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될 것이다. 이 역시 측정하기 쉽지 않겠지만, 위성을 찾 을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과학자들은 두 가지 방법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면 위성의 크기와 함께 질량도 구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키핑 박사가 현재 가장 열심히 분석하고 있는 자료는 케플러-22b의 관측 자료다. 케플러-22b는 태양과 유 ... ...
-
- ‘중력파’ 검출 바이셉2 연구, 사실은 잡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오차 때문이라는 주장이 나와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프랑스 파리-수드대 입자물리학자 아담 팔코스키 박사가 12일 자신의 과학 블로그 ‘레조너스(résonancesㆍ울림, 공명이라는 뜻의 프랑스어)’에 ‘바이셉은 틀렸는가(Is BiCEP Wrong?)’라는 글을 올렸다. 그는 “우리은하에서 나오는 복사에너지를 ... ...
-
- 2009년 노벨 생리의학상 캐럴 그레이더 박사 "무한반복 실험 즐겼더니 노벨상 받았죠"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말했다.그레이더 교수는 한국의 학생들에게 “새로운 사실을 배우는 게 즐겁다면 과학자가 최고의 직업”이라고 전한다. 단, ‘내가 궁금한 질문’을 파고들라고 조언한다. “과학계에서 미래의 유망한 분야, 일명 핫한 주제를 미리 아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어떤 주제가 인기를 얻을 때쯤이면 이미 ... ...
-
- 매년 쥐 100마리 신체검사 하는 독일마우스병원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최근 다른 동물실험실에 출입하지 않은 것, 확실하죠?”안내를 맡은 헬무트 퓨크스 박사가 기자에게 물었다. 그는 실험병동의 총괄관리자다.“오늘은 신체검 ... 중요한 변수만 모아 한 눈에 비교할 수 있도록 시스템이 만들어져 있어요. 철저히 생물학자의 입장에서 만들었다는 얘기지요 ... ...
-
- 무에서 시작한 우주, 끝은 어디일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어려운 내용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돕는다. 무엇보다 가장 좋은 점은 해외 과학자의 번역서가 아니라는 점이다. ‘우주의 끝을 찾아서’는 현대천문학·천체물리학을 이야기하는 국내 서적 중손에 꼽힐 정도로 쉽게 읽히는 책이다. 물론 내용이 쉽다는 말은 아니다. 저자의 글실력은 과학동아 ... ...
-
- 아르키메데스의 기구한 운명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여러 수학과 과학 이론을 실용화하는 수준에 그쳤다는 점을 잘 드러낸 말이다. 영국의 수학자 하디는 “그리스의 비극 시인 아이스킬로스는 잊혀져도 아르키메데스는 기억될 것이다. 왜냐하면 언어는 사라져도 수학적 아이디어는 영원하니까!”라고 말했다. 볼테르는 “호머보다도 아르키메데스의 ... ...
- 진짜 투명망토가 나왔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뜻이다. 메타물질 중에 빛을 심하게 꺾어 음의 굴절률을 만드는 것이 있다. 과학자들이 투명망토에 특이한 굴절률 분포를 만들기 위해 메타물질을 이용하는 이유다. 이 메타물질을 가장 처음 개발한 사람은 영국 런던 임페리얼대 존 펜드리 교수였다. 1990년대 레이더에 탐지되지 않는 전투기 소재를 ... ...
-
- 장금이는 왜 짚신나물을 빻아 연생이 다리에 붙였을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찾아냈으며, 그 중 상당수를 야외 전시공간에 심었다. 관람객들은 국립생태원의 식물생태학자와 함께 숲을 거닐며 다양한 야생화를 즐기며 그들의 분류와 생태에 관해 배우게 된다. 행사 중 ‘수라간에서 찾은 에코푸드’를 통해 대장금에 등장하는 오미자 화채, 오자죽, 메밀총떡 등도 맛볼 수 ... ...
-
- 역겨움을 역겹게 느끼지 마세요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때문에 상했거나 더러운 무엇을 판단하는 것만큼 보수적으로 진행되는 경향이 있다. 심리학자수잔 피스케의 연구에 따르면 한번 믿을 수 없는 사람이라고 생각하게 되면 그 생각은 잘 바뀌지 않고 오래 기억된다. 그리고 아무리 많은 선행과 믿을만한 일을 했어도 한 순간 악행을 하거나 신뢰를 ... ...
-
- 팔방미인 삼각비 삼총사, sin, cos, tan!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사인’이란 라틴어 ‘cosinus’에서 유래됐다. 코사인의 cos이란 기호는 1729년 스위스의 수학자 오일러가 처음 사용했다. 물론 오일러 역시 cos을 독창적으로 만든 것은 아니며, 건터와 마찬가지로 이전에 쓰이던 기호를 개량한 것이다. 우선, 1620년 건터가 라틴어 complementum(영어의 complement)와 sinus를 합친 ...
이전2112122132142152162172182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