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카락
두상
두부
머릿골
얼굴
뇌
d라이브러리
"
머리
"(으)로 총 4,258건 검색되었습니다.
복제기술이 꽃피우는 바이오혁명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체중이 100kg 정도 더 나간다. 바로 앞에서 여물을 먹고 있는 소 왼쪽으로 소 한 마리가
머리
를 내민다.“마침 두 마리가 나란히 여물을 먹고 있군요. 왼쪽이 11살 먹은 한우 K9849(이름 대신 번호로 부른다)로 육질이 아주 우수해 복제소 10마리를 만들었죠. 오른쪽에 있는 녀석이 그 중 하나로 벌써 ... ...
컴퓨터로 되살아난 클레오파트라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신원확인 방법이 한계에 다다랐을 때 마지막으로 사용하는 방법이 얼굴복원이다.발견된
머리
뼈를 분석해 인종과 성별, 나이를 추정한 뒤 추정 결과에 맞는 피부평균두께에 따라 피부를 붙이고 나이에 맞게 주름이나 피부의 처짐을 표현한 뒤 미디어를 통해 가능한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복원된 ... ...
등심, 안심, 우족 맛이 서로 다른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남김없이 먹는다.실제로 우리나라만큼 쇠고기로 요리한 음식이 다양한 나라도 없다. ‘소
머리
국밥’부터 ‘꼬리곰탕’까지.기축년(己丑年) 소의 해를 맞아 부위별로 다른 쇠고기 맛의 비밀을 파헤쳐보자.Q1 쇠고기도 생선회처럼 갓 잡은 고기가 맛있을까?살아있는 물고기를 막 잡은 활어회를 ... ...
겨울 별미로 거듭난 꽁치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달아 띄워 놓으면 빠른 속도로 헤엄치던 꽁치들이 이를 피하지 못하고 빽빽한 그물코에
머리
를 박고 걸려든다.동해 북부나 울릉도 해역에서는 꽁치의 산란습성을 이용한 독특한 어업 방식이 전해온다. 해마다 5~6월경이면 산란기를 맞은 꽁치가 동해 연안으로 몰려든다. 이때 어부들은 작은 배를 ... ...
유전자에서 찾는 21세기판 진화법칙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이 겉모습이 어떻게 형성됐는지 DNA라는 물질에서 해답을 찾는다오. 이 DNA를 보려면
머리
카락 한 가닥만 있으면 된다고 하오. 입속에서 피부를 조금만 떼어내도 되고 말이오.논리는 이렇소. 생물이 진화하는 동안 발생한 돌연변이는 유전자의 염기서열에 쌓여서 두 종이 공통조상에서 갈라진 뒤 오랜 ... ...
티라노사우루스류 공룡에서 최초로 위석(胃石)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짧은 기간이었지만 매우 중요한 발견을 했는데, 그것은 이 지역에서 처음으로 발견되는
머리
뼈가 두꺼운 후두류 공룡의 두개골과 거북 수백 마리가 한꺼번에 몰려 화석이 된 뼈화석층(bone bed)이다.지난 3년간 탐사에서 우리가 수집한 화석은 크고 작은 석고자켓 총 170개와 화석상자 59개 분량으로 ... ...
넌센스! 오징어먹물 염색약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머리
카락의 색도 멜라닌 때문인데 왜 외부에서는 멜라닌을 공급할 수 없다는 것일까.“
머리
카락의 구조를 보면 금방 알 수 있습니다. 모발은 멜라닌이 들어 있는 모피질을 비늘 같은 구조의 모표피가 감싸는 구조입니다. 그런데 모표피 사이의 틈이 0.6nm(나노미터, 1nm=10-9m)밖에 안 되기 때문에 ... ...
버릴 곳 없는 국민생선 명태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더덕북어라고도 불린다. 또 반쯤 말려 서너 마리씩 끈으로 코를 꿰어 놓은 것은 코다리,
머리
를 떼어 말린 것을 무두태라고 부른다.이태원 교사는 서울대 대학원에서 세포생물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우리나라 전통 문헌에 나타난 과학 관련 내용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 조선 후기 학자 ... ...
아날로그 통신에 푹 빠진 21세기 ‘줄리엣’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열리는 개국기념식이다. 유선민(01학번) 씨는 “개국기념식 때는 옥상의 안테나 옆에 돼지
머리
를 사다가 놓고 한 해 동안 회원들의 목소리가 멀리 퍼질 수 있도록 ‘전파(電波) 신’께 고사를 지낸다”고 말했다. 매년 여름에는 호출부호 ‘HL0R’을 사용하는 줄리엣의 영원한 연인 ‘로미오’(서강대 ... ...
[고생물학]공룡 머릿속이 빈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육식공룡은 빨리 달리며 먹이를 잡기에 수월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초식공룡
머리
안에는 나사 형태로 복잡하게 말려 있는 공기통로가 있었다. 연구팀은 초식공룡이 나사 형태의 공기통로로 찬 공기를 들이마셔 혈액을 식히고 동시에 혈액이 공기를 데우며 호흡했고, 공기통로를 공명시켜 ... ...
이전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