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덮개
커버
표시
책표지
뚜껑
간판
사인
뉴스
"
표지
"(으)로 총 2,175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억 ‘복사·바꿔치기’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3.07.28
밝혔다. ‘네이처’는 담배 연기처럼 피어오르는 ‘가스’의 움직임을
표지
에 담았다. 이 가스는 지구에서 무려 800만 광년 떨어진 은하가 방출하고 있는 일산화탄소이다. 그림에서 색깔은 강도를 뜻하는데 가운데 밝은 자주색 부분에선 뚜렷하고 바깥쪽 빨간색에선 희미하게 나타난다. ... ...
눅눅해진 책, 선풍기 바람 쏘이세요
동아일보
l
2013.07.25
책 앞뒤에 단단한 송판을 대고 아령이나 벽돌 같은 무거운 물건으로 눌러줘야 한다. 책
표지
나 속지가 주름지는 걸 막아 준다. 37일째 장마가 이어진 요즘 같은 날씨엔 책장에 꽂아 둔 책의 습도도 15%에 육박한다고 한다. 책장에 오래 꽂아 둔 책을 한 번씩 꺼내 술술 넘기기만 해도 습기 제거에 도움이 ... ...
벌거벗은 두더쥐에게 '암'에 대해 묻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7.21
모양을 가진 3000년 전의 암포라 양식의 항아리 모양이었다.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
는 '판도라바이러스'의 투과전자현미경 이미지로 장식됐다. 프랑스 엑스-마르세유대와 조지프 푸리에 그르노블대, 스웨덴 웁살라대 생물학과 합동연구팀은 현존하는 가장 큰 바이러스를 발견했다고 ... ...
벽지에 전구 붙이니 '빛'이 나네
동아사이언스
l
2013.07.17
재료연구소는 전기가 흐르는 종이나 천을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 - 재료연구소 제공 국내 연구진이 전기가 흐르는 종이와 천을 만드는 기술을 개발해, 조만 ... 핵심 기술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화학분야 권위지 ‘앙게반테 케미’ 7월호
표지
논문으로 실렸다 ... ...
태양계 끝에서 새로운 세계를 만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7.15
했다. 네이처 제공 이번주 네이처는 달 착륙선의 형태를 꼭 닮은 박테리오파지를
표지
로 실었다. 유전자가 들어있는 박테리아파지 머리부분에 있는 알약은 사람의 얼굴을 그대로 보여주는 듯하다. 미국 하버드대 위스(Wyss)연구소 짐 콜린스 박사팀은 박테리오파지가 항생제 내성이 ... ...
모유 안나오는 산모는 인슐린 분비 의심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7.08
바이오마커는 생명체의 정상 또는 병리적인 상태 등을 객관적으로 측정해 줄 수 있는
표지
를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소변의 '알부민'은 신장 기능에 대한 바이오마커다.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놈센-리버스 박사는 수유기의 여성인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혈당을 조절하는 약을 ... ...
베일 벗겨진 수성 표면의 나이
동아사이언스
l
2013.07.07
Epping Forest)를 중심으로 앞쪽으로는 농경지의 모습, 뒤쪽으로는 런던 시내의 모습을
표지
에 담았다. 농경지와 마천루가 울창한 나무숲과 어우러져 묘한 대조를 이루고 있다. 자연과의 공존을 통한 ‘지속가능한 성장’은 기후변화시대에 인류가 반드시 이뤄야 하는 과제가 됐다. 토지를 이용할 ... ...
류현진 강속구는 인류 진화의 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13.06.30
말했다. 이번주 ‘사이언스’는 파랗고 빨간 줄 여러 개를 동시에 늘어놓은 사진을
표지
로 선정했다. 이 사진은 미국 서부 건조한 지역에 많이 사는 ‘시아노박테리아’를 형광현미경으로 찍은 것. 이들은 광합성으로 산소와 에너지를 만들며 생활한다. 파란 줄의 이름은 ... ...
알츠하이머병 원인 밝혀줄 새로운 기법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6.26
단백질을 최신 질량 분석기에 넣어 둘을 분리하고 각각을 분석하는 데 성공했다. 또 특정
표지
를 이용해 정확히 어느 자리에 변화가 일어났는지, 둘이 경쟁하는 자리는 어디인지까지 찾아낼 수 있었다. 실제로 연구진은 이 기법을 생쥐의 뇌 신경세포에 적용해 변화가 일어난 위치를 규명했으며, ... ...
얼음이 녹아 물로 바뀌는 것 간단해보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06.23
이번 주 ‘사이언스’는 국제우주정거장에서 바라본 중국 상하이와 톈진의 모습을
표지
에 실었다. 두 도시의 규모가 워낙 크고 전력 공급이 잘 이뤄지다보니 우주에서 관측해도 거미줄처럼 얽힌 도로망이나 중심가의 위치가 파악될 정도다. 이와 함께 도시 외곽에는 이제 막 형성된 듯한 ... ...
이전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