터전, 하천
2018.11.14
이날 탐사에 참여한 지사탐 어벤져스 정이준 선생님은 “웅천천은 멸종위기 1급 보
호
종인 감돌고기의 서식지로, 개발로 인해 자취를 감췄던 감돌고기가 복원사업을 통해 겨우 돌아왔다”며, “사라지는 물고기들을 지키기 위해서는 지사탐 대원들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소감을 ... ...
미국 민간 소형발사체 기업 로켓랩, 상업발사 문 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2
소형발사체 기업 ‘랜드스페이스’가 앞서서 자체 개발한 19m 길이의 소형발사체 ‘주췌-1
호
’에 중국 CCTV의 교육용 위성을 실은 채 첫 상업발사를 시도했지만, 3단 로켓 중 마지막 로켓엣 탑재물이 빠져나가는 과정에 오류가 생겨 실패로 기록된 바 있다. 랜드스페이스는 2014년 중국이 소형발사체 및 ... ...
日 세계 3번째 우주화물 회수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11.12
시료를 넣은 캡슐을 고노토리 7
호
에 다시 싣고 실어 지상으로 내려보냈다. 고노토리 7
호
는 이날 오전 6시 24분 경 캡슐을 분리시킨 뒤 완전 불탔지만 캡슐은 대기권 진입에 성공했다. 캡슐 내의 용기는 2중 구조여서 단열 효과가 높다. 내부에는 보냉재를 넣어 대기권에 진입할 때 발생하는 고열에도 ... ...
물로 수소 만드는 고효율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1.12
백종범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팀의 연구성과를 담은 과학저널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의 표지사진. 루테늄(황색)이 그래핀(육각형 그물 구조) 위에 올라간 ...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소재 분야 국제학술지인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11월 첫
호
에 속표지 논문으로 소개됐다. ... ...
여성 과학자로 사는 건 ‘산넘어 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1.11
- Alfred Edward Chalon(W) 제공 / ‘버그를 잡다’는 표현을 널리 알린 컴퓨터 과학자 그레이스
호
퍼 - James S. Davis(W) 제공 / 할리우드 배우이자 와이파이에 쓰이는 기술을 만든 발명가 헤디 라마 -Lion-Eagle films(W) 제공 / 새로운 형태의 별 ‘펄서’를 발견한 천문학자 조슬린 벨 버넬 - Roger W Haworth(W) 제공 / ... ...
이전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