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길거리
사이
길
틈
가로
틈새
d라이브러리
"
거리
"(으)로 총 4,485건 검색되었습니다.
계절마다 별의 위치가 다른 이유
과학동아
l
200507
막을 내렸다.연주시차 발견을 통해 지구 공전의 증명뿐만 아니라 마침내 별까지의
거리
가 밝혀지기 시작하면서 천문학은 또다른 막을 열게 됐다. 이 한편의 드라마를 통해 우리는 얼마나 많은 사람들의 노력에 의해 과학이 발전해가는지를 깨달을 수 있다 ... ...
"모터 없이 달리는 자동차를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6
뿜어져 나가게 돼. 이 힘은 무척이나 커서 이동현 친구의 자동차는 무려 30m가 넘는
거리
를 움직였어. 이 물로켓 자동차 역시 앞의 풍선 자동차와 마찬가지로 물이 빠져나가는 힘의 반작용으로 움직인거지. 아쉬운 점은 힘이 너무 커서 자동차가 굴러갔다기보다는 로켓처럼날아갔다는점이야. 그래도3 ... ...
가상현실로 정신병 치료
과학동아
l
200506
동일한 태도를 유지했다. 특히 일부 환자들은 화난 표정의 아바타와 오히려 더 가까운
거리
를 유지하려는 경향을 보이기도 했다.이밖에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 시간과 방법을 측정하거나 가상의 상황에서 상충되는 문제를 푸는 방법을 평가해 치료에 반영하기도 한다.치료 효과에 대한 평가는 ... ...
04. 디지털의 화려한 플래시댄스
과학동아
l
200506
힘이 없는 한 진행 방향으로 계속 발전한다. 발전 주기를 시간으로 놓고 증가량을
거리
로 생각해보자. 통신 스피드가 1년에 2배씩 빨라진다는 길더의 법칙이나 메모리반도체의 용량이 1년에 2배씩 는다는 황의 법칙은 발전의 속도를 의미한다. 무어의 법칙에 비하면 황의 법칙은 속도가 2배로 빨라진 ... ...
우주선 블랙박스
과학동아
l
200506
깊은 관심을 갖게 되어 20년 졸업과 동시에 그의 조수가 되었다 인공위성을 이용해 원
거리
해양에 직접 가지 않고 관측하는 시스템 데이터 수집위성 시스템이라고도 한다 해면의 부표(浮標)나 기구(氣球), 또는 동물 등에 부착시킨 발신기에서 발사된 전파를 인공위성이 수신하여 여러 가지 데이터를 ... ...
수성, 금성, 토성이 한 자리에
과학동아
l
200506
때는 28일로 불과 4분각 만큼 떨어진다. 4분각이면 달 시직경의 1/7 정도에 불과한 가까운
거리
다. 맨눈으로 보면 초저녁에 두 별이 흡사 붙은 듯 보일 것이다. 다만 금성이 너무 밝아서 수성이 그 빛 때문에 보일 듯 말 듯 하겠지만.토성은 점차 서쪽 지평선으로 사라지는 시점에 있다. 토성의 밝기는 ... ...
귀는 왜 두 개일까
과학동아
l
200506
볼 수 있으나 뭔가 불편함을 느낄 것이다. 그 이유는 두 눈을 이용하면서 얻을 수 있는
거리
감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새소리가 나는 곳으로 고개를 돌리는 것은 양쪽 귀로 소리를 들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한쪽 귀에 문제가 생겨 청력이 떨어진 경우에는 새소리가 들리더라도 ... ...
01. 섬씽 디지털이 판치는 세상
과학동아
l
200506
지나가고 원하는 곳에서 필요한 때에 맘껏 디지털을 즐기는 ‘디지털 노마드’족이
거리
를 메우고 있다. 데이터는 이미지로, 유선은 유무선 통합으로 디지털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그 중심에 황의 법칙이 있다.무어 VS. 황고든 무어•국적: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출생.•나이: 1929년 ... ...
2030년으로 떠나는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506
밖 지구유사 외계행성 존재 규명(2014)• 도심내 이동용 헬리콥터 실용화(2014)• 개인 단
거리
이동용 제트팩(분사추진기) 보급>>> 2022• 생체 광합성기술 규명(2018)• 핵, 이온, 플라즈마 등을 이용한 우주추진 시스템 실용화(2017)• 광합성 가능 동물 개발(2020)• 뇌의 인지기능 규명(2019)>>> 2023• 장기 ... ...
02. 플래시 터뜨리는 황의 법칙
과학동아
l
200506
터널링 현상이 일어난다. 게이트에 전압을 걸지 않았는데도 소스와 드레인 사이의
거리
가 너무 가까워서 전자가 스스로 건너 뛰어버리는 것. 그래서 데이터가 제멋대로 흘러나와 오염되거나 사라진다. 이것이 양자역학적 한계다.서울대 재료공학부 황철성 교수는 “2015년 쯤 20nm 트랜지스터가 ... ...
이전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