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절
"(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물 속에서의 무게와 압력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7호
마찬가지로 물 속에서 자유자재로 뜨거나 가라앉기 위해서 몸의 부피를 변화시켜 부력을
조절
한다. 물고기의 몸 속에는 부레라고 하는 공기주머니가 있는데, 이 공기주머니가 커지면 물고기의 부피도 커지면서 떠오르게 된다. 우리 몸도 마찬가지로 숨을 들이마셔 몸의 부피를 크게 만들면 부력이 ... ...
전자석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6호
전자석을 만들려면? ■ 우리 생활에 꼭 필요한 전자석전자석은 자기장의 방향과 세기를
조절
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어서 우리생활에 유용하게 쓰인다. 특히 전자석의 힘을 이용한 전자제품과 기계는 수없이 많다. 쓰레기처리장에서 무거운 쇠붙이를 들어올리는기중기는 전자석의 끌어당기는 ... ...
되돌릴 수 없는 석굴암의 신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5호
지하수가 있는데 이 지하수는 석굴암을 떠받치는 암반 아래로 흘러 석굴암 내의 습도를
조절
하는 역할을 했다고 합니다. 지하수로 차가워진 암반은 아래쪽에만 이슬이 맺히고 위쪽에는 항상 4~10℃를 유지하여 습기가 차지 않도록 했습니다.하지만 일제 시대에 일본인들이 석굴암을 보수하던 중 ... ...
'요철 발명왕과 떠나는 자동차 과학의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4호
차안에서 얼어죽는 일이 생길 지도 모른다. 디지털 온도
조절
기는 운전자가 실내 온도를
조절
할 필요 없이 가장 알맞은 실내 온도를 알아서 유지해 준다.자동차에 과학이 안 들어간 부분은 없다!자동차 거울운전을 하면서 옆과 뒤를 볼 수 있게 해 주는 자동차 거울. 자동차 거울의 후면 거울과 측면 ... ...
금 나노는 도깨비 방망이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양의 여러 가지 산물을 얻을 수 있었다. 용매를 전혀 쓰지 않고도 촉매와 반응조건을
조절
하자 선택적 산화반응이 일어났다. 이는 나노 금 입자를 사용해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많은 화학물질을 생산할 수 있다는 뜻이다 ... ...
흡혈박쥐의 역습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촉감 등이 종이처럼 느껴지므로 나일론 페이퍼라고 한다뜨는 방법에 따라 제품의 두께를
조절
할 수 있으며, 과자 등의 포장지 · 여과 필터 · 절연체 등에 주로 사용된다 기계적 · 화학적 성질이 뛰어난 나일론을 재료로 만든 플라스틱 나일론은 합성섬유로서도 여러 가지 뛰어난 성질을 가지고 ... ...
바이러스는 이유 있는 심술꾸러기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보면 바이러스는
조절
자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누군가가 지나치게 늘어나지 않도록
조절
하는 힘이 바이러스에 있다.69학번인 이 교수는 경기고를 나와 서울대 농대에 진학했다. ‘살아 있는 것을 무지하게 좋아 한’ 그는 특히 움직이는 것을 좋아했다. 그래서 곤충을 전공으로 선택했다. ... ...
크리스마스에 받고 싶은 과학선물20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수 있다.듀오백코리아_DK028Ewww.duoback.co.kr, 가격 14만원.의자와 발받침, 등받이의 높낮이를
조절
할 수 있는 학생용 의자. 추운 날씨로 자칫 움츠러들기 쉬운 자세를 교정해 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 6개의 바퀴가 바닥에 고르게 닿아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게 도와준다. 창 밖에 눈이 오면 컴퓨터를 ... ...
나선이 지그재그를 만날 때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발현에 필수적이다. 여러 과학자들이 생물정보학을 이용해 Z-DNA가 유전자의 발현
조절
에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 연구하고 있다. 특히 Z-DNA는 천연두 바이러스에 대한 신약을 개발하는데 중요하다. 천연두 바이러스에는 Z-DNA에 결합하는 단백질이 있다. 천연두 바이러스가 숙주에서 병을 일으킬 때 ... ...
신경세포에서 엿본 영혼의 그림자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시상핵에 전기 자극 스위치를 이식하면 멀쩡하게 행동하죠.”김 교수는 시상핵의 활성을
조절
하는 수용체가 제거된 생쥐를 이용해 이런 운동관문의 존재를 실험으로 증명하려고 한다. 그가 KAIST에 실험실을 연 것은 지난해 9월. 현재 박사과정 1명, 석사과정 학생 3명이 함께 연구하고 있다. 김 교수는 ... ...
이전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