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위
근처
둘레
외주
가장자리
부근
원주
d라이브러리
"
주변
"(으)로 총 4,853건 검색되었습니다.
어질어질 우주멀미도 실험열정 막지 못해!
과학동아
l
200808
않고, 주머니를 입
주변
에 꽉 밀착시킬 필요가 없다. 구토가 끝나고 그 거즈로 입
주변
을 닦을 수 있어서 깔끔하다. 반대쪽 끝에도 지퍼백이 달려있어서 입구 거즈와 구토한 봉투 전체를 반대쪽 지퍼백에 완전히 넣은 뒤 지퍼를 닫도록 돼있어 뒤처리도 쉽다.편리한 NASA 멀미봉투를 유용하게 사용한 ... ...
송도의 공부벌레들
과학동아
l
200808
“인턴연구원들은 다들 ‘구소’와 ‘미나’ 만나러 가자는 우스갯소리를 한다”며
주변
에 동의를 구했다. ‘구소’는 연구소를, ‘미나’는 세미나를 말한다. “출근은 8시지만 퇴근은 대중없다”고 하니 ‘구소’와 ‘미나’를 ‘남친’과 ‘여친’으로 삼을 법하다.이 씨는 고등학교 때 생물을 ... ...
1. 두께 1m 얼음 깨며 나가는 북극 첨병
과학동아
l
200808
‘폴라스타’와 ‘폴라씨’를 만들어 북극해 탐사를 벌이고 있다.캐나다 역시 북극해
주변
에서 천연자원을 활발하게 개발하면서 1978년 2만 8000t 급 쇄빙선 ‘아틱’을 건조했고, 영국은 1992년 5700t 급 ‘제임스 클락 로스’, 노르웨이는 2001년 3500t 급 ‘폴라뵤른’을 각각 건조하며 쇄빙선 경쟁에 ... ...
지구온난화와 제트기류의 합작
과학동아
l
200808
사실 아열대는 고기압영역이라 육지의 경우 사하라사막 같은 건조지역이 많다. 한반도
주변
을 본다면 북태평양고기압지역이 아열대역이다. 하지만 월평균 기온이 10℃를 넘는 달이 8개월 이상인 영역을 아열대로 정의한 분류법에 따르면 우리나라 남해안의 많은 지역이 이미 아열대화되고 있다. ... ...
신세대 심리코드 우리 결혼했어요
과학동아
l
200808
땐 신경이 곤두서고 길을 잘 찾을 수 있을지 걱정하지만, 익숙한 길을 걸을 땐 여유롭게
주변
을 돌아보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익숙한 상황에서 만족감을 얻을 수는 있어도 행복하다고는 단정 지을 수 없다. 사람은 익숙한 환경에서도 새로운 것을 찾는다. 이남석 씨는 “사람은 뇌에서 새로운 정보를 ... ...
3. 추위에 강한 생물자원의 보고
과학동아
l
200808
지난 6월에는 극지연구소 극지해양생물연구팀이 북극 다산기지 인근 콩스표르덴 빙벽
주변
의 바다에서 AFPs를 분비하는 새로운 미생물 1종을 추가로 발견해 다산기지의 이름을 딴 ‘다사넨시스’(dasanensis)라는 학명으로 국제학술지인 ‘국제미생물분류학회지’에 등록을 마쳤다.지구온난화라는 ... ...
천문대에서 역사와 문화 배운다
과학동아
l
200808
통하는 문이 열린다.이 책은 국내에 있는 10곳의 천문대를 각각 소개하면서 천문대
주변
의 역사 문화유적지까지 소개한다.강원도 봉래산 정상엔 ‘별을 보는 산꼭대기’란 뜻의 별마로 천문대가 있다. 지름이 800mm에 이르는 거대 망원경이 자랑거리다. 국내에서 육안으로 천체를 보는 망원경 중 가장 ... ...
물 먹은 바오밥나무에서 해수욕 즐기는 펭귄까지
과학동아
l
200807
갑자기 멈춰 섰다. 어제 내린 비로 불어난 강물 때문이었다. 사막에 웬 홍수? 놀랍게도
주변
은 여전히 사막 그대로인데, 거짓말처럼 골짜기의 물이 허리 높이까지 넘쳐 길을 막고 있었다. 수심도 문제려니와 물살이 세서 더 이상 차가 전진할 수 없었다. 날이 어두워져 텐트를 쳤다.다음날 아침 붉은 ... ...
뜯어봅시다 닌텐도 Wii
과학동아
l
200807
리모컨 앞부분에 있는 적외선 카메라는 센서 바의 적외선 LED를 인식한다. 인체나
주변
의 다른 사물들도 적외선을 방출하거나 반사하지만 그 양이 적기 때문에 카메라는 LED의 위치를 쉽게 구분할 수 있다.3. 움직임 인식리모컨 안의 가속도계 ADXL330에는 작은‘진자’가 있다. 이 진자는 고정된 두 전극 ... ...
화성 북극에서 얼음 찾았나?
과학동아
l
200807
팔에 달린 사진기로 착륙장소
주변
을 찍었다. 착륙 직전 역추진 로켓을 분사해서인지
주변
이 빗자루로 마당을 쓴 것처럼 휑하다. 그때 내 발이 디디고 있는 지점을 찍으려고 아래를 둘러보다가 지름이 90cm 정도 되는 하얗고 평평한 물체를 발견했다. 혹시 얼음이 아닐까. 재빨리 사진을 찍어 지구로 ... ...
이전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다음
공지사항