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될 것이다. 이 역시 측정하기 쉽지 않겠지만, 위성을 찾 을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과학자들은 두 가지 방법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면 위성의 크기와 함께 질량도 구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키핑 박사가 현재 가장 열심히 분석하고 있는 자료는 케플러-22b의 관측 자료다. 케플러-22b는 태양과 유 ... ...
- 진짜 투명망토가 나왔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뜻이다. 메타물질 중에 빛을 심하게 꺾어 음의 굴절률을 만드는 것이 있다. 과학자들이 투명망토에 특이한 굴절률 분포를 만들기 위해 메타물질을 이용하는 이유다. 이 메타물질을 가장 처음 개발한 사람은 영국 런던 임페리얼대 존 펜드리 교수였다. 1990년대 레이더에 탐지되지 않는 전투기 소재를 ... ...
- 의사도 모르는 의학이야기4 - 세월호 트라우마 어떻게 치료해야 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경험을 두려워하는 일을 지극히도 정상적인 모습이라고 여기게 됐지요.PTSD를 옹호했던 학자들은 이렇게 말했어요. “전투를 경험한 뒤 혼란스러워 하는 군인들을 비정상적이라고 할 수 없다. 오히려 이들은 전쟁이라는 비정상적인 사건에 의해 충격을 받았다는 점에서 매우 정상적이다.” 결국 ... ...
- Part 2 수학으로 세운 승부 전략!수학동아 l2014년 06호
- 강팀을 상대로 한 경기에서 승리를 거머쥘 비책은 없을까?열혈 축구팬이자 물리학자인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의 이인호 박사는 약팀이 강팀을 이길 수 있는 확률을 계산하는 흥미로운 시도를 했다. 이인호 박사는 영국의 프리미어리그에서 일어난 경기를 바탕으로 ‘약팀’이 ‘강팀’을 이기는 ... ...
- 삼각형 소용돌이 스피드론 만들기수학동아 l2014년 06호
- 루빅 교수의 조언 덕분이었는지 에르데이는 대학교를 졸업한 이후에도 수학자와 물리학자, 예술가들과 협력해 스피드론을 연구했고 다양한 성과를 냈다. 수학에선 스피드론의 대칭 연구가 진행됐고, 3차원 스피드론은 물론 쌍곡기하에서 구현이 가능한 스피드론도 발견됐다. 또한 스피드론은 ... ...
- [뉴스포커스] 수학자를 꿈꾼 소년, 이달의 과학기술자로 우뚝 서다!수학동아 l2014년 06호
- 방법을 개발하기도 했다.김 교수는 “대수기하학의 기본 개념은 약 2500년 전의 고대 수학자들이 생각해 낸 것인데, 그 개념이 우주의 기원을 연구하는 최신 연구에 실마리를 제공한다는 것은 정말 놀라운 사실”이라며, “앞으로도 계속해서 수학이라는 세계의 비밀을 풀어 나가는 기쁨을 맛보고 ... ...
- 말레피센트 사악한 요정의 비밀수학동아 l2014년 06호
- 발광 해파리인 에쿼리아 빅토리아에서 처음으로 추출됐다. 이 업적으로 일본의 화학자 시모무라 오사무는 2008년 노벨 화학상을 받기도 했다. 녹색 형광 단백질은 스스로 밝은 녹색의 형광을 내기 때문에, 특정한 단백질에 붙이면 위치추적기처럼 단백질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 ...
- 혼수상태에서 깨어나 보니 수학 천재?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충격이 가해지면서 수학 능력을 활발히 하는 뇌 부분이 활성화된 사실이 드러났다. 과학자들은 그의 능력이 꾸준히 지속될지에 주목하면서, 삶에 큰 변화가 없는 한 그의 능력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예측했다.패짓 씨와 같이 뇌를 다친 후에 비범한 능력을 갖게 되는 현상을 ‘후천적 서번트 ... ...
- 팔방미인 삼각비 삼총사, sin, cos, tan!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사인’이란 라틴어 ‘cosinus’에서 유래됐다. 코사인의 cos이란 기호는 1729년 스위스의 수학자 오일러가 처음 사용했다. 물론 오일러 역시 cos을 독창적으로 만든 것은 아니며, 건터와 마찬가지로 이전에 쓰이던 기호를 개량한 것이다. 우선, 1620년 건터가 라틴어 complementum(영어의 complement)와 sinus를 합친 ...
- '모른다는 것'이 천문학 연구의 매력 (타이탄 연구자 심채경 박사)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토성의 위성 타이탄의 대기를 분석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위성을 따로 연구하는 학자는 거의 없거든요. 국내에서 태양을 제외하고 나머지 태양계 천체를 연구하는 분도 열 손가락 안에 꼽을 수 있을 거예요. 위성은 말할 것도 없죠.”그가 타이탄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우연히 찾아온 ... ...
이전2112122132142152162172182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