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량
계측
계량
관측
생각
추측
module
d라이브러리
"
측정
"(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제10회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발표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등 산업과 과학기술 전반에 중요하다.신 박사는 “2009년부터 진공 공정을 실시간으로
측정
하는 좀 더 정밀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며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갖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전 표준연 원장이었던 정광화 박사에게 배운 것이 많다”며 “후배 여성과학도들이 더 나은 ... ...
인공태양 빛낼 플라스마의 꿈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수 억℃에 이르는 플라스마를 효과적으로 가둬 운전하는 기술이나 플라스마의 밀도를
측정
하는 장치를 연구하고 있다. 내년 초 건설을 목표로 소형 토카막 실험 장비도 직접 설계해 제작하고 있다.하지만 핵융합 기술만 연구하는 것은 아닙니다. 핵융합 기술의 기본 전제인 플라스마는 그 자체로 ... ...
제3게임 수학으로 두는 체스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활용해 체스를 둡니다. 체스 연구가들은 어떤 말이 더 가치가 있는지 오랜 세월에 걸쳐
측정
했습니다. 게임 상황에서 두 말 중 한 말이 반드시 죽어야 한다면 어떤 말을 버리는 것이 나은지 궁금했기 때문이죠. 그 결과 폰을 1점으로 할 때, 나이트와 비숍은 3점, 룩은 5점, 퀸은 9점으로 가치를 ... ...
[부록] 비교의 여왕, 부등식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같은 방법으로 차근차근 생각해 보세요.예를 들어 최소 눈금 단위가 10g인 저울로 잰
측정
값이 720g일 때 참값의 범위를 생각해 봅니다. 실제로 무게를 잴 때 저울의 눈금이 710g과 720g 사이에 있다면 우리는 눈금의 절반을 기준으로 어느쪽에 더 가까운지를 생각하고 읽습니다. 따라서 눈금의 절반만큼 ... ...
한국 인공태양 핵융합 리더가 되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데에 주목해 달라”고 강조했다.실제로 3차 실험에서는 중성자를 검출하고 에너지를
측정
하는 연구 외에, 플라스마의 전류를 높이고 지속시간을 길게 유지하는 연구 등 다른 중요한 성과가 많았다. 특히 플라스마의 전류는 핵융합의 필수 조건인 초고온 상태를 얻기 위해 중요하다. 전류가 높아지면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방법과 달리 초전자 자석 통 안에서 계속 회전하게 만들 수 있어 오랫동안 정밀하게
측정
할 수 있다. 자기장의 세기가 강해질수록 질량분석의 해상도는 더욱 높아진다.첨단 장비 개발로 주도권 잡아현재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에는 세계에서 가장 성능이 뛰어난 FT-ICR 질량분석기가 있다. 만들어 ... ...
[통합과학] 계면 활성제의 미셀 구조 형성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용액의 표면 장력은 점점 감소한다. 비누의 농도를 증가시키면서 용액의 표면장력을
측정
해 표면장력이 더이상 감소하지 않는 지점을 찾으면 미셀 형성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두번째 방법은 제시문 (다)를 볼 때, 비누의 농도가 낮은 용액에서는 용액 내에 아직까지 큰 입자들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 ...
인류의 에너지원 ‘별’ 탐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다음과 같이 예상할 수 있다. E(핵융합 반응 전 에너지)=E′(핵융합 반응 후 에너지) 실제
측정
결과가 E(핵융합 반응 전 에너지)<E′(핵융합 반응 후 에너지)라면 에너지보존 법칙 만으론 설명할 수 없다. 핵융합 반응에서 질량이 감소했으므로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M(핵융합 전 원자의 질량합 ... ...
제2의 지구 찾아 삼만 광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환경의 행성을 찾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지구와 별까지의 거리는 별의 삼각시차를
측정
하거나 색과 밝기를 이용해 알 수 있다. 1▼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우주 끝까지 외계행성 찾는다제2의 지구 찾아 삼만 광년빛보다 빠르게 또는 느긋하게그 곳에 생명이 있다!외계행성을 ... ...
첨단기술과 인지과학의 만남 로보월드 2010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번째는 ‘인지로봇’을 만들기 위한 연구다. 인지로봇은 사람의 상태와 요구를 정확하게
측정
해 그에 맞게 동작하는 로봇이다. 하지만 인지로봇 역시 쉬운 일이 아니다. 예를 들어 책상에 놓인 물잔을 보고 손으로 집어 드는 단순한 동작의 경우, 물잔을 인식하고 팔을 뻗어 잡은 뒤 부서지지 않을 ... ...
이전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