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볼"(으)로 총 10,576건 검색되었습니다.
- [Photo] ‘만인의 광물’ 방해석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수백 km 떨어진 아스완 지역에서 나일강을 통해 힘들게 운반해 왔다. 그리스와 로마에서 볼 수 있는 고색창 연한 신전과 광장 건축물의 주요 소재는 대리암이다. 대리암은 모스굳기가 3.0, 밀도는 2.7인 방해석으로 이뤄져 적당히 단단하고 가벼워 예나 지금이나 사랑받는 건축소재다. 특히 변성 ... ...
- Part 2. 장난감 연구하는 수학자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쉽게 살 수 있거든요. 하지만 국산 캐릭터인 둘리나 로봇 태권 V를 장난감 가게에서 볼 수는 없잖아요. 꼭 오랫동안 사랑받는 국산 장난감 캐릭터가 나왔으면 좋겠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수학자의 취미는 장난감Part 1. 레고 덕후 수학자의 신기록 도전기Part 2. 장난감 연구하는 ... ...
- Part 2. 현대 수학의 보물, 그로텐디크의 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학문적인 성취도 위대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건 그로텐디크의 생각하는 방식을 엿볼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는 많은 후대 수학자에게 큰 가르침이 될 것입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새로운 기하학의 탄생, 그로텐디크의 노트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Part 2. 현대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수가 유한 개뿐인지를 간단하게 증명할 수 있는지도 흥미로운 미해결 문제입니다.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문제는 아마추어 수학자의 기여로 재밌는 연구 결과가 나온 흥미로운 사례입니다. 수학동아 독자들도 언제가 이런 기여를 할 수 있으면 참 좋겠습니다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고대문명과 이슬람을 꽃피운 아라비아의 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원래는 초원이었다!사우디아라비아의 주요 박물관이 소장해온 중요문화재 466건을 볼 수 있는 ‘아라비아 길’ 전시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리고 있어요. 제1 전시실 입구에 들어서자 가장 먼저 사람을 닮은 석상 세 개가 눈에 들어왔어요. 그 중 가운데에 있던 석상은 팔이 없고, 몸 전체가 기다란 ... ...
- [긴급진단] 전국이 흔들, 가슴이 철렁, 포항 지진 5대 이슈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발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더 조사를 해봐야겠지만 현재로서는 우연의 일치로 볼 수도 있다”고 말했다. 2. 포항 지진 일으킨 힘, 어디서 시작됐나양산단층 주변을 뒤흔든 힘은 어디서 시작됐을까. 지진은 오랫동안 큰 힘(응력)을 받은 단층이 더 이상 견디지 못하고 뒤틀리면서 발생한다. ... ...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얼굴 인식 세포가 망가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다른 사람은 잘 알아보면서 A만 못 알아볼까? 낯선 사람들을 한꺼번에 만난 경우에는 어떨까. 새로운 얼굴에 대한 인식 세포가 생성되기 전인데, 이들은 어떻게 구별하는 걸까. 올해 7월 도리스 차오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생물학및생명공학부 교수팀은 ... ...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수많은 둥지에서 새끼가 집단으로 사망했다면 전날의 기상 변화나 전염병을 의심해 볼 수 있대. 그런데 다행히도 그 과학자 아저씨가 카메라를 가져온 뒤에는 새끼들이 집단으로 죽는 일은 생기지 않았어. 하지만 이런 대형사고는 예고 없이 갑자기 발생하기 때문에 자동모니터링카메라 시스템으로 ... ...
- 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불구하고 정말 엄청나게 자세한 내용이 들어있었지요. 여기서도 그분의 연구 자세를 엿볼 수 있습니다. 김치가 건강에 좋다며 매일 먹었던 모습을 봐도, 관심이 있으면 끝까지 하는 그의 성품을 잘 보여준다고 할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새로운 기하학의 탄생, ... ...
- [매스미디어] 듣다보면 공부하고 싶어지는 이그뮤직상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세상에 놓입니다. 하지만 종이인형은 3차원 세상에서는 상식인 ‘깊이’나 ‘부피’를 볼 수 없고, 이해할 수도 없습니다. 사랑에 빠졌지만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닌 상황에 처하고 말지요. ‘WoW!’에 나타난 세계는 1884년에 영국에서 태어난 신학자 에드윈 애보트가 쓴 소설 ‘플랫랜드’의 ... ...
이전2122132142152162172182192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