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뒤
경매
한메일
한멜
다음다음
아름다음
아름
d라이브러리
"
다음
"(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퍼즐탐정 썰렁홈즈] 파충류 전문가 ‘ 배아미 왓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보세요. 암호가 보이죠? 그 암호를 입력해 주세요!” 뱀 분양 받으세요!사건을 해결한
다음
날, 뿌듯한 마음으로 탐정 사무실로 출근한 썰렁홈즈. 그런데 이게 웬일? 사건이 났을 때처럼 다양한 파충류들이 사무실에 똬리를 틀고 있고, 배아미 왓스가 썰렁홈즈를 향해 다시 뛰어오고 있는 게 아닌가 ... ...
[지식] 게이머가 풀어야 할 대난제 랜덤박스
수학동아
l
2016년 12호
청동 갑옷을 세 개 뽑은 아돌이
다음
에 가브리엘의 갑옷을 뽑을 확률은 여전히 0.2%다. ‘
다음
엔 용사의 갑옷 정도는 나오겠지’라고 기대하는 건 잘못이다.랜덤박스를 매우 많이 사면 어떨까. 1만 개를 사면 가브리엘의 갑옷이 20개 정도 나올 것이다. 이건 ‘큰 수의 법칙’ 때문이다. 어떤 실험을 ... ...
[News & Issue] 감칠맛=글루탐산 맛!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글루탐산 맛!단백질은 물
다음
으로 우리 몸에 많이 필요하다. 따라서 우리의 혀는 단백질의 감칠맛을 느끼도록 진화했다. 하지만 단백질 자체는 분자가 너무 커서 혀의 맛 수용체가 느끼지 못한다. 맛 수용체는 단백질의 구성성분인 아미노산(ex. 글루탐산)을 느낄 수 있다. 끓이거나 발효시켜서 재료 ... ...
[News & Issue] “제3세계 여성, 에이즈를 넘어라”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어떻게 하면 병원에 더 자주 오게 하고 약을 먹을 수 있게 할지에 초점을 맞췄다.결과는
다음
과 같다. 출산 전 진료소를 찾는 여성에게 현금을 지급하는 방안은 초기에는 효과가 있었지만 항레트로바이러스제를 처방 받는 단계까지는 나아가지 못했다. 그러나 지역 교회들과 연계해 임신부를 위한 ... ...
[출동~! 섭섭박사] 호박화석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게 정말 신기하다”며, “예쁜 호박화석을 친구들에게 자랑하고 싶다”고 말했어요.
다음
엔 또 어떤 재미있는 실험이 펼쳐질까요? 앞으로도 많이 기대해 주세요~ ... ...
[지식] 오늘이 사연, 칩 토크 게임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그리고 합리적인 인간이라면 절대 두 번은 속지 않을 거예요! 처음엔 속더라도 그
다음
부턴 속지 않을 거라 생각하니 조금은 마음이 놓이네요. 첫 번째 사연의 청취자분도 판매자에 대해 꼼꼼히 찾아본 뒤에 용기 내서 거래에 도전해 보세요! 노래 한 곡 듣겠습니다~ ... ...
[지식] 저글링 하는 수학자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첫 번째 공을 3초 뒤에 떨어지게 던지고, 두 번째 공을 그
다음
3초 뒤에, 세 번째 공을 그
다음
3초 뒤에 떨어지게 던지는 거예요. 같은 방법으로 공이 3개일 때는 51법칙으로도 저글링을 할 수 있어요.“어떤 수열이 저글링이 되는지 안 되는지 판단하는 수학적인 방법도 있어요. 수열의 n번째 수에 n을 ... ...
[Editor’s Note] 화성 몽상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두 주 동안 유럽을 누비며 드론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최전선을 취재했다. 이번 호와
다음
호 두 호에 걸쳐서 놀랍고 생생한 세계를 보여줄 예정이다. 지난 달 커버스토리였던 ‘데이터로 본 노벨 생태계’가 많은 과학자, 공학자에게 호평 받았다.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뛰어난 연구 사례를 데이터를 ... ...
Part 1. 인류를 화성으로 이끌 우주선 누가 될 것인가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감속할 계획이다. 유인 우주선의 경우 최소 5.5t을 받칠 수 있는 강한 낙하산이 필요하다.
다음
은 귀환에 사용할 연료 문제다. 지구에서 출발할 때부터 귀환용 연료를 싣고 가는 것은 발사 비용이나 엔진의 추력을 생각했을 때 거의 불가능하다. 메탄 엔진을 사용하는 스페이스X는 화성에서 메탄을 ... ...
[Tech & Fun] 사람의 여섯 번째 감각 후보는?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갑자기 무서운 사진이 툭 튀어나온다. 사진은 무작위로 나오기 때문에 연구팀조차도
다음
에 어떤 사진이 나올지 알 수 없다. 연구팀은 참가자들이 영상을 보는 동안 실시간으로 심장박동수를 재고 자기공명영상(MRI)으로 뇌의 어느 부위가 활성화되는지 관찰했다. 그 결과 참가자들은 무서운 장면이 ... ...
이전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