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난"(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조산아의 희망, 인공자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모아 연구팀을 갖추기만 하면 성능이 뛰어난 인공자궁을 충분히 만들 수 있다”며 “지난 2004년에 비해 의학은 물론 관련 장치와 소재가 발달해 인공자궁을 사람에게 적용할 가능성은 더욱 높아졌고, 10년 내에 실제로 조산아를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인공자궁, 임신을 대체할 수 있을까 ... ...
- [Issue] 최면, 어디까지 과학일까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셋째는 ‘자기 최면’으로서 자기 자신에게 암시를 걸어 최면을 유도하는 것을 말한다. 지난 2016 리우올림픽에서 펜싱의 박상영 선수가 ‘나는 할 수 있다’를 반복해 되뇐 끝에 결국 우승을 따낸 것과 같다. 김상욱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이사(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는 “최면을 아직도 옛날 어느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노력이 대단합니다. 두 번째 질문 튜브가 자라 뇌와 척수로?수정된 지 약 한 달이 지난 배아를 들여다보면 기다란 튜브 하나가 가장 먼저 눈에 띕니다.훗날 머리를 형성할 부분에서 엉덩이까지 길게 이어져 있죠. 예상한 분들도 있겠지만 이 튜브는 우리가 생각하고 움직이고 느끼는 데에 아주 ... ...
- Part 1. 암의 절대다수는 ‘무작위’로 온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유전 또는 환경적 이유로 주로 암이 생긴다고 알려져 있었다. 보겔스타인 박사는 지난 4월 1~5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미국암연구학회(AACR) 연례학술대회 기조연설에서 이 같은 내용을 발표하고, ‘사이언스’에 논문도 실었다(doi:10.1126/science.aaf9011).보겔스타인 박사팀은 줄기세포의 세포 분화가 ... ...
- [과학뉴스] 새로운 문제도 척척~! 똑똑한 뒤영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지난 2월, 영국 퀸메리런던대 올리 로우콜라 교수팀은 뒤영벌이 처음 보는 행동도 금새 배운단 사실을 알아냈어요. 뒤영벌이 완전히 새로운 상황을 배울 수 있다고 밝힌 건 이번 연구가 처음이었지요. 지금까지는 뒤영벌이 꽃 속의 꿀을 먹는 상황처럼 익숙한 상황을 실험했거든요.로우콜라 교수팀은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3] 농구 선수 ‘ 순시카네 꼬를너’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하고 있던 그때! 갑자기 관중석에서 응원이 쏟아지기 시작했다. 300호가 나오기까지 지난 날의 퍼즐 대결이 떠오르며 감격에 겨워 눈물이 핑 돈 썰렁홈즈. 하지만 ‘순시카네 꼬를너’는 무언가 계산을 하느라 바쁜 모습인데….아슬아슬하게 퍼즐을 먼저 풀었지만, 자유투 넣기에는 실패한 썰렁홈즈. ... ...
- Part 3. 마실물 만드는 별별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액체가 관에 붙으려는 힘 때문에 생겨요. 관이 가늘어질수록 이 힘은 더 강해진답니다.지난 해, 김성재 서울대학교 전기공학부 교수는 모세관 현상을 이용해 새로운 해수담수화 장치를 개발했어요. 이 장치는 10nm의 가느다란 모세관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나트륨 이온(Na+)만을 빨아들이는 특징을 ... ...
- [과학뉴스] 50만 개의 뉴런으로 직접 뇌를 그리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2017 더 비지스’의 일 러스트레이션 부문에서 전문가가 뽑은 최고의 사진으로 지난 3월 29일 선정됐다. 이 대회에서는 매 년 사진과, 일러스트레이션 동영상 등 각 분야별 작품 중 전문가와 대중의 선택을 가장 많이 받은 것 을 우승작으로 선정하고 있다.던 작가는 “우주에서 가장 신기한 기계가 ... ...
- [Issue] 전세계 과학자들이 거리로 나선 이유 “과학, 이제 침묵하지 않겠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하나의 가족’ 등을 쓴 피켓을 들고 행진했다.전세계 과학기술인들이 거리로 나섰다. 지난 4월 22일 오후 2시(현지 시각), 미국 워싱턴 DC, 시카고, 호주 시드니, 프랑스 파리, 독일 베를린 등 전세계 600여 개 도시에서 ‘과학행진(March for Science, 한국 행사명 ‘함께하는 과학행진’)’을 열고, ‘과학은 ... ...
- [가상인터뷰] 하루에 2시간 자는 아프리카 코끼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2007년 이후 7년 동안 30%의 코끼리가 사라졌다고 해요. 둥근귀코끼리는 더 심각하지요. 지난 2월에 발표된 미국 듀크대 존 폴슨 교수팀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2004년부터 2014년 사이 둥근귀코끼리의 80%가 사라졌다고 해요. 모두 밀렵꾼들의 사냥 때문이지요. 일리 넌 잠을 거의 안 잔다며? 비결이 뭐야 ... ...
이전2122132142152162172182192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